[함께 살아가는 말 165] 튄공, 뜬공

 


  도시인 인천에서 태어나 자라면서 작은 공 하나와 나무방망이로 하는 놀이를 동무들과 퍽 즐겼습니다. 장갑이나 방망이가 없어도 공이 있으면 놀이를 합니다. 누군가 어디에선가 나무막대기를 줍고, 저마다 모자를 장갑으로 삼으며, 모자가 없으면 맨손으로 공을 받거나 잡습니다. 한 사람이 공을 던지고, 한 사람이 공을 칩니다. 꼭 아홉 사람이 없어도 되고, 아홉과 아홉으로 짝을 이루지 않아도 됩니다. 둘이서도 공놀이를 합니다. 공 받는 이를 벽으로 삼아 둘이서도 신나게 뛰놀고, 셋이면 서로 다른 편을 이룹니다. 공을 쳐서 살면 첫째 자리와 둘째 자리에 ‘없는 사람’이 ‘있다’고 여기며 놀았습니다. 1982년에 프로야구가 생기며 인천에 있는 야구장에서도 곧잘 경기가 벌어졌습니다. 어릴 적에는 돈이 없으니 경기장이 보일 만한 언덕이나 건물 옥상을 찾아다녔는데, 가끔 텔레비전으로 중계를 보면 어른들은 온통 영어를 읊습니다. 처음에는 ‘그라운드볼’이니 ‘플라이볼’이라 했는데, 어느 해부터인가 ‘튄공’과 ‘뜬공’으로 바뀝니다. 그러더니 ‘튄공’은 ‘땅볼’로 말이 또 바뀌고, ‘튄공’은 농구 경기에서만 ‘튄공잡기’로 씁니다. 우리들은 어느 말이든 텔레비전에 나오고 경기장에서 흐르는 대로 받아들였습니다. 아이들은 어른들이 쓰는 말대로 따르기 마련이었습니다. 어른들이 처음부터 고우며 맑은 낱말을 빚었으면 아이들은 스스럼없이 그 말을 즐겁게 쓰겠지요. 어른들은 ‘낯설다’느니 ‘어설프다’느니 하며, 곱고 맑게 다듬는 낱말을 놓고 말다툼을 벌이는데, 아이들을 생각하고 이 나라 앞날을 헤아리면, 새로 짓지 못한 채 영어로만 써야 할 낱말이란 없어요. ‘도움주기’와 ‘가로막기’와 ‘가로채기’ 같은 낱말처럼, 생각을 빛내면 즐겁게 살려쓸 말은 너울너울 넘칩니다. 4346.10.10.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