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얽힌 낱말

 


  나는 내가 좋아하는 책을 읽습니다. 나 스스로 안 좋아하는 책을 굳이 읽을 까닭이 없습니다. 누가 선물해 주기 때문에 읽는 책은 없습니다. 내가 읽고 싶기에 읽는 책입니다.


  나는 글로 된 책을 읽습니다. 그림으로 된 책도 읽습니다. 사진으로 된 책도 읽습니다. 책은 다 같은 책이라는 울타리에 들지만, 여러 갈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무엇으로 엮었느냐에 따라 나눌 수 있고, 줄거리에 따라 나눌 수 있으며, 읽는 사람 나이에 따라 나눌 수 있습니다. 이밖에도 새것인가 헌것인가에 따라 나누기도 하며, 쓰임새에 따라 나눌 수 있어요.

 

 ㄱ. 헌책 그림책 만화책 잡지책 소설책 지도책 이야기책 역사책
 ㄴ. 새책 사진책 인문책 철학책 어린이책 청소년책 노래책 수필책

 

  책을 (ㄱ)과 (ㄴ)처럼 나누어 봅니다. 이렇게 나누는 뜻이 없다 할 수 있으나, 이렇게 나누어 볼 수도 있습니다. 나는 굳이 이처럼 나누고 싶지 않지만, 국어사전을 뒤적이며 (ㄱ)과 (ㄴ)으로 나누어 봅니다. 그러니까, (ㄱ)은 ‘국어사전에 실린 책 낱말’입니다. (ㄴ)은 ‘국어사전에 안 실린 책 낱말’입니다. 무슨 소리인가 하면, 한국에서는 국어사전에 실린 낱말은 붙여서 적도록 하고, 국어사전에 안 실린 낱말은 띄어서 적도록 하는 맞춤법이 있어요. 그래서, (ㄱ)처럼 국어사전에 실린 낱말이라면 걱정없이 붙여서 쓰면 되는데, (ㄴ)처럼 국어사전에 안 실린 낱말일 때에는 골머리를 앓아요.


  ‘헌책’은 ‘헌책’처럼 붙여서 씁니다. 그런데 오래된 책과 갓 나온 책을 함께 이야기하는 자리에서 “헌책과 새 책”처럼 띄어서 써야 한다면 어딘가 얄궂지 않나 궁금합니다. ‘그림책’과 ‘만화책’은 한 낱말이지만 ‘어린이책’과 ‘청소년책’은 한 낱말로 다루지 않으니 알쏭달쏭해요.


  책을 말하는 적잖은 분들은 ‘그림책’이 한 낱말인 줄 모르고 ‘그림 책’처럼 띄어서 쓰기도 합니다. ‘이야기책’이 한 낱말인 줄 아는 분은 얼마나 될까요. 요즈막에 ‘인문책’을 살리자는 목소리가 드높지만, 이 낱말 또한 국어사전에 안 실렸으니 ‘인문 책’처럼 적어야 올바르다 할 텐데, 이렇게 띄어서 쓰는 사람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더욱이, ‘인문책’ 가운데 ‘역사책’은 붙여서 적도록 하나, ‘철학책’은 띄어서 적어야 올바르다고 해요. 문학을 다루는 책에서 ‘소설책’은 붙여서 적어야 올바르다 하면서, ‘수필책’은 띄어서 적어야 올바르다고 해요. 지도를 보여주는 ‘지도책’은 한 낱말이지만, 노래를 담은 ‘노래책’은 한 낱말이 아니라고 해요.


  수많은 책이 나오고 온갖 책이 태어나는 흐름을 살핀다면, 책을 가리키는 한국말 또한 새롭게 거듭나야지 싶습니다. 국어사전 한 권을 앞에 놓고 이 낱말은 이렇게 적고 저 낱말은 저렇게 적도록 머리카락을 쥐어뜯는 일은 없어야지 싶습니다. 이제 ‘환경책’이라는 낱말을 널리 쓰고, ‘사진책’은 퍽 일찍부터 한 낱말처럼 많은 사람들이 씁니다. ‘과학책’이나 ‘놀이책’ 같은 낱말도 퍽 자주 써요.


  ‘-책’을 뒤에 붙이는 낱말도 날개를 달 노릇이요, ‘책-’을 앞에 붙이는 낱말도 날개를 달아야지 싶어요. 이를테면, ‘책날개’나 ‘책마을’부터, ‘책밭’이나 ‘책나라’나 ‘책누리’나 ‘책사랑’이나 ‘책마음’이나 ‘책씨’나 ‘책꽃’이나 ‘책지기’나 ‘책터’처럼, 마음을 북돋우고 생각을 여는 낱말을 알맞고 아름답게 쓰는 길이 환하게 터야지 싶어요. (4345.8.19.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