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친 Kitchien 2
조주희 글 그림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사는 나라
 [만화책 즐겨읽기 176] 조주희, 《키친 (2)》

 


  학교에 나무가 있어, 나무 그늘을 누리고 나뭇가지를 살랑이는 바람을 쐴 수 있으면 아름다우면서 즐겁습니다. 아이들과 살아가는 보금자리에 나무가 있어, 이 나무에서 풍기는 냄새를 맡고 멧새가 나뭇가지에 앉아 노래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면 아리따우면서 기쁩니다.


  나는 나무가 없는 학교를 생각하지 못합니다. 나는 나무가 없는 학교는 허울은 학교일 뿐, 속살로는 학교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어린 날 다니던 국민학교는 그리 오래되지 않아 나는 30회로 마쳤는데, 30회로 마친 학교라 하더라도 서른 살 남짓 먹은 나무가 우람하게 있었습니다. 이웃 학교에는 쉰 살이나 백 살 즈음 먹은 나무가 훨씬 우람하게 있었어요. 나는 나무를 바라보며 학교 나이를 헤아렸어요. 나무가 어떠한가를 살피며 그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을 돌아보았어요.


  나무를 누릴 수 있는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은 하루를 즐거이 보내며 학교를 마치고 나서도 나무가 나누어 주는 기운을 받으리라 여겼어요. 나무를 누릴 수 없는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은 하루를 스스로 떠올리지 못할 뿐더러, 학교를 마치고 나서도 나무하고 나눌 수 있는 꿈이나 사랑을 모르겠다고 여겼어요.


- ‘해초처럼 감겨지는 부드러움. 떡은 아무 맛도 느껴지지 않는 촉각의 음식이구나. 처제, 매형, 큰아버지, 할아버지, 고모, 고모부. 이름 대신 호칭을 부르는 이 나라 사람들의 비밀스런 품위를 닮아 있다. 그리고 떡과 대비되는 강렬한 미각의 주머니, 만두.’ … ‘자신들을 둘러싼 세계를 그대로 한 그릇에 옮겨 온 걸까? 그래서 이렇게 새해를 맞는, 특별한 음식이 된 거야.’ (20, 22쪽)
- “이런 물타기 전법에 내가 말려들 것 같아요? 난 서울 갈 거예요!” “가아. 가면 되지. 누가 못 가게 했니? 서울 한바퀴 돌고 기분전환 하고 와.” “기분전환? 다신 안 올 거라니까요.” “그래. 누가 뭐라니? 근데 아침은 먹고 가야지. 네 아버지도 젊었을 땐 그랬다. 어떻게든 서울로 가고 싶어 했지.” (43쪽)

 


  시외버스를 타고 시골마을 바깥으로 나갈 때라든지, 도시에서 기차나 고속버스를 타고 다른 도시로 갈 때라든지, 내 마음이 썩 좋지 못하곤 합니다. 나 스스로 생각을 빚었기 때문이라 할 텐데, 내 마음은 고속도로이든 기찻길이든 ‘찻길이나 기찻길 둘레에 스스로 씨앗을 내려 스스로 우람하게 자라나는 나무’를 느끼지 못합니다. 고속도로는 뻥 뚫려 더 빨리 오가도록 돕는다 하지만, 나무를 누릴 수 없는 길에서 자동차 빠르기를 높인다 해서 어디에서 어디 사이를 더 빨리 오갈 수 있다고는 느끼지 않아요. 네 시간을 세 시간으로 줄이고, 세 시간을 두 시간으로 줄인다는 뜻은 무엇일까요. 기차나 자동차는 어떤 땅을 밟으면서 달리는가요. 땅을 밟으며 달리는 기차나 자동차는 무슨 이야기를 빚거나 빛낼까요.


