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역사를 바꾸려는 손길
 [따순 손길 기다리는 사진책 29] 광주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광주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1987)

 


  1980년 전라남도 광주에서 일어난 일을 사진으로 찍은 사람이 꽤 있습니다. 그러나 이 사진들은 오래도록 빛을 보지 못했습니다. 한국이라는 나라는 국가보안법이라는 사슬에다가 치안유지라는 허울이 너무 무시무시했기 때문입니다. 시인 박용수 님이 사진책 《민중의 길》(분도출판사)을 내놓은 적 있으나 1989년이요, 사진기자 신복진 님이 《광주는 말한다》(눈빛)를 내놓았으나 2006년입니다. 1980년 광주를 말하는 ‘한국사람이 찍은 사진’은 아홉 해가 지나서야 겨우 조금 빛을 보고, 스물여섯 해를 훌쩍 지난 뒤에야 가까스로 이럭저럭 빛을 본 셈입니다. 이때 한국에 와서 취재를 하던 외국 기자들이 찍은 사진은 언제쯤 사진책 하나로 묶여 빛을 볼 수 있을까요. 한국사람이 미처 못 담은 모습, 한국사람한테는 꽁꽁 막혀 바라볼 수 없던 모습을 담은 외국 기자들 사진은 앞으로 열 해나 스무 해쯤 뒤에는, 또는 서른 해나 마흔 해쯤 뒤에는 빛을 볼 만할까요.


  박도 님이 미국 어느 도서관에서 고이 잠자던 사진을 깨워 《지울 수 없는 이미지》(눈빛)를 내놓은 때는 2004년입니다. 한국전쟁 무렵 한국땅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들인데, 이 사진들은 자그마치 쉰 해를 훌쩍 지나 빛을 봅니다. 그러니까, 1980년 광주 이야기라면 앞으로 2030년쯤은 되어야 어디에선가 먼지를 털며 겨우 빛을 드러내지 않으랴 싶어요. 다만, 이 모습을 잊지 않은 누군가 있어야 하고, 이 모습을 되찾으려는 누군가 있어야 합니다.

 

 

 


  일제강점기에서 풀려난 한국은 기나긴 해를 군사정권 독재 그늘에 가려진 채 보내야 했습니다. 땅덩이는 남과 북으로 갈렸으나, 사람들 마음은 더 잘게 쪼개어져야 했습니다. 서로 믿고 서로 돕는 따스한 사랑보다는 서로를 미워하고 서로를 노려보는 끔찍한 총부리가 으르렁거려야 했습니다. 평화도 통일도 민주도 자리잡기 힘들었습니다. 사랑도 믿음도 꿈도 섣불리 말할 수 없었습니다. 이 모든 아픔과 응어리를 그대로 눌러둘 수 없기에 조금씩 불씨가 피어났고, 1980년대 끝무렵에는 남녘땅 사람들이 주먹을 불끈 쥐며 몇 마디 아우성을 터뜨렸어요.


  이즈음, 붉은 빛으로 감싼 사진책 하나, 펴낸곳 이름 따로 없이, 어느 사진을 어디에서 얻어 누가 오리고 잘라 엮었는가 하는 이름 또한 없는 채, 조용히 태어났습니다. 개인이나 단체나 출판사 이름 어느 한 가지조차 쓸 수 없던 그무렵, ‘종교는 건드리지 않는다’라 하는 금 안쪽에서 ‘광주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이름을 붙인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광주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1987)이 나옵니다.


  여기저기에서 오려 붙인 사진을 그러모았으니, 오늘날로 말하자면 ‘저작권 도둑질’이라 할 만하겠지요.


  글로도 그림으로도 사진으로도, ‘하고픈 말’을 마음껏 드러낼 수 없던 때에 나온 사진책이니, 가슴에서 북받치며 터져나온 책 하나라 할 만하겠지요.

 

 

 


  펴낸곳도 지은이도 엮은이도 따로 없는 만큼, 이 책은 여느 새책방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여느 도서관에도 이 책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아주 숨죽인 채, 사람들 사이사이 손과 손을 거쳐 눈시울을 적시며 몰래 읽고 읽혔습니다.


  나는 이 사진책을 헌책방에서 만났습니다. 자칫 헌책방 일꾼마저 ‘이런 책을 다룬다는 대목 때문에 경찰한테 붙들릴’ 수 있는데, 적잖은 헌책방 일꾼들은 아무렇지 않게 이 책을 조용히, 슬그머니 드러내어, 가만히, 말없이 번듯하게, 적잖은 사람들이 되읽고 돌려읽을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주었어요.


