젯밥과 화분 신생시선 29
김수우 지음 / 신생(전망)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을 그리며 생각을 담는 시
[시를 노래하는 시 15] 김수우, 《젯밥과 화분》

 


- 책이름 : 젯밥과 화분
- 글 : 김수우
- 펴낸곳 : 신생 (2011.7.30.)
- 책값 : 8000원

 


  날마다 내 삶은 시입니다. 즐겁게 웃는 날은 즐겁게 쓰는 시입니다. 슬프게 가라앉는 날은 슬프게 가라앉는 시입니다.


  날마다 누리는 대로 시가 태어납니다. 기쁘게 누린 하루라면 기쁘게 누린 빛으로 시를 빚습니다. 슬프게 보낸 하루라면 슬프게 보낸 눈물로 시를 일굽니다.


  아이들이 까르르 웃으면 내 마음속 깊은 데부터 웃음이 샘솟습니다. 아이들이 낑낑거리거나 울면 내 가슴 곳곳이 아프게 울며 속이 울렁거립니다.


.. 목련 방울에 봄눈 내린다 ..  (목련, 여미다)


  봄비 내리는 하루가 지납니다. 어제와 오늘 내리 봄비가 내립니다. 올해 봄비는 이레에 한 차례쯤 찾아듭니다. 날이 마른다 싶으면 비와 바람이 찾아옵니다.


  봄이기에 봄비입니다. 나는 내가 살아가는 터전에서 봄비를 바라보며 생각합니다. 내 삶터가 시골이면 시골 논밭에 내리는 봄비가 풀과 푸성귀와 나무한테 어떤 빗방울로 스며드는가 하고 바라보면서 생각합니다. 내 삶터가 도시라면 도시 건물과 찻길과 자동차에 내리는 봄비가 이곳 어떻게 스며드는가 하고 바라보면서 생각합니다.


  빗소리가 그친다 싶은 새벽 다섯 시 조금 지날 무렵, 창호종이 바른 문 바깥으로 하얀 빛이 비칩니다. 천천히 동이 트는구나 하고 생각합니다. 방바닥에 드러누운 채 하얀 빛살을 느끼며 귀를 기울입니다. 빗소리가 그치니 새소리가 들립니다. 들새는 새벽녘부터 먹이를 찾으러 부산을 떠나요. 비가 그쳐 이제 날개를 말린다며 바지런을 떠나요.


.. 연필 하나 공책 하나, 젯밥으로 올리니 / 한 종지 행빛이 슬몃 앉더라는 낡은 소반 이야기 / 안부처럼 듣는다 / 탯줄 끊고 세 이레 머리맡에 놓았다는 // 미역국 겨우 받은 / 어미의 착한 제사가 내 시의 起源이었던 것 ..  (제왕판)


  인천에 살던 때에는 인천에서 나고 자라는 나무를 바라봅니다. 서울에서 살던 때에는 서울에서 마주하는 나무를 바라봅니다. 음성에서 살던 때에는 음성 멧자락에 뿌리내리는 나무를 바라봅니다. 고흥에서 살아가는 오늘은 고흥 시골마을 집집마다 아리땁게 가지를 뻗는 나무를 바라봅니다.


  겨우내 푸른빛 건사하는 동백나무와 후박나무를 바라봅니다. 동백꽃은 이른겨울에도 햇살 따사로울 적에 몇 송이 피었고, 흐드러지는 봄날에 흐드러지는 꽃송이가 활짝 벌어졌습니다. 후박꽃은 곁에 동백꽃이 흐드러지다가 몽땅 진 이즈음까지 꽃송이를 벌리지 않습니다. 이제부터 몽우리가 차츰 커집니다. 길쭉하고 두툼한 몽우리가 언제쯤 터지려나 생각하며 날마다 올려다봅니다. 겨우내 작은 몽우리가 있었는데, 겨울을 고스란히 받아들인 몽우리는 어떤 빛 어떤 내 어떤 결이 깃든 꽃으로 거듭날까 궁금합니다.


