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가운 상말
- 고담준론 1
어설픈 외국의 이론을 부여잡고 고담준론만으로 일관하거나 출판자본이 만들어내는 잠시의 명예에 안주할 일이 아니다
《이현식-곤혹한 비평》(작가들,2007) 95쪽
“외국(外國)의 이론”은 “외국 이론”이나 “나라밖 이론”으로 다듬을 수 있습니다. ‘일관(一貫)하거나’는 ‘흐르거나’로 손보고, “잠시(暫時)의 명예(名譽)”는 “한때 누리는 명예”나 “가벼운 이름값”으로 손봅니다. ‘안주(安住)할’은 ‘눌러앉을’이나 ‘좋아할’로 손질해 줍니다.
‘고담준론(高談峻論)’은 “(1) 뜻이 높고 바르며 엄숙하고 날카로운 말 (2) 아무 거리낌 없이 잘난 체하며 과장하여 떠벌리는 말”을 뜻한다고 해요. 첫째 말풀이로 살피면 “뜻있게 나누는 말”이요, 둘째 말풀이로 헤아리면 “마구 떠벌이는 말”입니다.
고담준론만으로 일관하거나
→ 뜬구름 이야기로 흐르거나
→ 잘난 척만 하거나
→ 대단한 듯이 떠벌이거나
→ 지식자랑을 늘어놓거나
…
이 보기글에서는 둘째 말풀이로 쓴 ‘고담준론’입니다. 아무런 생각이나 슬기가 없, 마치 스스로 아주 대단하다는 듯이 떠벌이는 모습을 나무랍니다. 그래서, 이런 자리에서는 “어설픈 나라밖 이론을 부여잡고 잘난 척만 하거나”라든지 “외국 이론을 어수룩하게 부여잡고 같잖은 지식자랑을 떠벌이거나”처럼 손볼 수 있어요. 나무라는 말투이니 조금 더 따갑거나 날카롭게 쓸 수 있습니다. 4340.8.2.나무/4346.9.10.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어설픈 외국 이론을 부여잡고 대단한 듯이 떠벌이거나 출판자본이 만들어내는 가벼운 이름값에 좋아할 일이 아니다
..
살가운 상말
613 : 고담준론 2
대신 우리가 미학적인 고담준론高談峻論을 나누면 언제든 기꺼이 함께하셨어요
《브뤼노 몽생종/임희근 옮김-음악가의 음악가, 나디아 불랑제》(포노,2013) 16쪽
‘대신(代身)’은 ‘그러나’나 ‘그렇지만’으로 다듬고, ‘미학적(美學的)인’은 ‘미학과 얽혀’나 ‘아름다움을 밝히려고’나 ‘아름다움이 무엇인가 하고’로 다듬어 봅니다.
미학적인 고담준론高談峻論을 나누면
→ 미학과 얽혀 이야기꽃을 피우면
→ 아름다움이 무엇인가 하고 이야기를 나누면
→ 아름다움을 밝히려고 이야기잔치를 벌이면
…
잘난 척하는 이야기가 감도는 자리를 가리키는 ‘고담준론’이라면 ‘지식자랑’으로 손질해서 쓸 적에 잘 어울린다고 느낍니다. 뜻있게 나누는 이야기가 즐거운 자리를 가리키는 ‘고담준론’이라면 ‘이야기꽃’으로 손질해서 쓸 때에 잘 들어맞겠다고 느낍니다.
‘이야기잔치’나 ‘이야기마당’이나 ‘이야기판’이나 ‘이야기빛’과 같이 적을 수도 있어요. ‘이야기샘’이나 ‘이야기나라’처럼 적어도 됩니다. 4346.9.10.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러나 우리가 아름다움이 무엇인가 하고 이야기꽃을 피우면 언제든 기꺼이 함께하셨어요
(최종규 . 2013 - 우리 말 살려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