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 신부 1
말리 지음 / 길찾기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보고 싶은 모습을 바라본다
 [만화책 즐겨읽기 157] 말리, 《도깨비 신부 (1)》

 


  누구나 스스로 보고 싶은 모습을 바라봅니다. 스스로 보고 싶지 않은 모습은 안 바라봅니다. 누구나 스스로 겪고 싶은 모습을 바라봅니다. 스스로 겪고 싶지 않은 모습은 안 바라봅니다. 누구나 스스로 알거나 느끼는 모습을 바라봅니다. 스스로 모르거나 못 느낀 모습은 바라보지 못합니다.


  배운 사람은 배운 대로 바라봅니다. 배운 대로 바라보기에 배운 틀에 맞추어 생각합니다. 아는 만큼 바라보고, 아는 만큼 느낀다, 하는 얘기가 있는데, 이 얘기란 사람들 누구나 아는 대로 바라볼 때에는 아는 틀에 갇힌다는 소리입니다. 아는 만큼 바라보지 않고, 스스로 물끄러미 바라보면서 마음속에서 피어나는 어떤 느낌을 좇을 수 있다면, 이때에는 어떠한 틀에도 갇히지 않기 때문에, 내가 물끄러미 바라보는 어느 한 가지를 놓고 시를 쓸 수 있습니다. 아이들한테 글쓰기를 가르쳤던 이오덕 님은 “어린이는 모두 시인이다” 하고 말씀했는데, 이 말씀은 곧 ‘어떤 아는 틀(지식)로 어느 한 가지(사물)를 바라보지 않을 때에는 누구나 시를 쓴다(생각을 키운다)’는 뜻이에요. 오늘날 사람들이 좀처럼 시를 못 쓸 뿐 아니라, 애써 시를 쓰더라도 생각힘이 드러나지 못하는 까닭은, 자꾸 지식으로 재고 따지거나 손재주를 부리기 때문이에요.


- ‘그 사람이 아빠란 건 알았지만, 내가 보고 있던 건 아빠가 아닌데. 엄마의 유골을 따라와 문전에서 서성대는 저것들.’ (7쪽)
- “그래, 끝자락에 서니 네 인생이 그리 안 되어 보이나?” “아니, 후회 없소.” (148∼149쪽)

 

 


  동백꽃을 바라보면서 ‘동백꽃은 몇 월에 피고 빛깔은 어떠하며 열매나 줄기를 어떠한 한약재로 쓴다’ 같은 지식을 섬긴들, 동백꽃이 얼마나 곱거나 나한테 좋은가를 느낄 수 없습니다. 아니, 동백꽃을 알 수 없습니다. 동백꽃을 바라볼 때에는 그저 동백꽃이네 하고 느끼면 돼요. 아니, 동백꽃이라 하는 이름조차 모르면서 느끼면 돼요. 곱다 하면 왜 고운가를 생각하고 내 눈에 도드라지게 뜨인다면 왜 내 눈에 이렇게 돋보일까 하고 생각하면 돼요.


  가을날 들판은 누런 물결이 출렁입니다. 어느 시인이 가을 들판을 ‘황금 물결’이라 노래했대서 가을 들판 누런 빛깔을 굳이 ‘황금 물결’이라 여기며 바라볼 까닭은 없어요. 나는 나대로 내가 좋아하는 생각을 살찌우면서 바라보면 돼요. 그리고, 이 가을 들판을 ‘황금빛’으로 바라보는 사람이 있다면, 운동경기에서 말하는 ‘금메달’을 굳이 ‘금’ 목걸이라 하지 말고 ‘가을벼’ 목걸이나 ‘봄보리’ 목걸이라 가리킬 수 있어요.


- “이제부터 너랑 난 자매라더구나. 가족 만들기 참 쉽지 뭐야. 근데 네 이름이 선비라구?” “그래. 넌 민아지?” “뭐, 지금은 신민아이지만 이전엔 김민아였어. 네 아빠 핏줄은 아니지만, 내 이름엔 어째 신씨가 더 어울리는 거 같지 않니?” (21쪽)

 

 


  보고 싶은 모습을 보는 사람이기 때문에, 나 스스로 무엇을 보고 싶은가 하는 생각을 늘 살찌우거나 북돋우거나 키울 때에 즐겁습니다. 나 스스로 어디에서 어떻게 살아가고 싶은가 하고 꿈꾸면서 사랑을 빚을 때에 아름답습니다. 내가 돌보는 삶결에 따라 내 눈결이 거듭납니다. 내가 보살피는 사랑에 따라 내 눈빛이 새롭습니다. 내가 얼싸안는 꿈에 따라 내 눈무늬가 달라져요.


  나는 환하게 바라볼 수 있습니다. 나는 곱게 바라볼 수 있습니다. 나는 즐겁게 바라볼 수 있습니다.


  내 환한 눈결로 이웃을 사랑할 수 있습니다. 내 고운 눈빛으로 동무와 어깨동무할 수 있습니다. 내 즐거운 눈무늬로 온누리를 따사로이 보듬을 수 있습니다.