  갓난쟁이 둘째를 데리고 후박나무 곁으로 와서 하늘던지기를 곧잘 합니다. 후박꽃 몽우리 있는 데까지 휙휙 던집니다. 아이는 붕붕 날며 후박잎을 건드립니다. 살짝살짝 하늘을 날며 까르르 터지는 아이 웃음이 후박꽃으로 조금씩 스며들리라 생각합니다. 씩씩하고 튼튼하게 자라는 아이처럼, 씩씩하고 튼튼하게 서서 줄기를 뻗고 잎을 틔우며 꽃을 내는 우리 집 마당가 나무가 되겠지요.


.. 산복도로 골목, 고무대야와 플라스틱 상자들 / 긴요하다는 말의 의미를 키운다 / 모퉁이마다 식구로 모여 앉은 연두빛 // 파 상추 웃자라는 텃밭이 목숨처럼 깊으니 / 동백 산당화 심심한 정원이 꿈처럼 넓으니 ..  (대야大野)


  기저귀 빨래를 갭니다. 옆지기랑 아이들이 새근새근 자는 새벽녘 조용히 일어나 기저귀를 갭니다. 하루 내내 비가 오기에 빨래를 집안에 널었습니다. 날마다 빨래를 하는 만큼 비가 오건 눈이 오건 늘 빨래를 합니다. 갓난쟁이 있는 집은 날마다 빨래가 한가득입니다. 아기 기저귀 빨래를 미룰 수 없습니다. 첫째 아이가 밤오줌을 다 가려 기저귀 쓸 일이 없어지던 때에 둘째가 태어나며, 다섯 해째 날마다 수북하게 쌓이는 빨래를 껴안습니다.


  날마다 하는 빨래인 만큼 어제 한 빨래를 생각하지 않습니다. 오늘 할 빨래를 아침마다 생각하고, 낮나절 햇볕 받아 잘 마른 빨래를 갤 뿐입니다. 비오는 날 빨래를 집안에 널며 문득문득 지난해 일이 떠오르곤 합니다. 장마철 빨래를 어쩜 그리 잘 견뎠을까 하고 떠올립니다. 지난겨울에도 빨래를 집안 곳곳에 널며 어쩜 그리 잘 보냈을까 하고 되새깁니다. 앞으로 아이가 돌을 지나고 낮기저귀를 떼며 차츰 나이를 먹으며 밤오줌을 가릴 나이가 되고 보면, 이제 기저귀 빨래는 많이 줄겠지요. 기저귀 빨래가 줄 무렵이면 둘째 아이도 제 누나마냥 더 많이 만지고 더 많이 느끼며 더 많이 배우고픈 어린이 삶을 누리겠지요.


  오늘 비가 그치면 뒤꼍 빈터 돌을 골라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아버지가 돌을 고른 다음 삽과 괭이로 흙을 갈아엎으면 곁에서 첫째 아이는 호미를 들고 흙을 쪼리라 봅니다. 한나절 실컷 돌고르기 땅갈기를 하고 나서는, 지난여름 거두어 갈무리한 씨감자를 칼로 싹둑싹둑 썰어 폭폭 묻어야지요. 아이는 아버지 곁에서 감자묻기를 물끄러미 바라보다가는 즐겁게 따라하겠지요.


  씨앗을 심는 어버이 곁에서 씨앗을 심는 아이입니다. 기쁘게 노래하는 어버이 곁에서 기쁘게 노래하는 아이입니다. 맛나게 밥을 먹는 어버이 곁에서 맛나게 밥을 먹는 아이입니다. 예쁘게 꿈을 꾸는 어버이 곁에서 예쁘게 꿈을 꾸는 아이입니다.


.. 나무는 제 몸 두 배나 되는 둥근 그늘을 왼쪽으로 부려놓고 있었다 ..  (살그머니)


  좋은 삶을 생각하면서 좋은 이야기를 빚습니다. 슬픈 삶에 얽매이면서 슬픈 이야기를 풀어놓습니다. 좋은 삶을 하나하나 되새기면서 좋은 살림을 꾸립니다. 슬픈 삶에 허덕이면서 슬픈 일에 짓눌립니다.