  꽃밭에 예쁘장한 나무를 몇 그루 심는 높다란 아파트가 숲을 이룬 데에서는 ‘내 마음을 담는 나무 한 그루’를 만나기 어렵습니다. 지나치게 많은 사람들이 좁다란 땅에 겹을 이루어 차곡차곡 포개어졌으니, 모든 사람들이 나무 한 그루나 열 그루씩 마주하면서 사랑스레 마음으로 사귀기 어렵습니다. 시골이라 하더라도 숲을 밀어 논밭만 일군다면, 갯벌과 바다를 메워 드넓은 논밭으로 바꾼다면, 이런 데에서도 나무와 마주하면서 살가이 마음으로 이웃하기 힘듭니다.


  내가 흙을 만질 수 있을 만한 데에서 나와 함께 무럭무럭 자라나는 나무를 만납니다. 내가 흙을 딛을 만한 데에서 나와 같이 씩씩하게 살아가는 나무를 사귑니다.


- ‘남자와 눈맞아 도망간 여자의 딸. 엄마는 도망갔지만, 난 도망갈 수 없어. 익명성 같은 건, 이 작은 마을에선 아예 사전에도 없는 말이니까.’ … ‘친구들은 숨겨 줄 것이다. 날 상처 입힐 무수한 말로부터. 재빨리 자기들 사이에 섞어버리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그렇게 모른 척하기. 그렇게 친구들은 날 감싸안고 있었다. 마치, 촘촘히 밀도 있게 들어찬 비빔밥의 따뜻한 품속처럼.’ (27, 34쪽)
- “요리사라는 직업이 결국 다른 사람을 위한 요리를 하는 거니까요. 남들을 너무 의식하게 되면서 마음이 의존적이 되더라고요. 남들 눈에 좋아 보이는 거, 기쁘게 해 줄 수 있는 거. 언제부터인가 나를 위한 요리는 하고 있지 않더라고요. 우선 나를 치료하는 요리부터 하자. 나부터 튼튼해져야 남들을 위한 요리를 해 줄 수 있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했죠.” (91쪽)

 

 

 


  나무가 있어 종이를 얻습니다. 나무가 있어 종이를 얻기에 책을 누립니다. 나무가 있어 ‘나무’를 얻어, 이 ‘나무’로 집을 짓습니다. 나무를 베어 연필을 만듭니다. 나무를 잘라 옷장을 짜고 책상과 걸상을 만듭니다. 나무는 젓가락이 되기도 하고 숟가락이 되기도 합니다. 나무는 도마도 되고 칼자루도 됩니다. 나무는 그릇도 되며, 쟁반도 돼요.


  사람들은 나무와 함께 살아가면서 사랑을 받습니다. 나무는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면서 사랑을 받습니다. 나무한테서 사랑을 받는 사람은 나무가 주는 모든 것을 누립니다. 사람한테서 사랑을 받는 나무는 해마다 즐겁게 새 씨앗을 흙에 떨굽니다. 한 나무는 열 나무가 되고, 열 나무는 백 나무가 됩니다. 나무는 스스로 숲을 이루고, 숲에서는 사람과 숱한 짐승과 벌레가 얼크러져 살아갑니다.


  사람만 있는 터는 없고, 나무만 있는 터 또한 없습니다. 사람과 나무는 서로 어깨동무를 하며 살아갑니다. 서로가 서로한테 숨결이 되고 사랑이 돼요. 곧, 마을을 이루든 학교를 이루든 여느 살림집을 이루든, 언제나 나무가 있어야 합니다. 한 나라가 서든 두 나라가 생기든 열 나라가 갈리든, 어디에나 나무가 있어야 합니다.


  나무가 있을 때에 비로소 나라가 됩니다. 나무가 싱그러울 때에 바야흐로 나라가 싱그럽습니다. 나무를 아낄 때에 참말 아낄 만한 나라입니다. 나무를 사랑하는 곳이라면 가없이 사랑할 만한 나라입니다.


