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딧불이 ㅣ 과학은 내친구 16
칸자와 토시코 글, 쿠리바야시 사토시 사진, 엄기원 옮김 / 한림출판사 / 2004년 8월
평점 :
어린이가 읽는 사진책 17
무엇을 찍어서 함께 볼까요
― 반딧불이
쿠리바야시 사토시 사진,칸자와 토시코 글,엄기원 옮김
한림출판사 펴냄,2004.8.25./9000원
사진을 찍는 어른들은 으레 여러 가지를 사진으로 담으려고 애씁니다. 이를테면, 한두 해에 걸쳐 어느 한 가지 사진을 바지런히 찍고 나서 사진잔치를 열거나 사진책을 내놓은 다음, ‘다른 사진감’을 찾아나섭니다. 이제까지 찍은 사진은 접고는 ‘다른 사진이야기’를 얻고자 합니다.
이와 같은 사진찍기는 나쁘지 않으나, 좋지도 않습니다. 누군가는 떠도는 삶을 즐길 수 있고, 누군가는 마실하는 삶을 누릴 수 있어요. 사진찍기에는 나쁘고 좋음이 없어요. 스스로 꾸리는 삶결 그대로 사진찍기를 이룰 뿐입니다.
다만, 스스로 사진감을 이리저리 옮길 적에는 깊이 생각해 보아야지 싶어요. 굳이 어느 한두 가지만 사진으로 담아야 할 까닭은 없습니다만, 이것저것 사진으로 담으려 한다 할 적에는, 정작 사진쟁이 스스로 가장 사랑하며 즐기고 좋아하면서 빛낼 사진감을 찾지 못했다는 소리가 아닐까 싶어요. 꼭 ‘가장 사랑하는 한 가지’만 사진으로 담을 까닭 또한 없다 할 텐데, 가장 사랑하는 한 가지 말고 무엇을 사진으로 담을까 궁금하곤 해요.
숲도 좋고 들도 좋다면, 숲이랑 들을 나란히 찍으면 됩니다. 어느 때에는 숲만 찍다가, 다른 때에는 들만 찍을 수 있을 텐데, 두 가지 모두 사진쟁이한테는 삶이기에 어느 한 가지만 바라보지는 못해요. 숲도 들도 바다도 좋다면, 숲도 들도 바다도 나란히 찍으면 됩니다. 그리고, 이번엔 숲 이번엔 들 이번엔 바다, 이렇게 돌고 돌며 찍을 수 있겠지요.
곰곰이 돌이켜보면, 우리 사회는 사람들마다 스스로 생각을 북돋우도록 이끌지 않습니다. 제도권학교는 오직 대학바라기로 내몹니다. 제도권사회는 오직 돈벌이만 하라고 등을 떠밉니다. 다 다른 사람들이 다 다른 보금자리에서 다 다른 사랑을 꽃피우면서 다 다른 꿈을 누리도록 보살피지 않아요. ‘먹고사는 걱정’을 하도록 닦달하는 교육이요 사회예요. 살가이 사랑하고 따숩게 어깨동무하라는 삶이 아닌, 이웃이랑 동무를 밟고 올라서서 ‘돈을 더 벌라’고 들볶는 교육이며 사회예요. 오늘날 사람들은 학교를 다니고 회사를 다니면서 스스로 ‘다 다른 넋’인 줄 잊곤 합니다. 내가 얼마나 다르면서 아름다운가를 깨닫지 못하곤 합니다. 내가 걸어갈 즐겁고 환한 길을 못 찾곤 합니다.
어린이 사진책 《반딧불이》(한림출판사,2004)를 내놓은 일본사람 쿠리바야시 사토시 님은 머리말에서 “내가 반딧불이 생태를 촬영하고자 결심한 것은 1970년이었습니다. 그때의 자연환경은 믿기 어렵겠지만 황폐했습니다. 하천이라는 하천은 콘크리트로 굳혀지고, 벼농사에 사용되는 농약이 마구 뿌려져서 수중곤충이 사라지고 있었습니다.” 하고 밝힙니다. 일본은 1970년만 하더라도 지나친 경제개발 때문에 고즈넉한 숲이 망가졌다는 소리인데, 한국은 2010년대 요즈음 어떠한 숲이요 어떠한 삶터라고 할 만할까요. ‘4대강 살리기’라는 이름을 내세우는 토목공사가 온 나라 냇바닥에 콘크리트를 들이붓는데, 이런 토목공사가 아니더라도 ‘큰물막이’라는 핑계로 골골샅샅 봇도랑마저 콘크리트덩이가 되었어요. 흙바닥으로 된 도랑이 사라져요. 흙바닥이 아니기에 물고기가 살지 못하고, 가재가 살지 못하며, 우렁이가 살지 못합니다. 빗물에 멧자락 흙이 쓸려 봇도랑에 흙이 다시 쌓이면 비로소 물고기가 알을 낳거나 우렁이가 움을 틀 자리가 생긴다지만, 사람들은 봇도랑에 쌓인 흙을 바지런히 걷어내니 숲이 숲다이 살아남기란 몹시 힘듭니다. 그러니까, 제아무리 정갈하다 하는 시골마을에서조차 반딧불이 구경하기란 아주 힘들어요. 반딧불이를 구경하기 힘든 시골에서는 다른 풀벌레와 멧새를 구경하기도 힘들지요.
