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꾼 ‘싸이’ 독서량 0

 


  노래하는 사람 ‘싸이’는 “독서량 0”이라고 한다. 그런데, 오늘날 사람들 가운데 “독서량 0”인 사람이 노래꾼 싸이뿐일까 궁금하다. 참 많은 사람들이 “독서량 0”이라고 느낀다. 대통령 뽑는 날이 다가온다 하는데, 대통령이 되겠다고 나선 이들은 책을 얼마나 읽을까. 아니, 책을 읽을 틈을 내기는 할까. 이곳저곳 돌아다니며 이름과 얼굴을 알리는 데에 바쁜 나머지, 스스로 삶과 넋과 꿈을 북돋우는 책을 어느 만큼 읽을는지 알쏭달쏭하다.


  그런데, “독서량 0”이 아닌 “독서량 1”이면 어떠할까. “독서량 2”나 “독서량 3”은 어떠한가. 0과 1는 얼마나 다르고, 1와 2은 얼마나 다른가. 차근차근 이어 5과 6은, 9과 10은 얼마나 다를까. 더 이어 생각한다. 열한 권 읽는 사람과 열두 권 읽는 사람은 어떻게 다르려나. 열두 권과 열세 권, 열세 권과 열네 권, …… 아흔아홉 권과 백 권, …… 구백아흔아홉 권과 천 권, 이렇게 저렇게 읽는 책 숫자는 서로 얼마나 다르다 할까.


  다른 금이 있을까. 다르다 할 대목이 있을까.


  “읽은 책 없음”과 “읽은 책 한 권”이 그리 다르지 않다면, “읽은 책 없음”과 “읽은 책 만 권” 또한 그리 다르지 않으리라. 곧, 책은 ‘숫자’로 읽지 않는다. 책은 책으로 읽는다.


  사람은 사람으로 읽는다. 사귀거나 만나거나 아는 사람 ‘숫자’가 많대서 동무가 많거나 이웃이 많다고 말하지 않는다. 사귀거나 만나거나 아는 사람이 서로서로 얼마나 사랑스럽거나 아름다운가를 살펴야 비로소 ‘사람읽기’가 어떠한가를 헤아릴 수 있다.


  어떤 책을 한 권 읽거나 백 권 읽는가를 돌아보아야지 싶다. 저마다 읽은 책을 어떻게 곰삭혔는가를 살펴야지 싶다. 책 한 권 읽은 뒤로 삶과 넋과 꿈이 어떻게 거듭나거나 새롭게 꽃피었는가를 톺아보아야지 싶다. 종이로 된 책을 안 읽었거나 적게 읽었대서 대수롭지 않다. 종이로 된 책을 많이 읽었거나 꾸준히 읽는대서 대단하지 않다.


  삶을 생각할 노릇이라면, 달삯을 얼마 버는가 하는 숫자나 종이책 몇 권 읽었나 하는 숫자에서 홀가분해져야지 싶다. 한 마디로 간추리자면, 대학교 졸업장으로 ‘어느 한 사람 삶이나 넋이나 꿈’을 읽을 수 있거나 살필 수 있거나 가를 수 있다고는 말하지 못한다. 대학교 졸업장은 그예 졸업장일 뿐, 이 졸업장이 한 사람을 보여주지 못한다. ‘한 사람이 읽은 책’ 또한 그저 읽은 책일 뿐, 이렁저렁 읽은 책이 ‘한 사람이 걸어온 길’을 밝히지 못한다.


  겉으로 내세우는 이름은 모두 덧없다. 여러 가지 좋다거나 훌륭하다거나 멋지다거나 하는 이름을 붙인다고 해서 좋아지거나 훌륭해지거나 멋져지지 않는다. 스스로 좋게 살아갈 때에 좋을 뿐이요, 스스로 훌륭하게 생각하며 살아갈 때에 훌륭하고, 스스로 멋지게 생각하고 꿈꾸며 삶을 일굴 때에 멋지다.


  나는 노래꾼 싸이 님이 어떤 삶길을 걸었는지 모르고, 둘레에 어떤 이웃이나 동무를 사귀는지 모른다. 무엇을 얼마나 배웠고, 이녁 동생이나 아이한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지 또한 모른다. 그러나, 누가 누구한테 지식이나 정보를 가르치는 일도 부질없다. 게다가, 지식이나 정보를 가르친대서 삶을 배우지 못한다. 오직 온몸으로 삶을 보여주면서 느끼도록 할 뿐이다. 대학교 졸업장이 있어야 아이를 낳아 돌보지 않는다. ‘읽은 책 권수와 가짓수’가 많아야 아이들을 슬기롭게 가르치거나 이끌지 않는다. 사랑이 있을 때에 아이들한테 사랑을 보여주며 가르치고 물려준다. 꿈이 있을 때에 아이들한테 꿈을 보여주며 가르치고 물려준다. 이렇게 살아가면 넉넉하지 않을까? ‘종이책 독서량 0’이 무슨 대수랴.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사랑’이 메마른 사람들이 딱하지, ‘종이책 읽은 권수가 없’는 사람이 딱하지 않다. (4345.10.2.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