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걸상 책읽기

 


  다섯 살 아이는 부엌 개수대에서 걸상을 대지 않으면 까치발을 해야 한다. 걸상 하나를 대면 물을 켤 수 없다. 걸상 둘을 대니 물을 마음껏 켜거나 끌 수 있다. 다섯 살 아이는 제 손과 머리를 써서 슬기롭게 논다. 아버지가 늘 하는 대로 설거지 놀이를 한다. 하루가 다르게 자란다. 날마다 새롭게 놀이를 누린다. 나는 아이한테 딱히 무엇을 가르치지 않았다. 아이는 그저 살아가며 스스로 무언가를 느끼면서 익힌다. 아이는 어디에선가 걸상을 디디고 올라가며 무언가 꺼내는 모습을 으레 보았을 테고, 하나로 안 되면 둘을 받치면 되는 줄 문득 깨달았으리라. 아이는 아이 키보다 훨씬 높은 사다리를 두려워 하지 않고 오르내린다. 이 모습은 아마 ‘삐삐 영화’를 보았기 때문이 아닌가 싶은데, 아홉 살에서 열 살을 맞이하는 말괄량이 삐삐는 높다란 사다리이든 지붕이든 아랑곳하지 않는다. 생각해 보면, 삐삐가 두려워 할 일이란 한 가지도 없다. 아니, 꼭 한 가지 있다. 삐삐한테는 사랑스러우면서 좋은 동무인 토미와 아네카하고 헤어질 뻔한 일을 걱정했다. 해적이 토미와 아네카를 붙들었을 때에도 걱정했다. 그러나 걱정은 오래 가지 않는다. 삐삐 스스로 이 실타래를 슬기롭게 풀 테니까. 다섯 살 아이도 다섯 살 아이 깜냥껏 제 삶을 제 나름대로 푼다. 나도 아이가 놓은 걸상 도움을 받아서, 높은 데 있는 무언가를 꺼내기도 한다. (4345.6.2.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