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는 전업주부 일공일삼 19
키르스텐 보예 지음, 박양규 옮김 / 비룡소 / 2003년 3월
평점 :
절판


어린이책 읽는 삶 30

 


집안일과 집살림 배울 사람은 누구
― 아빠는 전업 주부
 키르스텐 보이에 글,박양규 옮김
 비룡소 펴냄,2003.3.14./8000원


 

  키르스텐 보이에 님이 쓴 청소년문학 《아빠는 전업 주부》(비룡소,2003)를 읽으며 생각합니다. 참 재미난 책이네. 책이름으로 보건대, 틀림없이 ‘아빠 자리 있는 분께서 전업 주부 노릇 제대로 못한다는 이야기 나오겠구나’ 싶어요. 한국뿐 아니라 서양에서도 아버지 자리에 서는 사내들이 ‘전업 주부’는커녕 ‘어버이 구실’ 제대로 못하는 모습을 에둘러 나무라는 이야기 보여줄 듯싶어요.


  책을 펼쳐 첫 쪽부터 끝 쪽까지 읽습니다. 참으로 이 생각 그대로 들어맞습니다. 아이를 낳고 나서 오랫동안 집안일과 집살림에만 얽매인 어머니가 바깥일 하고 싶다며 하니, 아버지 되는 분은 ‘그러라’고, 이녁은 전업 주부 노릇 하는 아버지가 되고 싶었다 말합니다. 그리고, 어머니가 바깥일을 하는 첫날부터 아버지는 집안일을 영 그르칩니다. 온 집안은 엉망진창 됩니다.


  문득 내 삶을 돌아봅니다. 지난 삼월 이십칠일부터 오늘 사월 십사일까지 옆지기 없이 열아흐레째 없이 두 아이 돌봅니다. 앞으로 이틀 있으면 옆지기는 시골집으로 돌아옵니다. 스무 날 즈음 시골집 떠나 홀로 공부할 것 있어 먼 마실 떠났습니다. 두 아이와 함께 살아오면서, 아버지이든 어머니이든 이렇게 긴 나날 집을 비운 적 처음입니다. 아이들은 오래도록 못 보는 어머니를 그리워 하면서도 날마다 꿋꿋하고 씩씩하게 잘 놉니다.


  옆지기가 늘 하는 말 한 가지 되새깁니다. ‘아이들은 날마다 가장 즐겁고 멋진 하루를 새롭게 지을 수 있어야 해요.’ 두 아이가 날마다 새 아침 맞이할 적마다 참말 새 하루로구나 하고 느끼도록 이끌 즐겁고 멋진 이야기를 지어야지, 하고 생각하다가는, 이런 하루란 아이한테뿐 아니라 어버이인 나 또한 누릴 노릇입니다. 아이들도 어른들도 날마다 가장 새롭고 가장 멋지며 가장 즐거운 삶을 누릴 노릇입니다. 어른 스스로 새로운 삶을 누리지 못하면, 아이한테 새로운 삶 보여주지 못해요. 어른부터 새로운 삶 즐기는 마음 못 되면, 아이 또한 새로운 삶 즐기는 기쁨 맞아들이지 못해요.


.. “그래, 넬레. 하지만 우리 넬레도 두 손이 있지? 구둣솔과 구두약은 신발장에 있단다.” 엄마는 며칠 뒤에 내게 감자 깎는 법을 가르쳐 주었고, 구스타프는 아닌 밤중에 홍두깨라고 신발 끈을 혼자서 매야 했다 … 사실 나도 나중에 일하는 여성이 되고 싶었다. 그러면서 엄마에게 집에서 내 신발이나 닦고 있으라고 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  (9, 13쪽)


  들길을 걷습니다. 들길 걷는 동안 햇살 고루 받습니다. 아이도 아버지도 살결 탑니다. 들길에서 들꽃을 만납니다. 아이들은 들꽃 예쁘다고 들여다봅니다. 아버지는 아이들이 바라보는 예쁜 들꽃이랑 아이들 모습 나란히 사진으로 담습니다.


  숲길을 걷습니다. 숲길 걷는 동안 숲바람 듬뿍 쐽니다. 아이도 아버지도 숲이 나누어 주는 푸른 숨결 마십니다. 숲이 있어 들이 살고 마을이 살며 우리 보금자리 살 수 있다고 느낍니다. 숲이 없으면 들도 마을도 보금자리도 살 수 없다고 새삼스레 느낍니다.


