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에 시집 네 권

 


  저녁에 시집 네 권을 읽는다. 한 권은 즐겁게 읽고, 세 권은 이렁저렁 시큰둥하게 읽는다. 즐겁게 읽은 시집을 쓴 이도 어떤 문학상 하나를 받았다 하는데, 신문배달 하던 어릴 적 이야기부터 방위병으로 지내며 현역병한테 숱하게 얻어맞은 이야기에다가 탄광일과 김일 하는 삶을 시로 알뜰히 적바림했다. 다른 세 권을 쓴 이도 이런 상 저런 상을 받았다 하고, 누군가는 대학교에서 문학을 가르치기도 한단다. 그런데 나는 이들 시집 세 권이 썩 즐겁지 않다. 이들은 시를 왜 썼을까. 이들은 시를 써서 왜 상을 받고 왜 대학교에서 학생을 가르치기도 할까.


  시는 헛소리를 담지 않는다. 시는 삶을 담는다. 삶을 담지 않고서는 시가 태어나지 않는다. 주절주절 떠들거나 말놀이를 한대서 시가 될까. 주절주절 떠들면 ‘주절주절 시끄러운 소리’요, 말놀이를 하면 ‘꼬투리 잡는 말놀이’가 될 뿐이다.


  일을 하건 놀이를 하건 아이를 돌보건 살림을 꾸리건 마실을 다니건 숲에 깃들건 무얼 하건, 스스로 살아내는 하루를 노래 하나로 영글 때에 비로소 싯말이 태어난다고 느낀다. 어떤 일을 하건 무슨 대수랴. 어떤 일을 하건 스스로 말꽃을 피울 수 있어야 노래를 불러 시를 짓겠지. 어느 자리에 있더라도 스스로 사랑꽃을 피우지 못하는 사람은 노래를 부르지 못할 뿐 아니라 시노래를 짓지 못한다.


  한 달에 걸쳐 읽는 시집이 아니요, 한 해 내내 읽는 시집이 아닌, 저녁나절 휘리릭 훑고는 두 번 다시 펼칠 일이 없으리라 느끼는 시집 세 권이란 무엇일까. 이 시집이 되려고 싹둑싹둑 베이고 만 숲은 무엇이 된 셈일까. 종이 한 장은 나무 한 그루요, 책 한 권은 숲 한 자락이다. 시집 하나는 숱한 숲이 새로 태어난 넋이다. 사람들은 숲에 어떤 이름을 아로새길 생각인가. 사람들은 숲을 밀어 어떤 돈을 벌 생각인가. (4345.11.11.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