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마 침팬지보다 못 찍을까
오동명 글.사진 / 학고재 / 200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을 나누고 싶어 즐기는 사진
 [찾아 읽는 사진책 118] 오동명, 《설마 침팬지보다 못 찍을까》(학고재,2003)

 


  마음을 나누고 싶어 즐기는 사진이라고 느낍니다. 무언가 번듯한 그림을 만들려고 하는 사진은 아니라고 느낍니다. 남한테 멋스러이 보이도록 하려고 만드는 사진 또한 아니라고 느낍니다. 스스로 즐기려고 찍는 사진이요, 스스로 마음을 넉넉하거나 따스하게 보듬고 싶어 찍는 사진이라고 느낍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사진으로 찍으면 사진기를 거쳐 내 마음속으로 사랑스러운 기운이 스며듭니다. 어여쁜 우리 집 아이들을 사진으로 찍으면 사진기를 거쳐 내 마음속으로 우리 집 어여쁜 아이들 숨결이 스며듭니다. 아름답구나 싶은 숲이나 멧골이나 바다나 들을 사진으로 찍으면 사진기를 거쳐 내 마음속으로 아름답구나 싶은 넋이 스며듭니다.


  아픔이나 슬픔을 사진으로 찍으면 내 마음속으로 아픔이나 슬픔이 스며들어요. 눈물 나는 이야기를 사진으로 찍으면 내 마음속으로 눈물 나는 이야기가 스며들어요. 괴로운 모습을 사진으로 찍으면 내 마음속으로 괴로움이 스며들겠지요.


  기쁨이라 더 좋고 슬픔이라 더 나쁘지 않아요. 그때그때 내 마음이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사진을 찍어요. 어느 때는 웃음을 사진으로 찍을 테고, 어느 때는 눈물을 사진으로 찍을 테지요. 삶을 사진으로 찍을 수 있고, 죽음을 사진으로 찍을 수 있어요. 푸른 숨결이 반갑다 여기면 풀과 숲과 나무를 사진으로 담을 테고, 따순 손길이 반갑다 여기면 살가운 사람들을 마주하며 사진으로 담을 테지요.


  사진책을 장만해서 읽을 때를 헤아려 보셔요. 누구나 사진책에 깃든 사진을 읽습니다. 사진잔치에 찾아가 사진을 바라볼 때를 생각해 보셔요. 누구나 사진잔치에 걸린 사진을 읽습니다. 어떤 사진기를 썼거나 어떤 필름을 썼거나를 따지거나 가리지 않아요. 내 마음속으로 스며드는 이야기를 생각해요. 내 마음을 건드리는 이야기를 떠올려요.


  사진쟁이 오동명 님은 《설마 침팬지보다 못 찍을까》(학고재,2003)라 하는 책을 내놓으면서 “사진을 배우려는 사람들은 누구나 처음엔 잘 찍어야 한다는 생각에 집착하게 된다. 이 집착이 정말 재미있고 흥미로워야 할 취미를 더 버겁게 만들 수 있다(5쪽).” 하고 말합니다. 참말 사진은 스스로 재미있게 찍고, 스스로 즐기며 찍을 뿐입니다. 잘 찍을 까닭이 없습니다.


  부엌살림 맡은 이는 밥을 즐겁게 할 뿐, 밥을 잘 해야 하지 않아요. 빨래를 잘 해야 하나요? 아니에요. 빨래를 즐겁게 해서, 식구들 다 함께 새옷을 즐겁게 입으면 돼요. 길을 잘 걸어야 하나요? 아니에요. 길을 즐겁게 거닐며 식구들이 나란히 나들이를 다니면 돼요. 말을 잘 해야 하나요? 아니에요. 내 마음이 어떠한가를 몇 마디 낱말을 엮어 즐겁게 나누면 돼요.


  우리들은 무엇을 ‘잘 해야’ 할까요? 아니, 우리가 살아가면서 굳이 어떤 일이나 놀이를 ‘잘 해야’ 하는 까닭이 있을까요?


  누구나 즐겁게 살아가면 됩니다. 누구나 즐겁게 밥을 먹고, 즐겁게 말을 하며, 즐겁게 사랑하면 됩니다. 즐겁게 글을 쓰고, 즐겁게 노래를 부르면 돼요. 가락과 빠르기를 맞추어 노래를 ‘잘 불러’야 하지 않아요. 마음을 즐겁게 다스리면서 기쁘게 누리면 되는 노래예요.


