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1578) 발상
자신들과 아기를 위해서 평화롭고 정상적인 출산을 원하는 부부라면 마치 공장의 조립 라인과도 같은 데서 아기를 낳겠다는 발상은 하지 않을 것이다
《메리 몽간/정환욱,심정섭 옮김-평화로운 출산 히프노버딩》(샨티,2012) 60쪽
“자신(自身)들과 아기를 위(爲)해서”는 “어버이와 아기를 생각해서”나 “엄마 아빠와 아기를 헤아려서”로 다듬을 수 있습니다. “평화(平和)롭고 정상적(正常的)인 출산(出産)을 원(願)하는 부부(夫婦)라면”은 “근심없이 옳게 아기를 낳고 싶은 부부라면”이나 “사랑스럽고 아름답게 아기를 낳고픈 두 사람이라면”으로 손볼 수 있고, “공장의 조립(組立) 라인(line)과도 같은 데서”는 “공장처럼 끼워맞추듯 하는 데서”로 손볼 수 있어요. “않을 것이다”는 “않는다”로 손질합니다.
보기글을 잘 살피면 앞쪽에서는 ‘출산’이라 적고, 뒤쪽에서는 ‘아기를 낳겠다’라 적습니다.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출산’은 알맞지 않은 낱말이라 ‘해산(解産)’으로 바로잡아야 한다고 나옵니다. 그러고 보면, 한겨레는 예부터 아이낳기를 한자말로 가리킬 때에 ‘해산’이라 했지, ‘출산’이라 하지 않았어요. 참말 언제부터 ‘출산’이라는 한자말이 들어와서 오늘날처럼 널리 퍼졌을까요. 그나저나, ‘출산’이든 ‘해산’이든 이런 한자말이나 저런 한자말 사이에서 헤매기보다는 쉽고 알맞게 ‘아이낳기’나 ‘아기낳기’처럼 쓸 때에 한결 좋으리라 생각해요. 아기를 낳으니 말 그대로 ‘아기낳기’예요.
‘발상(發想)’이라는 한자말은 “어떤 생각을 해냄”을 뜻한다 합니다. “발상의 전환”이라든지 “시대착오적 발상”이라든지 “그런 케케묵은 발상은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는다”처럼 쓴다고 해요. 이 한자말 또한 쓸 만하니까 쓴다고 여길 수 있지만, 말뜻을 찬찬히 살피면 “생각을 해냄”입니다. 곧 ‘생각하기’를 한자말로 옮기면 ‘발상’이 되는 셈입니다.
아기를 낳겠다는 발상은 하지 않을 것이다
→ 아기를 낳겠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 아기를 낳겠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 아기를 낳겠다고는 하지 않는다
…
생각을 바꾸면 말을 바꿀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발상의 전환”이 아닌 “생각 바꾸기”나 “생각 돌리기”나 “생각 고치기”나 “생각 거듭나기”가 됩니다. 생각을 새롭게 북돋우면 새로운 삶을 일굴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시대착오적 발상”이 아닌 “시대를 거스르는 생각”이나 “흐름을 거스르는 생각”이나 “새날을 거스르는 생각”이나 “거꾸로 가는 생각”이나 “엉뚱한 생각”이나 “엉터리 같은 생각”이 됩니다. 오래되었다고 낡지 않습니다. 새로 나왔어도 낡을 수 있고, 오래되었기에 아름다울 수 있어요. 그러니까 “그런 케케묵은 발상은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는다”가 아닌 “그런 케케묵은 생각은 더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나 “그런 케케묵은 생각주머니는 이제 도움이 되지 않는다”가 돼요.
생각을 하며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사랑스레 생각을 하며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내 이웃과 동무랑 사랑스레 생각을 하며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생각을 빛내며 말을 빛냅니다. 생각을 가꾸며 말을 가꿉니다. 생각을 빛내기에 삶을 빛냅니다. 생각을 가꾸기에 삶을 가꾸어요.
저마다 슬기롭게 생각하고 슬기롭게 살아가며 슬기롭게 사랑합니다. 누구나 참다이 생각하고 참다이 살아가며 참다이 사랑합니다. 생각이 삶이 되고, 삶이 말이 됩니다. 말은 삶으로 다시 이어지고, 삶은 다시 생각으로 이어져요. 내 말 한 마디에 사랑을 싣기에 내 삶 한 자락 사랑으로 꽃을 피웁니다. 내 글 한 줄에 꿈을 싣기에 내 삶 한 가락 사랑으로 노래를 부릅니다. (4345.8.11.흙.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어버이와 아기를 생각해서 사랑스럽고 아름답게 아기를 낳고픈 두 사람이라면, 마치 공장처럼 끼워맞추듯 하는 데서 아기를 낳겠다고는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