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편지
타니카와 후미코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귀여운 아이
[만화책 즐겨읽기 183] 타니카와 후미코, 《편지》
뒹구르르 구르며 자는 아이를 반듯하게 누입니다. 뻥뻥 걷어찬 이불을 여미어 줍니다. 밤새 여러 차례 돌려 누이고 이불을 여미어도, 아이들은 아침까지 끝없이 다시금 구르면서 이불을 걷어찹니다.
아이들은 저희 어버이가 다시 누이고 이불을 여미어 주는지 보지 못합니다. 몸으로는 느낄는지 모르고, 마음으로는 헤아릴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아이들이 눈을 뜨고 이런 모습을 보는 일은 없습니다. 언제나 아이들이 모르는 자리에서 벌어집니다.
내가 살아온 지난날을 돌이키면, 내 어버이도 나한테 이렇게 했겠지요. 내 어버이가 어렸을 적, 내 어버이를 낳은 어버이도 이렇게 했겠지요.
귀엽구나 하고 느끼는 아이를 돌보며 살아가는 어버이는 늘 사랑을 베풉니다. 사랑을 나누어 주고, 사랑 어린 웃음과 노래를 아이들한테서 받습니다. 아이들은 어버이 마음속에 있는 사랑을 길어올립니다. 어른들은 아이 가슴속에 있는 사랑을 일깨웁니다. 서로가 서로를 아끼고 좋아하면서 삶을 빛냅니다. 서로 따사로이 보살피고 믿으면서 하루를 누립니다.
- ‘엄마라는 인종은 좀 묘한 생물이라고 생각한다.’ (6쪽)
- “근데 부모님은 자식 걱정이 일이나 다름없는 거 아냐? 그리고 때마다 택배 보내는 거랑.” (22쪽)
- “그래도 자식이 어떤 곳에서 어떻게 생활하는지 궁금하잖아.” (31쪽)
- “다 큰 여자애가, 특별한 목적도 없이 도시에서 빈둥거리는 거 엄마는 별로 안 좋아 보여. 아니, 솔직히 걱정돼. 꼭 도쿄에 있어야 할 이유라도 있어?” (137쪽)
날마다 먹는 밥 한 그릇에 사랑을 담습니다. 언제나 입는 옷가지 한 벌에 사랑을 싣습니다. 마주보는 얼굴에 사랑이 흐릅니다. 속삭이는 이야기마다 사랑이 감돕니다.
아이들은 어버이가 어떤 일을 하든지 대수로이 여기지 않습니다. 어버이가 회사원이든 대통령이든 군인이든 공무원이든, 또는 돈벌이 없는 사람이든, 농사꾼이든 고기잡이이든 대단하게 여기지 않아요. 그예 함께 살아가는 어버이예요.
아이들은 어버이 키가 크든 작든 대수로이 여기지 않아요. 아이들은 어버이 얼굴이 예쁘장하든 우락부락하든 대단하게 여기지 않아요. 그저 함께 살아가는 반가운 어버이예요.
어버이가 아이들을 바라볼 때에도 이와 같아요. 이 아이가 저 아이보다 더 예쁘장하게 보이지 않아요. 이 아이가 저 아이보다 더 똑똑하게 보이지 않아요. 심부름을 더 잘 해내건, 말을 더 또박또박 하건, 그리 대수롭지 않습니다. 하나같이 사랑스러운 아이요, 한결같이 믿음직한 아이입니다.
아이들이 어버이를 바라볼 적에, 어버이 ‘하는 일’이 무엇이건 대수롭지 않듯, 어버이가 아이들을 바라볼 때에도, 아이들 ‘하는 일’이 어떠하든 대단하지 않아요.
스스로 가장 좋아할 일을 하면 돼요. 스스로 가장 보람차게 여길 일을 찾으면 돼요. 스스로 가장 즐기면서 스스로 가장 빛나는 일을 헤아리면 돼요.
- “오오오? 누가 나한테 편지를 보냈지? 주정뱅이에다 외톨이인 나한테. 우와 이렇게 기쁜 일이.” (11쪽)
- “엄마는 꼭 그렇더라고. 애들이 싫어한다는 걸 알면서도 나도 모르게 잔소리를 하게 된다니까. 아줌마도 맨날 그래. 걱정되고 귀여워서. 조금만 용서해 줄래?” “전 하나도 안 귀여워요. 못된 말만 하는걸요.” “무슨 소리야. 모토코가 얼마나 착한 아이인데.” (37쪽)
어버이한테 아이는 자랑거리가 아닙니다. 아이한테 어버이는 자랑거리가 아닙니다. 아이가 어버이 하는 일을 숨길 까닭 없고, 어버이가 아이 하는 일을 감출 까닭 없어요.
서로 웃으며 마주합니다. 서로 노래하며 어깨동무합니다. 서로 뛰놀며 보금자리 일굽니다.
어디 멀리까지 나들이를 다녀야 하지 않습니다. 어디 대학교를 보내거나 나라밖으로 공부를 보내야 하지 않습니다. 아니, 아이들한테는 어버이가 초등학교만 마쳤든 아무 학교를 못 다녔든 대수롭지 않아요. 어버이한테도 아이들이 학교를 오래 다니건 이런저런 학위나 업적이 있든 대수롭지 않아요.
