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나가 길을 잃었어요 ㅣ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3
이형진 글 그림 / 시공주니어 / 2003년 12월
평점 :
(사진은 고흥집으로 돌아가서 다시 붙일게요~ )
함께 걸어가기에 좋은 길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163] 이형진, 《하나가 길을 잃었어요》(시공주니어,2003)
우리 집 네 식구 도시에서 살아가는 모습을 그리지 못합니다. 우리 집 네 식구 도시에서 이럭저럭 살림을 꾸리며 살아가는 모습이 어떠할까 하고 그리지 못합니다. 도시에서는 아이들이 자동차에 받힐까 끝없이 걱정해야 합니다. 도시에서는 아이들뿐 아니라 어른들 모두 온갖 시끄러운 소리에 시달려야 합니다.
도시에서 지내는 동안에는 도시가 얼마나 시끄러운 소리와 빛깔과 냄새로 가득한가를 느끼지 못하기 일쑤입니다. 도시를 벗어나 시골에서 며칠쯤 쉬든 하루쯤 누리든 여러 해 살아가든 하노라면, 사람과 풀과 흙과 햇살 모두를 살리며 보듬는 소리와 빛깔과 냄새란 무엇인가 하고 환하게 깨달을 수 있습니다.
.. “하나야, 정말 안 따라올래?” “싫어, 오빠가 또 내 장화 보고 놀렸단 말이야.” .. (2쪽)
어른들이 마음껏 흙을 밟을 수 있으면, 아이들은 마음껏 흙을 기거나 뒹굴거나 뛰놀 수 있습니다. 어른들이 흙을 밟을 생각이 없으면, 아이들은 흙을 밟을 수 없습니다. 어른들이 너른 풀과 싱그러운 바람을 누릴 수 있으면, 아이들은 너른 풀과 싱그러운 바람을 누립니다. 어른들이 자가용과 아파트와 쇼핑센터와 지하철을 누린다면, 아이들은 이러한 곳에 몸과 마음을 맞추어야 합니다.
아이한테는 무엇이 좋은 놀잇감이 될까 생각해 봅니다. 아이한테는 어디가 좋은 놀이터가 될까 헤아려 봅니다. 백화점에서 장만하는 놀잇감이 아이들한테 좋을까 궁금합니다. 놀이공원이나 야구장이나 축구장이 아이들한테 좋을까 궁금합니다.
아이들은 어떤 사람으로 살아갈 때에 아름다울까요. 아이들은 어떤 사랑을 꽃피울 때에 어여쁠까요. 아이들은 어떤 생각을 길어올릴 때에 맑게 빛날까요.
아이들이 어떤 졸업장이나 자격증을 따야 한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어떤 학원이나 시설을 다녀야 한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어떤 과자나 음료수나 약을 먹어야 한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언제나 어른들과 똑같이 먹고 마시고 살아가고 느끼고 생각하고 사랑할 때에 가장 홀가분하고 좋으리라 느낍니다. 곧, 어른들부터 가장 좋은 밥을 스스로 찾아서 먹고, 가장 좋은 물을 스스로 찾아서 마시며, 가장 좋은 보금자리를 스스로 찾아서 누리고, 가장 좋은 꿈을 스스로 찾아서 빛내며, 가장 좋은 사랑을 스스로 찾아 돌볼 때에 하루하루 기쁘겠구나 싶어요.
.. 하나는 깜짝 놀랐어요. 아무것도 사러 온 게 아니잖아요. 하나는 고개를 홱 돌려 창 밖을 보았어요. 그제야 엄마 생각이 났어요 .. (12쪽)
아이들한테만 읽히는 책이란 없습니다. 어린이책은 어린이한테만 읽히는 책이 아니라, 어린이 눈높이에 맞추어 누구나 읽도록 빚는 책입니다. 갓난쟁이들 보라고 만든다는 그림책 또한 갓난쟁이들 머리를 북돋우고 생각을 키우는 그림책이 아니라, 갓난쟁이 눈높이로도 즐거우면서 누구한테나 즐거웁도록 빚는 책이에요.
