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1581) 용변
아가가 엉거주춤 / 용변을 보고 있습니다
《정세훈-부평 4공단 여공》(푸른사상,2012) 108쪽
한국사람이 하는 말이라면 한국말이지만, 오늘날 한국말은 껍데기는 한국말이라 하더라도, 알맹이는 한국말이라 하기 어렵습니다. 지난날에는 중국 사대주의에 찌들면서 한문을 높이 모셨고,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제국주의에 짓눌리면서 일본말과 한자말과 일본 말투가 파고들었으며, 해방 뒤에는 영어 자본주의가 넘치면서 영어와 번역 말투가 퍼집니다. 세 갈래 거친 물줄기를 떨치면서 오롯이 한국말다운 한국말을 누리는 사람이 매우 적어요. 그래서 “용변을 보고 있습니다” 같은 말투를 시인조차 제대로 못 느끼면서 쓰고 말아요.
이 대목에서는 첫째, “보고 있습니다”가 잘못입니다. 한국 말투는 이러하지 않아요. “봅니다”라고만 해야지요. 한국말에는 현재진행형이 없습니다. “본다”나 “봅니다” 한 마디로 모든 때를 가리킵니다. 어떤 이는 “보고 계시다”처럼 적기도 하는데, ‘계시다’라 한대서 높임말이 아니에요. 높임말을 옳게 하자면, “보신다”처럼 적어야 올바릅니다.
둘째, ‘용변’이 잘못입니다. 한자말 ‘용변(用便)’은 “대변이나 소변을 봄”을 가리킨다고 해요. 여기에서 ‘대변(大便)’은 “‘똥’을 점잖게 이르는 말”이라 하고, ‘소변(小便)’은 “‘오줌’을 점잖게 이르는 말”이라 하지요.
용변을 보고 있습니다
→ 똥을 눕니다
→ 오줌을 눕니다
→ 똥오줌을 눕니다
→ 볼일을 봅니다
→ 뒤를 봅니다
…
똥은 똥이고 오줌은 오줌입니다. 똥이나 오줌을 ‘점잖게’ 말해야 할 일이 없습니다. 굳이 점잖게 말하고 싶다면 ‘볼일’이나 ‘뒤’라 말하면 돼요. 더군다나, 아가라 하면 아예 달리 쓰는 말이 있어요. ‘응가’가 있거든요.
생각을 하면서 말을 합니다. 한국사람이 쓸 한국말은 어떤 빛과 무늬와 결일까 하고 생각을 하면서 말을 합니다. 내 살가운 이웃과 살가이 나눌 어여쁜 말은 어떤 모습일까 하고 생각을 하면서 말을 합니다.
수수하게 나누는 말입니다. 즐겁게 주고받는 말입니다. 아이들이 어릴 적부터 ‘똥’과 ‘오줌’과 ‘볼일’과 ‘뒤’와 ‘응가’ 모두 스스럼없이 받아들이며 쓰는 쉽고 바른 말이 되도록, 우리 어른들이 힘을 기울이기를 빕니다. 4346.1.21.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아가가 엉거주춤 / 응가를 눕니다
(최종규 .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