  보고 싶은 모습을 보기 때문에, 나는 늘 사랑을 바라보면서 지구별 곳곳에 사랑이 무럭무럭 싹트도록 할 수 있어요. 보고 싶은 모습을 보는 터라, 나는 늘 꿈을 바라보면서 지구별 어디에서나 예쁜 꿈이 자라도록 도울 수 있어요.


  그러니까, 누군가는 자꾸 전쟁 싹이 트도록 내몰아요. 누군가는 자꾸 대학입시지옥이 끊이지 않도록 몰아세워요. 누군가는 자꾸 돈벌이 싸움이 피튀기도록 닦아세워요.


- “허! 네가 정녕 ‘듣는 자’가 맞기나 한 것이냐? 네 눈엔 믿음은 없고 무슨 짓을 해서건 기어오르려는 저급한 탐욕만이 읽히거늘! 날 불러낸 것도 네 그 더러운 것을 위함이었더냐?” (69쪽)
- “니, 그거 아나? 다른 사람들은 용 같은 거 못 본다.” “정말?” “그래.” “니, 사람들한테는 그런 거 뵌다고 말하지 말그래이.” “왜?” “사람들은 겁이 많은 기다. 지들이랑 안 똑같으면 겁을 집어묵는 기다.” (97쪽)

 

 


  어떻게 살아갈 때에 즐거운 하루일까요. 누구와 이웃할 때에 좋은 삶일까요. 어떤 꿈을 품을 때에 빛나는 목숨일까요. 누구와 사랑할 때에 좋은 마을일까요.


  내 오늘을 바라보아 주셔요. 저마다 내 작은 보금자리를 바라보아 주셔요. 내 손바닥을 바라보고 내 발바닥을 바라보아 주셔요. 저마다 내 고운 몸뚱이를 쓰다듬어 주셔요.


  경제성장율을 높인다든지 수출액수를 키워야 하지 않아요. 시험점수를 높인다든지 자격증 숫자를 늘려야 하지 않아요. 내 꿈을 키워야지요. 내 사랑을 빛내야지요. 내 목숨을 누려야지요. 내 삶을 즐겨야지요.


- “느거 할머니는 마을에 몸이 묶여 갖고 평생을 한 번도 이 촌벽지 바닥에서 벗어나도 못했다. 어디 갈 차비라도 할 양이면 마을 장군이 그리 몬 살게 굴어서 들어앉히고, 들어앉히고 하는 기라. 생각해 보기라. 느거 엄마 아파서 죽을 때도 서울로 보러 가도 몬했으니 속으로 을매나 억장이 무너졌겠노. 근데 이번에 그라두만. ‘인자 다 끝났소.’” (157∼158쪽)
- ‘할머니 바보야? 이 따위로 대접받을 거였으면서 뭣 하러 그렇게 사람들 속사정 들어  고, 빌어 주고 그랬어. 나보곤 맨날 친구 많이 사귀라고 그래 놓고 이게 뭐야? 할머니, 할머니도 없잖아. 이렇게 아무도!’ (162쪽)

 


  말리 님 만화책 《도깨비 신부》(허브,2004) 첫째 권을 읽습니다. ‘보는 사람’과 ‘못 보는 사람’, ‘듣는 사람’과 ‘못 듣는 사람’이 찬찬히 나옵니다. 누군가는 무엇을 보고, 누군가는 무엇을 못 봅니다. 무엇인가 보는 사람은 다른 무엇을 못 보지만, 무엇인가 못 보는 사람은 다른 무엇을 봅니다.


  이를테면 바닷가 미르님을 보는 사람이 있되, 바닷가 미르님을 못 보는 사람이 있어요. 도시에서 돈이 될 만한 무언가를 보는 사람이 있고, 도시에서 아무것도 못 보는 사람이 있어요. 시골집 나무한테서 좋은 이야기를 느끼면서 바라보는 사람이 있고, 시골집 나무나 풀을 못 느끼거나 안 바라보는 사람이 있어요. 어떤 이는 주식시세표와 은행계좌를 바라볼 테고, 어떤 이는 푸른 들판을 바라볼 테지요. 어떤 이는 문제집과 참고서를 바라볼 테고, 어떤 이는 시집 한 권 바라볼 테지요.


  스스로 누리고 싶은 대로 바라보는 삶입니다. 스스로 사랑하고 싶은 대로 바라보는 하루입니다. 스스로 꾸는 꿈대로 바라보는 눈길입니다. (4345.6.23.흙.ㅎㄲㅅㄱ)

 


― 도깨비 신부 1 (말리 글·그림,허브 펴냄,2004.7.10./5500원)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도깨비 신부] 야간 병원약사가 그린 만화! 도깨비 신부
    from Medical Writer 쿠쿠쿠의 행복이야기 2012-08-28 17:11 
    어찌하다 "도깨비 신부"라는 만화를 접하게 되었는지는 모르겠다. 도깨비라는 소재가 신선하게 느껴졌고, 순정만화라고 되어 있는데 순정만화 같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