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개질 글쓰기
손으로 빚는다. 손을 놀려 빚는다. 손은 내 마음에 따라 움직인다. 내 마음이 따사로이 흐를 때에 내 손은 따사로이 움직인다. 내 마음으로 착한 꿈을 담을 때에 내 온몸은 착한 이야기 차곡차곡 담으며 살가이 움직인다.
아이한테 입힐 옷 뜨는 어버이는 나쁜 넋으로 살아가지 않는다. 아이한테 먹일 밥 차리는 어버이는 궂은 얼로 칼질을 하지 못한다. 아이한테 말 한 마디 건네는 어버이는 모진 생각으로 살림을 꾸릴 수 없다.
글을 쓰는 사람은 누구한테 읽히고픈 마음일까. 글을 쓰는 사람은 이 글을 읽을 사람이 어떤 마음이 되면 좋거나 기쁘거나 아름답거나 예쁘거나 사랑스럽거나 믿음직스러우리라 생각할까. 누군가를 북돋우는 글을 쓰든, 누군가를 안쓰러이 바라보는 글을 쓰든, 누군가하고 어깨동무하는 글을 쓰든, 누군가하고 꿈을 나누는 글을 쓰든, 글쓴이는 읽는이하고 어떤 삶을 꽃피우고 싶을까.
뜨개질을 하는 손은 언제나 알맞춤하다. 익숙하면 재게 놀린다지만, 칼질이 익숙한 사람은 손이 안 보일 만큼 빠르. 뜨개질을 하는 손은 늘 정갈하다. 익숙하면 가벼이 놀린다지만, 비빔질이 익숙한 사람은 빨래를 척척 금세 해낸다. 뜨개질을 하는 손은 노상 차분하다. 익숙하면 이야기꽃 피우며 손을 놀린다지만, 어머니들은 아기한테 젖을 물리거나 아이 뒷머리를 묶으면서도 이야기꽃 예쁘게 피운다.
마음에 따라 달라지는 삶이기에, 누군가는 글꽃을 피우며 온누리에 어여쁜 빛과 내음과 열매와 무늬를 베푼다. 마음에 따라 움직이는 삶이기에, 누군가는 글화살을 쏘며 이웃과 동무 가슴에 생채기를 내려 한다. 마음에 따라 거듭나는 삶이기에, 누군가는 글밭을 일구며 서로 맛나게 먹을 푸성귀와 곡식과 열매를 돌본다. 글이란 왜 쓰는가. 글을 누가 쓰는가. 글이란 어디에서 쓸 때에 빛날까. 글을 어떤 삶으로 써야 글답게 싱그러울까. (4345.5.19.흙.ㅎㄲㅅ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