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081) 진홍의 1 : 진홍의 치마저고리
진홍의 치마저고리를 입은 중년 여인들이 셋 걸어오다가 … 진홍빛 치마저고리도 손에 든 노란 조화도
《신경림-낙타》(창비,2008) 82쪽
“중년(中年) 여인(女人)”은 어떤 사람을 가리킬는지 궁금합니다. ‘중년’은 마흔 안팎인 사람을 가리킨다 하고, ‘여인’은 “어른이 된 여자”를 가리킨다고 해요. 참 알쏭달쏭한 말이로구나 싶은데, 가만히 생각해 보니, “중년 여인”이란 바로 “아주머니”를 가리키지 싶어요. ‘조화(造花)’는 가짜로 만든 꽃입니다. ‘가짜꽃’이라고 다듬거나 ‘종이꽃’으로 고쳐쓸 수 있습니다.
한자말 ‘진홍(眞紅)’은 “= 다홍색, 다홍빛”이라고 국어사전에 나옵니다. 다시 ‘다홍색(-紅色)’을 국어사전에서 찾으면 “짙고 산뜻한 붉은색”이라 나와요. ‘다-’를 붙인 다른 낱말 ‘다갈색(茶褐色)’은 “조금 검은빛을 띤 갈색”이라 나오는군요. ‘다-’는 토박이말일까요, 아니면 국어사전에 잘못 나온 낱말일까요.
진홍의 치마저고리 (x)
진홍빛 치마저고리 (o)
보기글을 쓴 시인은 글 첫머리에서 “진홍의 치마저고리”라 하고, 글 뒷머리에서 “진홍빛 치마저고리”라 합니다. 이 글을 마무리지은 다음 앞뒤에 다른 말투로 이야기를 쓴 줄 알아챘을까요, 몰랐을까요. 뒤쪽처럼 앞쪽을 ‘진홍빛’이라 적으면 말끔하면서 정갈한 글이 되리라 느낍니다. 4346.6.14.쇠.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진홍빛 치마저고리를 입은 아주머니들이 셋 걸어오다가 … 진홍빛 치마저고리도 손에 든 노란 종이꽃도
(최종규 .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