봇도랑뿐 아니라 냇바닥까지 콘크리트로 처바르는 사회는 사람들을 모두 똑같은 톱니바퀴 되도록 몰아세우는 사회입니다. 어른들한테 물어 보셔요. 어른들더러 ‘당신은 꿈이 무엇인가요?’ 하고 물어 보셔요. 아이들한테 묻기 앞서 어른들한테 먼저 ‘꿈이 있느냐?’ 하고 물어 보셔요.
어른들은 어떤 꿈을 말할 수 있을까요. 어른들은 꿈다운 꿈을 말할 수 있을까요. 어른들은 ‘돈·아파트·자가용·몸매’ 따위 말고, ‘사랑·믿음·아름다움·참다움’ 같은 꿈을 말할 수 있을까요.
일본 사진쟁이 쿠리바야시 사토시 님은 ‘반딧불이’를 사진으로 찍는 사람입니다. “어느 초여름 밤, 산속에서 우연히 몇 천 개라고도 할 수 없는 빛의 난무를 눈으로 봤을 때, 감격한 나머지 몸이 떨렸던 것을 지금도 생생히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때, 반딧불이의 생태를 사진으로 기록해서 그 소중함을 세상에 전하는 것이 내 사명으로 여겨져, 지금까지 해마다 촬영을 하고 있습니다.” 하고 밝힙니다. 아마, 반딧불이 한 가지만 사진으로 담을 수 있고, 반딧불이를 담는 동안 천천히 기다리면서 ‘반딧불이를 둘러싼 숲’이랑 ‘반딧불이랑 이웃한 벌레와 나무와 풀과 새’를 나란히 사진으로 담을 수 있겠지요. 그러니까, 쿠리바야시 사토시라 하는 사진쟁이는 ‘반딧불이 사진’입니다. 아무개는 꿈이 무엇이기에 이러한 꿈결에 따라 어떠한 사진이로구나, 하는 이야기가 이루어집니다.
자, 생각해 봐요. 한국에서 사진길 걷는 어른들을 한 분씩 떠올려 봐요. 아무개 님은 어떤 꿈을 빚으면서 어떤 사진을 하는 분인가요. 저무개 님은 어떤 꿈을 누리면서 어떤 사진을 나누는 분인가요. 아무개 하면 척 하고 어떤 사진이로구나, 하고 떠올릴 만한가요. 사진길이 삶길이 되면서 스스로 빛내는 사진감을 환하고 맑게 떠올릴 만한가요. ‘골목’ 하면 김기찬 님이요, ‘사람’ 하면 최민식 님이라 할 만한데, 사진밭 다른 어른들은 어떤 삶길을 꾸리면서 어떤 사진길을 걸어가는가요. 어떤 사랑길을 돌보면서 어떤 꿈길을 빚는가요.
아이들과 함께 살아가는 우리 어른들은 무엇을 사진으로 찍어서 아이들이랑 어깨동무하면서 즐겁게 바라보며 환하게 웃으면 아름다울까요. 이 땅에 이주노동자가 아주 많은데, 이주노동자하고 함께 살아가는 우리들은 무엇을 사진으로 찍어서 이주노동자랑 어깨동무하며 즐겁게 바라보며 맑게 웃을 때에 아름다울까요. 내 이웃을 살펴보셔요. 내 동무를 바라보셔요. 우리 아이들을 생각하셔요. 내 어버이를 톺아보셔요. 그리고, 내 마음속에 깃든 빛줄기를 들여다보셔요. 내 손에 쥔 사진기는 무엇을 담을 때에 콩닥콩닥 뛰는 ‘푸른 기계’로 빛날까요. 4345.12.14.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2 - 사진책 읽는 즐거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