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순이 책읽기
이웃 할머니한테서 푸른콩을 얻었다. 오직 우리 집 아이들이 예쁘기 때문에 얻은 콩이다. 그런데 나는 살짝 달리 생각하기도 한다. 왜냐하면, 나와 옆지기는 우리 마을 어르신들한테는 ‘막내아들’이나 ‘막내딸’ 뻘이기에, 당신 아들딸을 아끼는 마음으로 우리 식구를 아껴 주시기도 한다고 느낀다.
전남 고흥 시골마을에서 주말을 맞이하면 곧잘 ‘자가용’을 보곤 한다. 우리 식구 살아가는 동백마을에는 자가용 있는 집이 한 군데도 없다. 이장님만 짐차 하나를 몰고, 다른 분들은 경운기가 있으면 있고, 없으면 아무 기계가 없다. 자가용을 모는 이는 마을 어르신들 아들이거나 딸이다. 곧, 마을 어르신들 아들딸이 어르신들을 뵈러 주말 맞아 찾아올 때에 자가용이 곳곳에 서곤 한다.
처음 우리 동백마을에 들어올 때에는 둘레 분들이 ‘여기 참 살기 좋은 곳이에요’ 하고 들려주는 이야기를 잘 헤아리지 못했다. 들과 멧자락이 좋고 포근하기 때문인가, 하고만 여겼는데, 지내고 보니, 마을 어르신들 아들딸이 퍽 자주 찾아온다. 아마, 시골마을치고 ‘도시로 떠난 아들딸’이 우리 마을처럼 자주 찾아오는 데는 썩 드물지 않을까 싶다. 어버이날이 낀 저번 달에는 한창 마늘밭 일로 바쁠 때였는데, 온 마을에 ‘차 댈 데가 모자랄 만큼’ 자가용이 득실득실했고, 마늘밭에도 젊은 사람과 어린 아이 얼굴이 자주 보였다.
이웃 할머니한테서 푸른콩을 얻어 콩보따리를 들고 온 첫째 아이는 저 스스로 콩을 다 까겠다고 한다. 그래서 안 도와주기로 하고 빈 그릇 하나를 내민다. 네가 다 까서 담아 주렴. 첫째 아이는 한참 콩을 깐다. 많이 더디다. 곁에서 꼬투리 몇 내가 까서 담는다. “벼리야, 콩을 깔 때에는 꼬투리를 이렇게 잡고 뒤집으면 금세 잘 깔 수 있어.” 콩까기를 몇 차례 보여주고 방으로 들어간다. 아이는 마당에서 콩을 깐다. “다 깠어요.” 하고 부르며 아이가 들어온다. 그릇을 들여다보는데 얼마 안 된다. “다 깠어?” “네, 다 깠어요.” 마당을 내다 본다. 콩꼬투리가 많이 남았다. 1/20도 안 깐 듯하다. 아마 이만큼 까며 퍽 힘들었는지 모른다. 잘 했다고 머리를 쓰다듬는다. 콩순이가 깐 푸른콩으로 아침에 밥을 지어 다 함께 먹었다. (4345.6.3.해.ㅎㄲㅅ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