아이들한테 먹이는 밥이란, 아이들도 함께 먹을 수 있으면서 누구나 맛나게 먹을 만한 밥이란 뜻입니다. 아이들한테 들려주는 노래란, 또 아이들이 부르도록 하는 노래란, 아이들만 부르라는 노래가 아니라, 어린이와 푸름이와 어른 모두 즐겁게 누리면서 맑게 부르라 하는 노래라는 뜻입니다. 어린이노래는 ‘아이들만 부르는 유치한 노래’가 아니에요. 그러니까, 대중가요라는 이름으로 어린 아이들이 ‘가수가 되고 싶어’ 하는 ‘섣부른 돈벌이 직업쟁이’가 되도록 내모는 어른들이란, 어른들한테도 얄궂고 아이들한테까지도 얄궂은 슬픈 짓을 하는 셈입니다. ‘어린이노래를 부르는 가수’로도 즐겁게 살아가야지요. ‘k팝스타’라든지 ‘인기가수’라 하는 이름은 껍데기예요. 즐겁게 노래하고 싶은 삶이라면, 내 삶을 빛내는 노래말을 스스로 짓고, 내 사랑을 북돋우는 노래가락을 스스로 엮어, 내 꿈을 이루는 노래잔치를 언제 어디에서라도 마련하는 일이에요.
음반이 잘 팔리는 일이 ‘가수’가 아닙니다. 텔레비전에 얼굴을 비추는 일이 ‘가수’가 아닙니다. 가수란, 노래쟁이란, 노래꾼이란, 노래누리란, 노래삶이란, 노래놀이란, 노래빛이란, 노래 한 마디가 내 삶에 곱게 스며들면서 내 둘레 모든 이웃과 동무한테 웃음빛과 삶빛을 들려주는 일입니다.
.. 개구리는 하나 목소리에 놀랐는지 아래로 폴짝 뛰어내렸어요. 그렇지만 이번엔 하나가 더 빨랐어요. “잡았다.” .. (28쪽)
이형진 님 그림책 《하나가 길을 잃었어요》(시공주니어,2003)를 읽습니다. 그림책에 나오는 ‘하나’는 그림책에서 길을 잃습니다. 그러나 그리 어렵지 않게 다시 길을 찾습니다. 그런데, 그림책 아이가 길을 잃었는지 안 잃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이는 아이로서 스스로 가장 좋아하는 쪽으로 갔거든요. 개구리하고 놀고 싶기에 개구리 따라 저 가고픈 대로 갔어요. 그곳이 늪이든 논이든 멧자락이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그곳이 도심지이든 빌딩숲이든 어느 가게이든 대단하지 않습니다.
아이는 언제나 가장 즐겁게 놀고 싶습니다. 아이는 늘 가장 기쁘게 웃고 싶습니다. 아이는 노상 가장 신나게 하루를 누리고 싶습니다.
굳이 얼굴 찌푸리고 싶지 않습니다. 구태여 코를 감싸쥐며 살고 싶지 않습니다. 괜히 싫거나 고단한 무언가를 맡고 싶지 않습니다.
참말 스스로 가장 좋아하는 대로 살아야 가장 좋습니다. 스스로 가장 사랑스럽다 여기는 대로 말하고 생각하며 꿈꾸어야 가장 사랑스럽습니다.
그림책에 나오는 어머니는 이녁 아이를 혼자 떼어놓고 어딘가 다녀오는 일이 스스로 가장 좋았을까요. 그림책에 나오는 어머니 스스로 괜시리 뿔을 내거나 짜증을 부리면서 스스로 가장 사랑스럽다 여길 만한 길하고 스스로 가장 멀어지고 만 셈 아닐까요.
아이하고 즐겁게 나들이를 다니다가 왜 골을 내야 하나요. 아이하고 기쁘게 마실을 다니다가 왜 씩씩거리며 큰소리를 내야 하나요. 어버이 스스로 길을 버린 나머지 아이 또한 길을 버립니다. 어버이 스스로 뒤늦게 깨닫고는 눈물을 흘리니, 아이도 뒤늦게 깨닫고는 눈물을 흘립니다.
부디 가장 좋은 사랑만 생각해 주셔요. 제발 가장 따스한 믿음만 헤아려 주셔요. 좋은 사랑을 먹고, 좋은 사랑을 나누며, 좋은 사랑을 들려주셔요. 맑은 꿈을 먹이고, 맑은 사랑을 심으며, 맑은 사랑을 돌보아 주셔요.
그나저나, 그림책 줄거리는 도시 한복판에서 이루어지는 일일 텐데, 도시 한복판에서 개구리가 살아갈 수 있나 궁금합니다. 그림책을 빚은 이형진 님은 도시 한복판 가게나 여러 물건 모습은 아기자기하게 잘 그리시지만, 개구리 모습은 어딘가 엉성궂구나 싶습니다. 봄날 봄볕 받으며 깨어난 개구리 모습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림책 개구리하고는 너무 동떨어지는걸요. 그림결은 예쁘장하기는 한데, 개구리는 개구리다우면서 예쁘장하게 그릴 수 있으면 한결 아름다웠으리라 생각합니다. (4345.5.6.해.ㅎㄲㅅㄱ)
― 하나가 길을 잃었어요 (이형진 글·그림,시공주니어 펴냄,2003.12.15./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