  군사정권 독재자들은 왜 글·그림·사진을 송두리째 걸어 잠갔을까요. 군사정권 독재자들은 왜 신문과 방송과 책이 자유롭지 못하게 얽어맸을까요. 걸어 잠긴 글·그림·사진인데, 우리들은 이를 얼마나 느끼거나 생각했을까요. 얽어매인 나머지 제목소리 못 내던 신문과 방송과 책이었는데, 우리들은 이를 얼마나 알거나 깨달았을까요.

 

 

 


  사진은 역사를 바꿀 수 있을까요. 그림은 역사를 바꿀 수 있을까요. 글은 역사를 바꿀 수 있을까요.


  나는 생각합니다. 사진도 그림도 글도 역사를 바꾸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역사는 바뀝니다. 왜냐하면, 사진이 역사를 바꾸지 못하지만, 사진 한 장에 온 눈물과 꿈과 사랑과 믿음을 담을 수 있으면, 이렇게 눈물을 담고 꿈을 담으며 사랑을 담는데다가 믿음을 담은 사진 한 장은 역사를 바꾼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나는 내가 찍는 사진마다 내 온 눈물과 꿈과 사랑과 믿음을 담으려 해요. 집안에서 뒹구는 아이들을 사진으로 찍든, 마당에서 마음껏 뛰노는 아이들을 사진으로 담든, 언제나 내 마음속 모든 기운이 솟구쳐오르도록 이끌어 사진 한 장으로 영글어 놓고 싶어요.

 

 

 


  나한테 사진을 찍는 힘은 내가 살아가는 힘입니다. 나한테 사진을 읽는 눈길은 내가 사랑하는 눈길입니다.


  사진책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한 권이 이 나라 역사를 바꾸었다고는 느끼지 않습니다. 다만, 이 사진책을 들여다본 사람들 가슴은 바꿀 수 있었다고 느낍니다. 그날 그곳 그때 그이를 이 사진책 하나로 가만히 그리면서 함께 웃고 같이 울며 나란히 어깨동무하는 꿈 한 자락을 끌어낼 수 있었으리라 생각합니다.


  “미워하지 말자. 그러나 절대로 잊어서는 안 된다.”는 한 마디로 끝맺은 사진책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을 넘기면, 여느 동네 여느 아주머니들이 시민군이 먹을 밥을 스스로 해서 스스로 챙기는 사진이 있습니다. 시민군한테 음료수 병을 갖다 안기는 사진이 있습니다.


  이와 달리, 총칼을 무섭게 빼든 군인한테 밥 한 그릇이나 물 한 모금 선선히 갖다 바치는 모습은 어떠한 사진으로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시민군도 계엄군도 모두 사람인데, 계엄군이라는 허울을 쓰고 광주땅 사람들 수천을 아무렇지 않게 끔찍히 죽인 이들은 누가 심어 거두고 누가 차려서 내미는 밥을 먹었을까 궁금합니다. 삶이란 무엇이고 죽음이란 무엇일는지 궁금합니다. 정권이란 무엇이고 독재란 무엇이며 정치란 무엇일는지 궁금합니다. 민주와 평화와 통일과 자유란 어떠한 모습과 이야기일는지 궁금합니다.


  왜 권력을 손아귀에 쥐려 하나요. 왜 돈뭉치를 뒷주머니에 챙기려 하나요. 왜 총칼로 사람들을 무릎 꿇리며 함부로 다루나요. 누구라도 하루 세 끼니 밥을 먹어야 하는 목숨이에요. 누구라도 논밭에 씨앗을 뿌려 알뜰히 건사해서 가을날 흐뭇하게 곡식과 열매를 얻어 어깨동무하며 누려야 할 이웃이에요. 살림을 즐거이 꾸리는 데에 마음·품·겨를·돈을 쓸 노릇이라고 느껴요. 군대를 만들거나 무기를 만들거나 4대강 삽질을 하는 데 따위에 어떠한 마음·품·겨를·돈조차 쓰지 않아야 한다고 느껴요.


  사진 한 장은 역사를 바꾸었을까요. 사진책 한 권은 삶을 바꾸었을까요. 사진기를 쥔 사람들은, 사진으로 담긴 사람들은, 사진을 바라보는 사람들은, 사진책을 돌려읽는 사람들은, 저마다 가슴에 어떤 이야기를 담을까요. (4345.3.9.쇠.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이에자이트 2012-03-09 16: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989년에는 가톨릭 사제들의 증언집인 <저항과 명상>(빛고을 출판사)이 나왔습니다.부록으로 독일 기자가 광주항쟁에 대해 쓴 글 세 편이 있죠.

숲노래 2012-03-09 17:21   좋아요 0 | URL
오, 그렇군요.
음... 저희 집에도 있나 싶기도 한데
가물가물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