  이리하여, 오동명 님은 “자기를 돋보이게 하는 사진은 거짓으로 만든 예쁜 얼굴이 아니라 자기애가 당당하게 드러난 얼굴 아닐까(24쪽).” 하고 덧붙입니다. 사람 얼굴도 ‘예쁘고 밉고’가 따로 없어요. 얼굴은 그예 얼굴이에요. 남한테 ‘잘 보이려’ 할 까닭이 없어요. 다른 사람 눈치를 볼 까닭이 없어요. 다른 사람이 ‘잘 읽어 주기’를 바란다거나 ‘잘 바라봐 주기’를 바랄 까닭이 참으로 없어요.


  스스로 즐기는 삶이기에 스스로 즐기는 사진입니다. 곧, “사진 찍는 기술보다 더 중요한 건 카메라를 다루는 사람의 마음 씀씀이야. 관심이 곧 사진실력이라 이 말씀이야. 아이에 대한 애정과 관심만으로도 아이 사진은 엄마가 충분히 잘 찍을 수 있어. 연출된 사진이 아니라 삶의 솔직함이 그대로 묻어나는 사진은 엄마만이 찍을 수 있다는 말이지(54∼55쪽).” 하고 말할 만합니다. 사랑으로 살아가는 하루요, 사랑으로 찍는 사진입니다. 즐겁게 살아가며 즐겁게 찍는 사진입니다. 사랑을 담아 말을 나누고, 사랑을 담아 사진을 나눕니다. 즐겁게 밥을 함께 먹습니다. 즐겁게 사진을 함께 들여다보며 웃습니다.


  우리 집 아이들이건, 내 짝꿍이건, 내 동무나 이웃이건, 나는 언제나 나 스스로를 가장 홀가분하며 따사롭고 즐거운 한편 환하게 빛나는 모습으로 가꾸면서 서로 어울립니다. 꾸밀 까닭이 없습니다. 가꾸기만 합니다. 씨앗 한 알 밭에 심어 즐거이 가꾸듯, 내 마음밭에 사랑씨앗 곱게 심어 즐거이 가꿉니다. 돌봅니다. 보살핍니다. 쓰다듬습니다. 어루만집니다. 아낍니다. 누립니다.


  “사진은 찍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사진이 나온 뒤나 오랜 시간이 흘러 꼬부랑 할머니, 할아버지가 된 뒤에도 사진을 보며 나눌 이야기가 생기거든(96쪽).” 하는 말마디를 되새깁니다. 사진을 찍을 때에는 ‘이야기가 찍힙’니다. 어떤 모습이 찍히는 사진이 아니라, 이야기가 찍히는 사진입니다.


  글을 쓸 때를 떠올려 봐요. 글쓰기란 이야기쓰기예요. 맞춤법쓰기나 표준말쓰기가 아닌 이야기쓰기예요.


  그러면 이야기쓰기란 무엇일까요. 바로 ‘삶쓰기’예요. 삶을 쓰고, 사랑을 쓰며, 꿈을 씁니다. 사진을 찍는다 할 적에는 ‘사진찍기 = 사진찍기’가 되고, 사진찍기란 삶을 찍고, 사랑을 찍으며, 꿈을 찍는 얼거리가 돼요.


  내가 누리는 삶을 사진으로 찍습니다. 내가 즐기는 사랑을 사진으로 찍습니다. 내가 빛내는 꿈을 사진으로 찍습니다.


  오동명 님은 “자기가 직접 찍으며 나눈 대화만큼 마음을 오래 잡아둘 수 있을까(240쪽).” 하는 말로 사진책 《설마 침팬지보다 못 찍을까》를 마무리짓습니다. 그야말로 ‘사진 잘 찍는 솜씨나 재주’란 덧없습니다. ‘값진 사진장비’란 부질없습니다. ‘사진학교 다닌 자격증이나 졸업장이나 이력서’는 값없습니다. 사랑이 있을 때에 찍는 사진입니다. 삶이 있을 때에 찍는 사진입니다. 마음을 나누고 싶어 즐기는 사진입니다.


  실컷 찍고 신나게 누리며 예쁘게 밝히는 사진입니다. (4345.11.3.흙.ㅎㄲㅅㄱ)

 


― 설마 침팬지보다 못 찍을까 (오동명 글·사진,학고재 펴냄,2003.5.6./13000원)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