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보기
― 보고 싶은 대로 찍는다

 


  보고 싶은 모습을 사진으로 찍습니다. 보고 싶지 않은 모습은 사진으로 못 찍습니다. 안 찍는다고 해야 할까요.


  나누고 싶은 모습을 사진으로 찍습니다. 나누고 싶지 않은 모습이라면 애써 바라보지 않을 뿐더러, 딱히 사진으로 담을 일이 없습니다.


  사랑하고 싶은 모습을 사진으로 찍고, 사랑스레 느끼는 모습을 사진으로 찍습니다. 좋다 느끼는 모습을 사진으로 찍으며, 좋아하는 모습을 사진으로 찍습니다.


  그러나, 먹고살아야 하기 때문에 돈을 벌어야 한다면, 보고 싶지 않거나 나누고 싶지 않거나 사랑하지 않거나 좋다 느끼지 않더라도, 사진을 찍어야 할 수 있겠지요. 이를테면, 사진관에서 일한다거나 스튜디오에서 일하면 이런 사진도 찍을밖에 없습니다.


  한국에는 무기공장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한국에는 군대가 있거든요. 군인이 입을 옷을 만드는 공장이 있고, 군인이 먹는 밥을 만드는 공장도 있어요. 군수품을 만드는 공장은 모두 ‘전쟁에 이바지하는 일’을 하는 셈입니다. 탱크를 만들거나 전투기를 만들거나 군함을 만드는 일도 모두 ‘전쟁놀이’라 할 만합니다. 아마, 누군가는 ‘군대가 있어야 평화를 지킨다’는 생각일 테고, 누군가는 ‘군대가 있으니 평화가 없다’는 생각이지만 먹고살아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그냥 공장 일꾼으로 지내리라 봅니다.


  삶이 고스란히 묻어나는 사진입니다. 보고 싶은 모습을 스스로 즐겁게 사진으로 찍을 때에는 ‘내가 이 사진을 바라보면서 빙긋 웃기’도 하지만, 내 이웃이나 동무도 이 사진을 바라보면서 빙긋 웃을 만해요. 그렇지만, 내가 썩 보고 싶지 않은 모습이지만 돈을 벌어야 해서 찍는 사진일 때에는, 겉보기로는 퍽 그럴싸하거나 예쁘장해 보인다 하더라도, 빙긋 웃을 만하지 않아요. 꾸몄거든요. 치레했거든요. 꾸미거나 치레한대서 잘못이지는 않은데, 꾸미거나 치레하면서 ‘사진을 찍는 사람 넋과 삶과 꿈과 사랑’이 담기지 못해요.


  시골집에서 두 아이와 살아가며 두 아이 담는 사진을 물끄러미 바라봅니다. 내가 찍은 내 사진을 내가 가만히 바라봅니다. 엊저녁 조용히 사진을 바라보다 보니, 내 사진에 두 아이가 나란히 담기는 사진이 나날이 늘어나는구나 싶습니다. 작은아이가 돌을 지나 한참 걷고 뛰고 하느라 부산할 적에는 큰아이 따로 작은아이 따로 찍곤 했는데, 요즈음은 두 아이가 나란히 담기는 사진이 퍽 많아요. 아무래도, 내 삶이란, 내가 느끼는 하루란, 두 아이가 서로 사이좋게 놀고 어울리면서 빛내는 모습이기 때문일까요. 둘이 활짝 웃으며 놀고 어깨동무하기를 바라니까, 이 바람이 내 사진에 살포시 담길까요. 모두모두 어여쁩니다. 4345.12.17.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2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