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친구와 사냥꾼 - 태국 땅별그림책 5
쑤타씨니 쑤파씨리씬 글, 찐따나 삐암씨리 그림, 김영애 옮김 / 보림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 같은 삶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182] 찐따나 삐암씨리·쑤타씨니 쑤파씨리씬, 《세 친구와 사냥꾼》(보림,2011)

 


  햇살이 곱게 내리쬐는구나 하고 느끼면서 빨래를 마당에 내놓습니다. 지난밤에 한 빨래랑 어제 한 빨래 가운데 아직 덜 마른 옷가지를 내놓습니다. 곱게 드리우는 햇살을 받고 말끔히 마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옷걸이에 꿴 옷가지와 빨래대에 넌 옷가지를 잔뜩 들고 마당으로 내려섭니다. 빗물받이와 처마 사이에 널따랗게 거미줄이 생깁니다. 사람이 지나다니는 자리에 자꾸 생기던 거미줄인데, 으레 머리에 거미줄이 걸리며 톡톡 찢어지는데, 찢어지든 말든 거미는 씩씩하게 하루에도 여러 차례 새 거미줄을 다시 짭니다. 오늘은 잘 안 걸릴 만한 자리에 거미줄을 짰구나 싶은데, 또 얼결에 이리로 지나가며 머리에 거미줄이 찰싹 붙을는지 모릅니다.


  거센 비바람이 물러난 하늘에 파란 빛깔이 예쁘게 드러날까 하고 기다리지만, 아직 파랗게 물든 하늘은 찾아오지 않습니다. 하얀 구름이 온 하늘을 덮습니다. 멧봉우리마다 하얀 구름이 걸려 아스라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푸른 숲을 이루는 봉우리는 하얀 구름과 얼크러지며 눈부신 빛깔을 뽐냅니다. 천 미터나 이천 미터나 삼천 미터나 사천 미터쯤 되는 봉우리가 아니더라도 구름이 걸립니다. 오천 미터나 육천 미터나 칠천 미터나 팔천 미터쯤 되는 봉우리가 아니더라도 구름 걸린 봉우리는 아리땁습니다. 아이들을 수레에 태우고 마실을 다니며 바라보면 절로 ‘참 그림이네.’ 하는 말이 튀어나옵니다.


.. 옛날 옛날에 사슴과 새와 거북이가 살았어요. 세 친구는 서로 아끼고 사랑했어요. 모험을 좋아해서 함께 여기저기 놀러 다녔지요 ..  (3쪽)

 

 


  그림 같은 삶입니다. 아니, 꼭 그림이로구나 싶은 삶입니다.


  내가 좋아하는 그림은 내 마음으로 그립니다. 내가 좋아하는 그림은 늘 내 눈앞에 펼쳐집니다. 내가 생각하는 대로 날마다 맞아들입니다. 우리 보금자리 고운 동무인 멧새와 개구리와 풀벌레가 들려주는 노래를 날마다 맞아들입니다. 한봄부터 한여름까지 처마 밑에서는 제비들이 노래했습니다. 새끼가 모두 날갯짓 힘차게 익힌 뒤로는 제비들 모두 들판에서만 노닐지만, 우리 식구 다 함께 들마실을 나가면 우리 제비랑 이웃 제비랑 흐드러지게 만나 서로 인사합니다.


  그림 같은 살림입니다. 아니, 꼭 그림이로구나 싶은 살림입니다.


  나는 늘 내 깜냥껏 살림을 꾸립니다. 여러모로 어지럽거나 어수선하게 늘어놓고 마는 살림살이라 할 텐데, 예쁜 살림 좋은 살림이라 여기며 하나하나 즐거이 건사합니다. 새벽 일찍 쌀을 불리고 마른버섯을 불립니다. 오늘은 좋은 아침을 먹고 홀가분한 몸가짐으로 발포 바닷가로 나들이를 가자고 생각합니다. 맛나게 밥을 먹고 튼튼한 몸짓으로 바닷가 모래밭을 누리자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바닷가에는 도시에서 찾아온 손님이 가득할는지 몰라요. 아마, 바닷가에는 도시 손님들이 곳곳에 자리를 잡아 우리가 느긋하게 앉거나 쉴 데가 없을는지 몰라요. 그러나, 너른 바다는 우리 식구한테도 이웃 식구한테도 손님 식구한테도 좋은 물결과 소리와 냄새와 빛깔을 베풉니다. 모두모두 기쁘게 얼싸안으며 까르르 웃음꽃을 터뜨리도록 이끕니다. 햇살은 늘 고운 결을 베풀고, 바다는 노상 고운 품을 베풉니다.


.. 세 친구는 연못가에서 아주 재미있게 놀았어요. 그런데 사슴이 그만 사냥꾼이 쳐 놓은 올가미에 걸리고 말았어요. 새와 거북이는 서둘러 사슴을 구해 주기로 했어요 ..  (7쪽)

 


  마당 가장자리 꽃밭에서 스스로 자라는 풀을 뜯습니다. 옆지기 아버님이 옮겨심은 돗나물도 뜯고, 우리가 안 심었어도 예전 사람들이 심어서 먹었을 정구지도 뜯으며, 내가 이름을 알거나 모르는 여러 가지 풀을 뜯습니다. 끼니마다 한 차례 한 움큼 또는 한 소쿠리 뜯습니다. 요만 한 넓이에서 요만큼 얻는다면, 그리 안 넓은 땅뙈기라 하더라도 텃밭을 알뜰히 일구는 사람은 누구나 가장 싱싱하고 가장 푸르며 가장 맛난 밥을 누릴 수 있습니다. 요모조모 심어서 거두는 푸성귀가 있고, 나 스스로 심지 않아도 바람결에 실려 날아온 풀씨가 스스로 자라며 얻는 나물이 있어요.