이름난 사람이 되어야 반가운 아이들이 아니에요. 참다우며 착하고 아름답게 삶을 누릴 줄 알면 되는 아이들이에요. 햇살을 좋아하고 바람을 좋아하며 흙을 좋아하면 되는 아이요 어른입니다. 나무를 아끼고 풀을 아끼며 꽃을 아낄 수 있으면 되는 아이요 어른입니다.
이렇게 해야 하지 않아요. 저렇게 해야 하지 않아요. 이런 훈장을 거머쥐거나 저런 권력을 움켜쥐어야 하지 않아요. 자가용이 있어야 하지 않아요. 땅문서가 있어야 하지 않아요. 은행계좌가 없어도 돼요. 아파트에서 안 살아도 돼요.
하하 호호 웃으면 넉넉합니다. 빙그레 방실방실 웃으면 너끈합니다. 삶이란 사랑입니다. 사랑이란 삶입니다. 삶을 사랑하고, 사랑으로 살아가면 됩니다.
- ‘아, 이거였나. 나뭇잎이 부딪히는 소리.’ (52쪽)
- “카나 누나.” “응?” “얘는, 누나를 빨리 만나고 싶대. 고민하고 있어? 왜?” “어? 만나고 싶다니, 누가?” “얘, 누나 뱃속에 있는 아가.” (147∼148쪽)
- “그게 아니라 진짜 이름 말야.” “난 폰타로야. 카나 누나가 그렇게 지어 줬잖아. 둥지에서 떨어진 새끼 제비였던 나를 구해 줬지? 금방 죽어버렸지만.” (152∼153쪽)
타니카와 후미코 님 만화책 《편지》(대원씨아이,2012)를 읽습니다. 고운 마음을 실어 적바림하는 편지 한 장 주고받으며 빛낸 예쁜 사랑이 춤을 춥니다. 고운 마음을 적어서 띄운 편지이기에, 이 편지 한 장으로 여러 사람이 사랑스레 웃습니다. 고운 마음을 서로 띄워서 보내며, 서로 하루하루 곱게 누립니다.
사랑은 바로 여기에 있어요. 사랑은 바로 내 가슴에 있어요. 사랑은 바로 여기에서 누려요. 사랑은 바로 나한테서 샘솟아요.
책에 나오는 사랑이 아니에요. 영화에서 찾는 사랑이 아니에요. 연속극에서 훔쳐보는 사랑이 아니에요. 먼발치에서 구경하는 사랑이 아니에요. 스스로 빚고 스스로 즐기며 스스로 가꾸는 사랑이에요.
- ‘제대로 그 사람을 이해하고 다정하게 대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쏟아부을 수 있다면, 좋은 느낌으로 서로를 바라볼 수 있지 않을까.’ (60쪽)
- ‘어긋나는 것도 넓은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어.’ (72쪽)
- ‘난 정말 바보구나. 그래도 조금은 멋지게 끝내고 싶었어. 왜냐하면 정말로 많이 좋아했으니까.’ (89∼90쪽)
- ‘엄마 아빠도 감정을 숨기지 못할 정도로 기뻐했다. 처음 보는 표정이었다. 내가 다른 누군가를 이렇게나 기쁘게 할 수 있는 줄은 몰랐다. 나로 인해 이렇게나 기뻐해 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도.’ (182∼183쪽)
만화책 《편지》는 책이름처럼 ‘편지’를 말합니다. 편지를 쓰는 사람이 마음 깊이 느끼는 사랑과 꿈을 말합니다. 편지를 쓸 종이 한 장을 고르고, 글씨 하나하나 또박또박 적바림하는 동안 느끼는 사랑과 꿈을 말합니다. 이리 휘들리거나 저리 흘러가는 모습이 아닌, 한결같이 흐르면서 하나같이 움직이는 따사로운 사랑과 꿈을 말해요.
사랑을 무엇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꿈을 무엇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눈물은 무엇이고, 웃음은 무엇일까요. 삶을 빛내는 사랑은 어디에 있으며, 삶을 밝히는 꿈은 누구와 찾을 수 있을까요.
어버이는 아이들이 언제나 귀엽습니다. 고운 사랑을 함께할 짝꿍을 만나든, 가슴이 아프게 어떤 일을 겪든, 언제나 귀여운 아이입니다. 아이들은 무럭무럭 자라서 이녁 어버이처럼 어른이 되고 어버이가 됩니다. 어른이 되고 어버이가 된 아이들은 한편에서는 어른이되 한편에서는 아이입니다. 아이들 어버이 또한 아이들을 보살피는 어버이요 다른 한편에서는 누군가한테서 사랑을 받고 살아온 아이입니다.
모두 같은 사람으로서 사랑합니다. 모두 같은 목숨으로서 꿈꿉니다. 모두 같은 숨결이요 빛으로서 살아갑니다. (4345.10.4.나무.ㅎㄲㅅㄱ)
― 편지 (타니카와 후미코 글·그림,이지혜 옮김,대원씨아이 펴냄,2012.8.15./4500원)
(최종규 .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