  나는 아이들을 보육시설에 맡기지 않습니다. 나는 바깥에서 다른 사람 불러 아이들 맡아 달라 하지 않습니다. 옆지기 또한 몸이 아무리 아프거나 힘들어도 스스로 아이들 건사하지, 다른 시설이나 사람한테 아이를 맡기지 않습니다. 아이를 돌보는 삶은 나를 돌보는 삶이요, 아이를 바라보는 삶은 내 속마음 바라보는 삶입니다. 곧, 아이들과 함께 살아가는 나날이란 내가 꿈꾸거나 바라는 삶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하고 느끼면서 차근차근 일구는 나날입니다.


.. “그렇다니까. 학교 생활이 재미없는 건 아닌데 몇 년 하고 나니 새로운 게 없어요. 그렇지만 남자로서 전업 주부라니, 이건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일이 아니잖아요.” “당신이 나중에 제게 불평하지 않는다면 그렇겠죠.” … 아빠는 엄마가 쓸데없는 걱정을 한다는 표정이었다. 짐작건대 아빠는 요리나 청소하는 일을 누워서 식은 죽 먹기 정도로 생각하고 있는 것 같았다 ..  (20, 23쪽)


  옆지기는 아이 낳은 어머니 되기 앞서 집안일과 집살림을 얼마나 배웠을까요. 옆지기 어머님은 옆지기한테 집안일과 집살림을 얼마나 가르쳐 주었고, 여느 때에 어떤 집안일과 집살림 보여주었을까요. 옆지기 다닌 초·중·고등학교는 옆지기 스스로 집안일과 집살림을 어떻게 느끼거나 생각하도록 이끌었을까요.


  나를 낳은 어머니는 언제나 집안일과 집살림 도맡는 어머니였습니다. 아버지는 집안일이나 집살림에는 아주 손을 놓으며 바깥일만 했습니다. 나는 아들로 태어났으니, 어머니가 집안일을 하거나 말거나 집살림을 슬기롭게 꾸리거나 말거나, 하나도 아랑곳하지 않을 수 있어요. 나도 내 아버지처럼 바깥일에만 마음 쏟는 사내로 살아갈 수 있어요.


  그러나, 나는 바깥일만 도맡는 사람으로 살아가고 싶다 여기지 않았어요. 사내가 바깥일만 하는 일은 어딘가 걸맞지 않다고 느꼈어요. 가시내는 바깥일을 하더라도 집안일까지 아울러 맡도록 내모는 사회 얼거리는 여러모로 뒤틀렸다고 느꼈어요.


  내가 다닌 초·중·고등학교를 떠올립니다. 열두 해 학교를 다니는 동안 ‘사내한테 집안일 가르친 교사’는 없습니다. 열두 해 학교에서 교과서 배우는 동안 ‘사내가 집살림 배우도록 북돋우는 교과서’는 못 보았습니다. 국민학교에서는 사내와 가시내를 가리지 않고 한 달에 한 차례씩 학교에서 밥을 지어 먹는 시간 있었어요. 국민학교에서는 사내라 하더라도 바느질과 뜨개질을 가르쳤어요. 중학교에 가고부터 ‘가정’이나 ‘가사’ 같은 수업 시간 없습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사내한테 바느질이나 뜨개질 가르치지 않고, 학교에서 손수 밥 지어 먹는 시간 또한 없습니다.


.. 엄마는 기분이 좋아 보였고 힘이 철철 넘쳐 보였다. 엄마는 산더미처럼 쌓인 그릇과 끈적끈적한 부엌 바닥을 보고도 여전히 웃고 있었다. 엄마는 아빠에게 뽀뽀하며 말했다. “오, 불쌍한 내 남편!” … 아빠는 뭔가 불만스러운 얼굴이었다. 나는 아빠를 이해할 수 있었다. 하루 종일 쉬지 않고 일했는데도 부엌 꼴이 그랬으니, 엄마는 아빠가 일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생각할 수 있었다 … “처음엔 어차피 엉망진창이 될 거라고 우리 모두 짐작한 거잖니. 너한테도 바뀐 환경이 쉽지 않다는 거 엄마도 알아. 하지만 우리 두 사람이 아빠를 거들어 주어야 해. 아빠가 우리보다는 훨씬 더 힘들 테니까 말이야.” ..  (47, 48, 49쪽)


  밥은 누가 지어서 차려야 할까요. 아이를 아직 안 낳은 어른이 스스로 살림을 꾸린다 할 적에, 집에서 밥은 누가 차려야 할까요. 빨래는 누가 해야 할까요. 빨래기계가 빨래를 해 준다 하더라도, 빨래 마친 옷가지는 누가 개야 할까요. 집에서 비질과 걸레질은 누가 해야 할까요. 집살림 다스리고 집안을 돌보는 일은 누가 해야 할까요.