  나물을 무치면서, 나물을 먹으면서, 나물을 맞아들이면서 곰곰이 생각합니다. 옆지기는 문득 말합니다. 참 좋은 밥은 지나치게 먹을 수 없다고 말합니다. 내 몸을 살찌우는 가장 싱그럽고 푸르며 맛난 밥은 꼭 내 몸에 알맞게 먹으면 끝입니다. 그때그때 가장 배불리 먹되, 더 먹지 못합니다.


  이를테면, 과자라든지 소시지라든지 튀김닭이라든지 돼지고기라든지, 바깥에서 사다 먹는 밥은 ‘이제 배불러.’ 하고 말하면서도 자꾸 더 먹곤 합니다. 씨눈까지 깎은 흰쌀로 지은 밥도 ‘이제 배부른데.’ 하고 느껴도 옆에 있으면 더 먹고야 맙니다.


  씨눈이 예쁘게 살아서 빛나는 누런쌀로 지은 밥은 내 몸에 맞는 부피만 먹으면 끝입니다. 바다에서 갓 낚은 물고기이든, 밭이나 들에서 얻은 푸성귀이든, 집에서 살림꾼 노릇 하는 사람이 예쁜 손길로 예쁘게 마련한 밥은 늘 ‘알맞게 먹’지 ‘지나치게 먹(과식)’지 못해요.


.. 새는 사냥꾼 집 앞을 떠나지 않고 계속 지켜보았어요. 그런데 사냥꾼이 이번에는 뒷문으로 나가 버렸어요. 집 앞에서 기다리던 새는 뒤늦게 알아채고 있는 힘을 다해 사냥꾼을 따라갔지만 결국 놓치고 말았어요 ..  (13쪽)

 

 


  태국사람 찐따나 삐암씨리 님이 그리고, 쑤타씨니 쑤파씨리씬 님이 글을 실은 그림책 《세 친구와 사냥꾼》(보림,2011)을 읽습니다. 태국에도 베트남에도 한국에도 일본에도, 《세 친구와 사냥꾼》에 나오는 이야기와 비슷하거나 같은 옛이야기가 있어요. 아마 어느 겨레 어느 나라라 하더라도, 서로 살가이 어우러지는 ‘짐승 동무’ 이야기가 있으리라 봅니다.


  세 동무는 사슴과 거북이와 멧새일 수 있습니다. 세 동무는 토끼와 노루와 개구리일 수 있습니다. 세 동무는 달팽이와 범과 들쥐일 수 있어요. 어떻든 서로서로 좋은 동무로 지내요. 어떻든 서로서로 겉모습이나 생김새나 몸매나 돈주머니나 주먹힘 따위로 따지거나 가리지 않아요. 가장 좋은 마음씨와 가장 너른 사랑결과 가장 깊은 믿음밭을 즐겁게 보살피면서 사귀어요.


  짐승 사이에서든 사람 사이에서든 언제나 똑같아요. 서로서로 좋은 동무는 예쁜 얼굴이기에 사귀는 좋은 동무가 아니에요. 서로서로 좋은 동무는 예쁜 마음이기에 사귀는 좋은 동무예요. 예쁜 마음, 예쁜 생각, 예쁜 사랑, 예쁜 꿈, 예쁜 믿음을 서로 아끼며 돌보면서 사귀는 동무예요.


  한집에서 살아가는 어버이와 아이 사이도 이와 같아요. 한집에서 살림을 돌보는 나와 옆지기도 이와 같아요. 할아버지 할머니하고도, 갓난쟁이와 아이들도, 모두모두 가장 좋은 마음으로 어깨동무하는 좋은 삶벗입니다.


.. 사슴은 사냥꾼을 골탕 먹이려고 다리를 절룩거리며 달렸어요. 사냥꾼이 지칠 때까지 이리 뛰고 저리 뛰면서 숲속을 빙빙 돌았지요. 그러다 사슴은 사냥꾼이 파 놓은 깊은 구덩이를 보았어요. ‘아! 저거야!’ 사슴은 일부러 구덩이 앞에 가만히 서 있었어요. 사냥꾼은 사슴을 잡으려고 달려오다가 그만 구덩이 속에 빠지고 말았어요 ..  (22쪽)

 


  좋은 마음으로 살아가기에 나부터 그림 같은 삶을 누릴 뿐 아니라, 내 모습부터 그림 같은 모습입니다. 좋은 사랑으로 일을 하기에 내가 즐기는 일은 그림 같은 일이요, 내가 펼치는 뜻은 그림 같은 뜻입니다.


  그림은 마음속에서 우러나옵니다. 예쁜 마음일 때에는 예쁜 그림이 태어납니다. 미운 마음일 때에는 미운 그림이 태어납니다. 착한 마음일 때에는 착한 그림이 태어납니다. 궂은 마음일 때에는 궂은 그림이 태어납니다.


  도시에서는 매미 말고는 다른 벌레가 거의 깃들지 못해, 여름날 매미 소리 하나만 신나게 듣는다 하는데, 시골에서는 숱한 숲동무가 숱한 노래를 들려주다가, 이제 오늘부터는 아침에 매미도 한몫 거들며 좋은 노래를 환하게 북돋웁니다. 하늘에는 구름이 살짝살짝 줄고, 햇살이 퍼지는 파란 무늬가 차츰차츰 늡니다. (4345.7.20.쇠.ㅎㄲㅅㄱ)

 


― 세 친구와 사냥꾼 (찐따나 삐암씨리 그림,쑤타씨니 쑤파씨리씬 글,김영애 옮김,보림 펴냄,2011.8.8./9800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