  내 눈빛이 맑을 때에 내 살붙이들 눈빛이 함께 맑습니다. 내 눈빛이 흐릴 때에 내 살붙이들 눈빛이 함께 흐립니다. 내 손길이 따사로울 때에 내 이웃들 손길이 같이 따사롭습니다. 내 손길이 차가울 때에 내 이웃들 손길이 같이 차갑습니다.


  날마다 맞아들일 일과 놀이는 아주 마땅합니다. 기쁜 일과 재미난 놀이를 맞아들여야 마땅합니다. 어떤 일이든 내 삶을 북돋울 가장 기쁜 일이 되어야 합니다. 어떤 놀이가 되든 내 슬기를 빛내어 아이들과 웃음꽃을 피우며 즐기는 놀이가 되어야 합니다.


  자동차를 몰든 영화를 보든 호미질을 하든 빨래기계 돌리든, 내 삶은 나 스스로 가장 좋아하는 삶이어야 합니다. 젖먹이 죽을 끓이든 미역국을 끓이든 당근물을 짜든 누런쌀을 불리든, 내 밥은 나 스스로 가장 고마운 밥이어야 합니다. 글월 한 장 쓰든 시 한 자락 쓰든 일기 한 줄 쓰든, 내 글은 나 스스로 가장 밝은 글이어야 합니다.


.. 국경수비대는 나그네의 자루를 오늘도 헤집고 있을 거다 // 티벳식당 여주인은 햇살도 그늘도 둥근 만두로 빚을 거다 // 새벽버스는 터덜터덜 출발하고 닿으며 또 새벽이 될 거다 ..  (길, 그 후)


  바람이 붑니다. 구름이 흐릅니다. 해가 고개를 내밉니다. 풀잎이 살랑입니다. 마을 할머니 할아버지 도란도란 말소리 들립니다. 경운기 움직이는 소리 납니다. 들새가 우짖습니다. 군내버스 두 시간에 한 대씩 지나가며 부릉부릉 합니다. 우체국 일꾼이 오토바이 타고 지나갑니다. 두 아이가 찧고 까붑니다. 빨래가 팔랑입니다. 다 마른 빨래를 걷으며 보송보송 마른 고운 결을 손마디마다 느낍니다. 새로 피어나는 봄꽃에 볼을 대며 보드라운 잎사귀를 생각합니다. 아이들을 품에 안으며 이 작고 어여쁜 목숨이 얼마나 따뜻한가 하고 헤아립니다. 내 몸과 마음에 깃든 가장 좋은 이야기를 이 아이들한테 물려줄 때에 나 스스로 좋은 넋이고 말이며 꿈인 삶을 일구는 나날이 되리라 느낍니다.


.. 바람이 내는 가위질 소리를 들어야 한다 / 몸에 무수히 돋는 발톱을 참아야 한다 ..  (퇴행退行)


  김수우 님 시집 《젯밥과 화분》(신생,2011)을 읽습니다. 서정시를 쓴다는 김수우 님인데, 나는 김수우 님을 골목동네 사진을 찍은 분으로 처음 알았습니다. 《지붕 밑 푸른 바다》(눈빛,2003)로 만났거든요. 부산 골목동네 이야기를 담은 사진과 글을 읽고 나서, 김수우 님이 빚은 시집을 찾아보았습니다. 사진과 글로 골목자락 삶을 들려주는 목소리가 정갈하다면, 오직 시넋으로 삶을 보여주는 목소리는 어떠할까 궁금했습니다.


  하루에 두어 가락 읽기도 하고, 며칠에 한 가락 읽기도 하면서 《젯밥과 화분》을 곁에 둡니다. 시를 읽다가 아이를 품에 안고, 아이를 무릎에 누여 재우다가 시를 읽습니다. 시를 읽다가 밥을 하고, 빨래를 마친 다음 마당에 널고 나서 기지개를 켜고는 시를 읽습니다.


.. 남편은 뭍으로 돌아와 무사히 늙고 아들은 새 집을 사고 딸은 서정시를 쓴다는데 ..  (엄마와 북어)


  김수우 님은 고기잡이 아버지를 둔 서정시를 쓰는 사람이라고 스스로 밝힙니다. 그렇구나, 서정시를 쓰는 김수우 님이구나 하고 새삼스레 생각합니다. 시집에 적힌 해적이를 읽다가 ‘백년어서원’이라는 이름이 보여 이곳은 무엇을 하는 데인가 알아봅니다. 부산 중구 동광동 골목자락 한켠에 인문책방을 열어 꾸리기도 한답니다. 인문책방에서는 인문소식지가 함께 나옵니다.