  사내와 가시내가 서로 사랑한다면서 짝을 짓는다고 할 적에, 나중에 아기를 낳아 돌보는 일까지 헤아리는 사람 얼마나 될까요. 아기씨앗 몸에 건사하며 열 달에 걸쳐 찬찬히 사랑하는 길은 어떠한 삶이 된다고, 학교에서나 마을에서나 집에서나 제대로 보여주거나 가르치는 어른은 몇이나 있을까요. 따로 임신교실·출산교실 같은 데를 다녀야 하나요. 집에서 어른들은 무엇을 보여주거나 물려주거나 가르치나요. 따로 책을 찾고 인터넷을 뒤져야 하나요. 초·중·고등학교는 무엇을 하는 데인가요.


  집안일을 배울 수 없다면 학교라는 데는 어떤 몫을 할까요. 집살림을 가르치지 못한다면 학교라는 데는 어떤 구실을 하나요. 집안일을 가르치지 못하는 교사는 얼마나 교사다울까요. 집살림을 물려주지 못하는 어버이라면 어느 만큼 어버이다운가요.


  아이들이 스무 살 언저리 되어 대학생 되도록 이끌면 교사 구실은 끝이라고 여겨도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시집장가 간다 할 적에, 자가용 장만해 주거나 아파트 마련해 준대서 어버니 노릇 다했다고 여겨도 되지 않습니다. 교사라면, 아이들이 제 힘으로 스스로 씩씩하게 살아가며 살림 꾸리고 꿈을 이루도록 북돋우는 몫을 맡아야 합니다. 어버이라면, 아이들이 저희 슬기를 빛내어 스스로 튼튼하게 서도록 살림과 일을 즐겁게 누리는 빛을 보여주거나 물려주어야 합니다.


.. “말은 잘하네요. 어떻게든 해 보자고요? 어떻게는 뭘 어떻게 해요? 결론은 뻔하죠. 내가 항상 일을 다 하는 거잖아요!” … 엄마는 커피 잔을 거세게 내려놓으며 말했다. “엄마는 일하는 게 재미있어. 그래서 계속 일할 거라는 엄마 생각에는 변함없어. 아빠도 같은 생각일 거야. 왜 남자들이 여자들보다 청소도 못하고 애 키우는 것도 잘 못하고 가구도 반들반들하게 닦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거지? 그리고 왜 여자 판사나 의사는 남자 판사나 의사보다도 못하다고 여겨지고, 수공업 일이나 해야 하는 거지? 이제는 이런 걸로 싸우는 사람조차 없단다. 하지만 어려움은 정작 이렇게 살려고 할 때서야 비로소 시작되는 거란다.” ..  (135, 155쪽)


  청소년문학 《아빠는 전업 주부》를 생각합니다. ‘전업 주부’나 ‘가정 주부’라는 이름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이런 말은 한국말이 아닙니다. 바른 한국말은 ‘일꾼’이요 ‘살림꾼’입니다. 집안일 살뜰히 꾸리는 일꾼이며, 집살림 슬기롭게 추스르는 살림꾼입니다.


  우리는 누구나 일꾼이면서 살림꾼입니다. 아이들은 누구나 일꾼이면서 살림꾼으로 자란다고 느낍니다. 어른들은 아이들한테 아름다운 일꾼이자 살림꾼 모습을 늘 보여주면서 보살필 때에 즐거운 삶 일군다고 느낍니다. 어른 스스로 아름다운 일꾼이면서 살림꾼이 되지 못한다면, 어른 스스로 하나도 안 즐거운 삶 되리라 느낍니다.


  아름답게 일하면서 아름답게 살림 꾸립니다. 기쁘게 일하면서 기쁘게 살림 꾸려요. 즐겁게 일하고 즐겁게 놀지요. 예쁘게 살림하고 예쁘게 사랑하지요. 어버이답게 일을 하고, 어버이다운 살림을 꾸려요. 어버이로서 일을 맡고, 어버이 넋 빛내어 살림을 아낍니다. 4346.4.14.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13-04-15 17: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빠는 전업주부... 많이 공감하셨겠어요. ^^
님도 쓰실 수 있는 책인 듯...^^

숲노래 2013-04-15 19:24   좋아요 0 | URL
그런데 그다지...
생각보다는 마음이 안 끌리더라구요.
뭐랄까, 집안일을 하는 줄거리보다는
작품에 나오는 청소년 아이가
반에서 짝사랑 하는 이야기가 3/5쯤 차지하다 보니,
뭐랄까... 김이 샌달까요 @.@
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