- “소리로 시간을 알려주는군요. 이런 거 처음 봐요.” “저는 아직 못 봤어요. 우리끼린 ‘처음 더듬어 봐요.’라고 하죠. 아, 더듬어 드릴까요?” “못생긴 거 들통날까 봐 안 되겠어요.” “우리 세계에선 외모는 차별대상이 아닙니다. 목소리는 참 좋네요. 20대 초반?” “후반.” “이러면 다들 좋아하시더라구요. 하하하!” (49쪽)
- “뭐가 나오는지 모르니까 재밌잖아요? 우리 부모님은 이런 기분으로 절 낳으셨답니다. 원하는 바는 아니었지만, 최선을 다해 키워 주셨어요.” (52쪽)

 


  조주희 님 만화책 《키친》(마녀의책장,2010) 둘째 권을 읽으며 생각합니다. 조주희 님은 ‘먹을거리’를 사이에 놓고 ‘사람 살아가는 이야기’를 다루는데, 어느 먹을거리라 하더라도 나무한테서 태어납니다. 나무가 있어 숲이 되고, 숲이 되어 마을이 이루어지며, 마을이 이루어지면서 흙을 일구거나 열매를 얻는 데에서 ‘먹을거리’ 이야기가 샘솟습니다.


  나무 없는 삶을 생각할 수 있을까요. 햇살 없거나 냇물 없거나 바람 없거나 흙 없는 삶을 생각할 수 있을까요. 햇살처럼, 냇물처럼, 바람처럼, 흙처럼, 나무는 이 지구별을 이루는 커다란 자리입니다. 그리고, 햇살과 냇물과 바람과 흙과 나무는 모두 사람이 있어 서로 예쁜 얼거리를 이루어요.


  나는 《키친》 둘째 권을 읽으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나무’를 생각합니다. 어 떤 영양성분으로 자라나는 나무가 아니라, 사람들이 사랑을 들려주어 자라나는 나무를 생각합니다. 84쪽에 나오는 사람이 “이것 봐요. 이제 알맞은 크기로 쏘옥 자라 줘라 했더니 진짜 딱 맞게 컸어요. 우리 아기(호박) 예쁘죠?” 하고 읊는 말마따나, ‘유기농’이 아닌 ‘사랑’으로 자라나는 푸성귀를 사랑으로 먹는 삶을 들려주는 이야기를 보여주는 만화책 《키친》은 바로 나무를 말하는 만화로구나 하고 느낍니다. 나무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을 말하고,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나무를 말하는구나 싶어요.


- “혹시 전국 유기농 매장과 연계하는 사업계획 같은 거 있으세요? 아니면 채식주의자들을 위한 본격 푸드사업 계획 같은 거.” “아뇨, 그냥 제가 다 먹어요. 놀러온 친구들도 주고.” “그게 다예요?” (87쪽)

 


  내가 심은 나무를 내가 누립니다. 내가 심은 나무를 내 아이들이 누립니다. 내 아이들이 심은 나무를 이 아이들이 낳을 아이들이 누리겠지요. 그런데 내 할머니가 심은 나무를 나도 내 아이들도 누려요. 내 이웃이 심은 나무를 내가 누리기도 하고, 내가 심은 나무를 내 이웃이 누리기도 해요.


  내가 베푸는 사랑을 내가 누립니다. 내가 베푸는 사랑을 내 아이들이 누립니다. 내 아이들이 베푸는 사랑을 이 아이들이 낳을 아이들이 누리겠지요. 더욱이, 내 할머니가 베푼 사랑을 나도 내 아이들도 누려요. 내 이웃이 베푼 사랑을 내가 누리기도 하고, 내가 베푼 사랑을 내 이웃이 누리기도 해요.


  내가 마련한 밥을 내가 누립니다. 내가 마련한 밥을 내 아이들이 누립니다. 만화책 《키친》 둘째 권은 ‘내가 즐겁게 살아갈 곳’을 이야기합니다. 내가 즐겁게 살아갈 곳이란, ‘우리가 즐겁게 살아갈 나라’입니다. 우리가 즐겁게 살아갈 나라란, ‘나무가 아름드리로 우거지며 아름다운’ 곳입니다. (4345.8.22.물.ㅎㄲㅅㄱ)

 


― 키친 2 (조주희 글·그림,마녀의책장 펴냄,2010.2.25./1만 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