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기사에 붙은 '전국 온도표')

 

..

 

[당신은 어른입니까 30] 날씨읽기
― 한국은 왜 아열대 날씨가 되는가

 


  한국에서 한여름에 40도를 넘어서는 데가 나타납니다. 한국이 온대 날씨 아닌 아열대 날씨로 바뀐다는 이야기는 퍽 예전부터 나왔습니다. 그러나 예전부터 이런 이야기가 나오더라도 사람들 살림살이는 달라지거나 제자리를 찾으려 하지 않았어요. 온대 아닌 아열대가 된다 하더라도 자동차는 늘어나기만 합니다. 고속도로와 고속국도는 끝없이 자꾸 닦습니다. 늘어나는 자동차는 배기가스를 더 많이 내뿜습니다. 고속도로와 고속국도는 시골마을 들과 숲과 멧골을 깎아서 닦습니다. 요즈음 고속도로와 고속국도는 아예 1자로 펴는 길인 터라, 높은 멧자락과 멧자락 사이에 까마득하게 다리를 놓고 굴을 파요. 요즈음 고속도로 한 곳은 지난날 고속도로 열 곳이 들과 숲과 멧골을 파헤치거나 무너뜨리는 크기와 엇비슷하달 만큼 끔찍한 막삽질입니다.


  들과 숲과 멧골이 무너지면, 사람들이 마실 숨이 나빠집니다. 푸른 숨결이 차츰 사라지지요. 자동차는 자꾸 늘고, 공장 또한 자꾸 늡니다. 아파트도 자꾸 늘며, 관광단지와 쇼핑센터와 백화점과 대형할인매장 또한 자꾸 늘어나요. 전기를 많이 쓰는 시설은 끊임없이 아주 빠르게 늘어납니다. 이에 발맞추어 발전소도 한꺼번에 엄청나게 새로 짓습니다. 발전소는 ‘도시 중심지’에서 가까우면 위험·위해시설이 된다 하기에 시골에다 짓고, 우람한 송전탑을 길게 이어 도시로 전기를 보냅니다.


  한국이 온대 날씨에서 아열대 날씨로 바뀌는 까닭을 모를 사람이 있을까 궁금합니다. 시골을 파먹으면서 도시가 커지고, 자동차 엄청나게 늘어나며, 전기 먹는 시설을 비롯해 아파트와 공장과 발전소를 어마어마하게 늘리니, 이렇게 달라지거나 뒤틀리는 삶터에 맞추어 날씨 또한 달라지거나 뒤틀립니다.


  날씨가 심술을 부리지 않습니다. 날씨는 사람들 삶을 고스란히 따릅니다. 부채 하나로 여름을 나던 지난날 사람들은 온대 날씨를 누렸어요. 아무리 한여름 뙤약볕이라 하더라도 시원스레 바람이 불었고, 나무그늘에서 땀을 식힐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한여름뿐 아니라 첫봄과 늦봄에도 시원스러운 바람을 쐬기 어려워요. 자동차 배기가스와 공장 매연이 스모그를 이루어 도시를 섬처럼 가둡니다. 스모그 무더기에 장마전선이 깃들면 빠져나오지 못하며 비를 왕창 퍼붓습니다. 옛날처럼 장마전선이 남녘과 북녘을 천천히 오르내리면서 골고루 비를 뿌리지 않아요. 막삽질로 들과 숲과 멧골이 엉망진창으로 망가진 서울·경기·강원에 비를 퍼붓고 또 퍼붓습니다.


  그러면, 사람들은 이런 날씨를 어느 만큼 살필까요. 이런 날씨를 얼마나 헤아릴까요. 이런 날씨를 어떻게 느낄까요.


  너무 쉽게 ‘지구온난화’를 들먹이지는 않나요? ‘내가 도시 물질문명 누리는 탓’은 하지 않으면서 ‘인류가 모두 환경문제에 눈길을 안 두기 때문’이라고 둘러대지는 않나요? 자가용을 몰고, 에어컨을 돌리며, 온갖 공산품을 끝없이 사다가 쓰고 쓰레기로 버리는 나날을 되풀이하면서, 날씨가 왜 뒤틀리거나 흔들리는지, 밑뿌리를 캘 생각은 없지 않나요?


  ‘스스로 삶을 바꾸지 않는 사람 하나’가 모여 열이 되고 백이 되며, 천 만 십만 백만 천만 억이 됩니다. 그나마 한국 날씨가 온대에서 열대로 안 가고 아열대로 가는 까닭은, 이럭저럭 도시에서 ‘스스로 삶을 바꾸려고 애쓰는 사람 하나’ 있고, 이런 사람이 열 백 천쯤 있기 때문입니다. 자가용을 안 모는 사람이 아주 드물지만 어김없이 있고, 에어컨을 안 쓰는 사람이 매우 드물지만 꼭 있으며, 공산품을 함부로 안 쓰는 한편 쓰레기를 거의 안 내놓는 예쁜 삶 일구는 사람이 참 드물지만 사랑스레 있습니다.


  그리 오래지 않은 옛날에는, 지구별 모든 목숨이 날씨를 읽었습니다. 2010년대 오늘날에는, 지구별 모든 목숨 가운데 사람만 날씨를 못 읽습니다. 옛날에는 개미도 나비도 벌도 제비도 사람도 날씨를 읽고 느끼며 알았어요. 오늘날에는 개미나 나비나 벌이나 제비는 날씨를 읽고 느끼며 알지만, 사람만큼은 날씨를 안 읽고 안 느끼며 안 알려 해요.


  날씨방송을 본대서 날씨를 알 수 없어요. 하늘을 보아야지요. 바람을 마셔야지요. 흙을 만지고, 풀과 나무를 어루만지며, 해와 달과 별을 두루 살필 때에 비로소 날씨를 알아요. 하늘과 바람과 흙과 해를 돌아보지 않으면 날씨를 느낄 수 없어요. 4346.8.11.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