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은 도시, 어두운 시골

 


  2013년 오늘날 한국을 돌아보면, 99.9%에 이른다고 할 만한 사람들이 도시에서 정치활동·경제활동·문화활동·사회활동·교육활동을 하고, 사회운동이나 문화운동이나 정치운동이나 노동운동이나 교육운동 또한 도시에서 한다. 군청이 있는 읍내라든지 소재지가 있다는 면내조차 도시하고 똑같이 닮은 오늘날인 터라, 주소가 시골이라 하지만 막상 시골사람인 사람은 매우 드물다. 흙을 만지거나 밟으며 시골살이 누리는 사람은 아주 적다. 고향은 시골이라 하더라도 그 고향에 한 해에 몇 차례 며칠쯤 머무는가. 고향인 시골에 찾아갔다 하더라도 흙을 밟고 흙내음 맡으며 흙빛을 손가락에 묻히는 이는 얼마나 될까.


  도시는 밝다. 도시는 한밤에도 전기로 불을 밝혀 아주 밝다. 도시는 밝은 나머지, 밤에 달도 별도 만나지 못하고, 도시사람은 미리내가 무언지조차 모른다. 도시사람은 낮에도 구름이나 무지개나 하늘이나 해를 살피지 않는다. 도시사람은 저녁에 잠자리에 든다 하더라도 깜깜한 어두움 드리운 집에서 잠들지 않는다. 집 둘레에 전기불빛이 환하다. 가게마다 켠 등불이 밝고, 자동차 지나다니며 등불을 번쩍인다.


  시골은 어둡다. 시골에도 찻길 한켠에 등불을 밝히곤 하지만, 시골은 어둡다. 저녁이 되어 잠자리에 들라치면 아주 깜깜하다. 아주 깜깜한 시골에서는 달도 보고 별도 보며 미리내도 본다. 다만, 마을 할매와 할배가 농약치기를 그치지 않는데다가 논도랑을 몽땅 시멘트도랑으로 바꾼 탓에 다슬기가 깃들지 못해 개똥벌레가 반작반짝 꽁지불 빛내며 날아다니는 모습은 좀처럼 못 본다.


  도시사람도 ‘나비’라는 낱말이나 ‘새’라는 낱말을 안다. 그러나 나비를 보면서 나비를 그린다거나 새를 보며 새를 노래하는 도시사람이 있는지 궁금하다. 나비는 어디에서 먹이를 찾거나 날갯짓을 쉬며, 새는 어디에서 먹이를 찾거나 새끼를 낳거나 둥지를 트는가를 생각할 줄 아는 도시사람이 있는지 궁금하다.


  도시사람은 전기 없는 도시를 생각하지 못한다. 도시사람은 어두운 밤을 생각하지 못한다. 그러면, 오늘날 시골사람은 전기 없이 얼마나 잘 살아갈까. 오늘날 시골사람은 어두운 밤을 얼마나 생각하며 하루하루 살아갈까. 4346.7.15.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책과 헌책방과 삶)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