  시집을 다 읽습니다. 책을 덮고 생각에 잠깁니다. 서정시란 ‘서정(抒情)’를 이야기하는 시입니다. 중학생 때부터 서정시란 이름은 익히 들었으나, ‘서정’이 무얼 가리키는가를 배운 적은 없습니다. 국어사전을 뒤적입니다. 한자말 ‘서정’은 “자기의 감정이나 정서를 그려 냄”을 뜻한다고 합니다. 곧, 서정시란 “마음을 그리는 시”입니다. “생각을 담는 시”입니다.


  문득 고개를 갸웃합니다. 어느 시이든 마음을 그리고 생각을 담지 않던가? 마음을 그리지 않고서 시가 될 수 있는가? 생각을 담지 않으면서 시가 태어나는가? 마음도 생각도 없는 시라 한다면 시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나?


  국어사전을 또 뒤적입니다. 이제는 ‘인문(人文)’이라는 한자말을 찾아봅니다. 사람들이 참 자주 쓰는 낱말인데, 막상 이 한자말을 시골 할머니나 할아버지나 어린이가 알아들을 만하도록 쉽게 풀어내어 이야기하는 이는 드뭅니다. 국어사전 말풀이로는 “인류의 문화”라 합니다. 다시 ‘문화(文化)’를 찾아봅니다.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목적 또는 생활 이상을 실현하고자 사회 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공유, 전달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 양식의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이룩하여 낸 물질적·정신적 소득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의식주를 비롯하여 언어, 풍습, 종교, 학문, 예술, 제도 따위를 모두 포함한다”라 나옵니다. 가만가만 추스른다면, ‘문화’란 “이 땅에서 이루는 모든 삶과 살림”이 되리라 느낍니다. 이리하여, ‘인문’이라 한다면, “사람이 이루는 모든 삶과 살림”이 되겠구나 생각합니다.


  김수우 님이 서정시를 쓰고 인문책방을 꾸린다면, “마음을 그리며 생각을 담는 이야기를 사랑하면서, 이웃과 동무하고 얼크러지는 좋은 삶과 살림을 아끼려 한다”는 뜻이 될 테지요.


.. 누군가의 치열한 양식이 되는 건 가장 정직한 환생 ..  (糧食)


  마음은 내 몸에서 비롯합니다. 생각은 내 삶에서 샘솟습니다. 내 몸을 어디에서 가다듬느냐에 따라 내 마음이 달라집니다. 내 삶을 어디에서 꽃피우려 하는가에 따라 내 생각이 바뀝니다. 내 몸을 어떻게 건사하려 하느냐에 따라 내 마음이 거듭납니다. 내 삶을 어떤 무늬와 내음과 빛깔로 돌보려 하는가에 따라 내 생각이 새롭게 태어납니다.


  시를 쓰는 마음은 사랑을 쓰는 마음이라고 느낍니다. 시를 읽는 마음은 사랑을 짓는 마음이라고 느낍니다.


  새로 맞이하는 하루를 사랑합니다. 즐겁게 누리고 나서 덮는 하루를 사랑합니다. 오늘은 오늘대로 새롭습니다. 어제는 어제대로 보람찹니다. 달콤하게 잠을 자고 나서 개운하게 일어납니다. 고단하도록 놀거나 일한 다음 맛나게 잠을 잡니다.


  모든 목숨은 흐르는 물을 마십니다. 곰도 여우도 토끼도 비둘기도 참새도 까마귀도 흐르는 물을 마십니다. 사람 또한 흐르는 물을 마실 때에 가장 빛나는 목숨입니다. 흐르는 물은 흐르는 삶입니다. 흐르는 물은 티끌을 씻고 온누리를 적시며 푸나무를 살찌웁니다. 마음을 그리는 시는 흐르는 물과 같습니다. 생각을 담는 시는 흐르는 물을 마시는 어여쁜 목숨과 같습니다. (4345.4.20.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