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보는 눈 196 : 겨울과 책, 봄과 삶

 


  겨울 봄 여름 가을 없이, 참새는 늘 지저귀고 날아다닙니다. 참새는 서울에서나 시골에서나 제 보금자리 마련한 곳에서 먹이를 찾고 새끼를 낳습니다. 사람들이 참새를 눈여겨보거나 말거나, 참새는 언제나 저희 삶을 누립니다.


  서울에서 참새가 무어 먹을거리가 있느냐 싶지만, 참새는 서울에서도 이녁 목숨 나름대로 살아갑니다. 서울에서는 맑은 물 마시기 힘들다지만, 빗물 고인 웅덩이를 찾아 목을 축입니다. 나무가 없으나 전봇대 있습니다. 나뭇가지 없으나 전깃줄 있습니다. 지렁이나 벌레 없으나, 술에 절은 사람들이 게운 것이 길바닥에 있고, 사람들이 아무 데나 버린 밥찌꺼기가 있습니다. 서울 참새는 서울 참새대로 서울 문명과 문화를 누리면서 삶을 짓겠지요. 먹이를 누리겠지요.


  고성국·남경태 두 분이 주고받은 이야기를 그러모은 《열려라, 인생》(철수와영희,2013)을 읽다가 “수도권에 2500만 명이 살아. 인구의 절반이 흙을 밟지 못하고 사는 거야. 실제로 학교에서 모종 만드는 숙제를 냈는데 결국 흙을 못 구해서 포기하더라는 거야. 요즘은 학교 운동장도 우레탄 같은 걸로 깔잖아. 그런 환경에서 우리가 살고 있다고. 이건 자연과이 소통이 심각하게 단절되었다는 뜻이야(131쪽).” 같은 글월에서 가슴이 턱 막힙니다. 서울 참새도 흙을 못 밟고, 지푸라기 못 물며 살아가는데, 서울 어른과 아이 모두 흙 없는 채 살아가요. 흙이 없는데 쌀밥 콩밥 먹는 서울내기입니다. 흙이 없는데 능금 딸기 버섯 포도 귤 감 옥수수 아무 때나 실컷 먹는 서울내기입니다. 흙이 없는데 유기농 친환경 저농약 무농약 마음대로 골라서 먹는 서울내기입니다.


  서울 참새는 흙이 없는 곳에서 얼마나 즐거운 하루를 누릴까 어림해 봅니다. 흙이 없어도 밥과 물을 얻으니, 서울 참새로서는 그닥 걱정없을는지 모릅니다. 서울 어른은 흙이 없는 곳에서 얼마나 재미난 하루를 누릴까 헤아려 봅니다. 흙이 없어도 돈을 벌어 밥과 물과 전기를 쓰니, 서울 어른으로서는 그닥 근심없을는지 모릅니다. 서울 아이는 흙이 없다 하더라도, 학원이 있고 학교가 있으며, 손전화랑 컴퓨터가 있습니다.


  레나가 지은 《우리는 크리스탈 아이》(샨티,2013)를 읽다가 “자연은 순수한 사랑 그 자체예요. 자연은 아주 아름다운 에너지를 발산하죠(177쪽).” 같은 대목에서 고개를 끄덕입니다. 밀레 님이 시골에서 시골이웃 마주하며 그림 그린 까닭이 있어요. 고호 님이 시골에서 그림을 익히며 이녁 삶을 빛낸 까닭이 있어요. 그러나, 오늘날 여느 사람을 비롯해서 예술쟁이 지식인 전문가 학자 공무원 정치꾼 모두 서울로 몰립니다. 서울 아니고서는 환경운동도 사회운동도 노동운동도 못 하리라 여깁니다. 아름다운 숲과 살아가며 아름다운 사랑 얻고, 아름다운 사랑으로 아름다운 삶을 지을 때에, 내 입에서는 아름다운 말이 흘러나옵니다.


  겨울 지나 봄입니다. 푸릇푸릇 산뜻한 볕이 내리쬐면서 산들산들 맑은 바람 붑니다. 4346.2.28.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