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026) 어제의 1 : 어제의 카레

 

.. “냉장고에서 약간 굳은 어제의 카레를 따뜻한 밥 위에 얹어, 녹여 가면서 먹는 거지.” ..  《아베 야로/조은정 옮김-심야식당 (1)》(미우,2008) 23쪽

 

 ‘약간(若干)’은 ‘조금’이나 ‘살짝’으로 다듬습니다. “먹는 거지”는 “먹지”나 “먹는 셈이지”나 “먹는단 말이지”로 손봅니다.

 

 어제의 카레를
→ 어제 만든 카레를
→ 어제 먹고 남은 카레를
→ 어제 미리 만든 카레를
→ 어제 해 놓은 카레를
 …

 

 만화영화 〈아따맘마〉를 한국말로 보다가 일본말로 보며 아래쪽에 뜨는 글을 읽으니, ‘한글로 옮긴 글’ 가운데 적잖이 ‘일본말’인 대목이 보입니다. 〈아따맘마〉뿐 아니라 다른 만화영화도 이와 비슷할 텐데, 사람들은 만화영화에 나오는 ‘한글로 옮긴 글’이나 ‘한국말로 옮긴 말’이 참말 한국말인지, 껍데기만 한국말인지, 일본말을 고스란히 옮긴 말인지를 살피지 못합니다. 살필 겨를이 없다 할 만하고, 살필 마음이 없는지 모르며, 살필 까닭을 못 찾는지 모릅니다.

 

 일본 만화책 《심야식당》을 한국말로 옮긴 책에서 읽는 글 또한, 이 글이 옹글게 쓴 한국말인가 아닌가를 헤아리는 사람은 몹시 드물거나 아주 드물거나 아예 없지 않으랴 싶어요. 아니, ‘심야’와 ‘식당’이라는 낱말을 이렇게 한글로 적바림하면 한국말이라 할 수 있는가를 돌아보는 사람은 있기나 할는지요.

 

 이제 ‘심야(深夜)’ 같은 한자말은 아주 익숙히 쓰는 한국말로 삼을 만한지 모릅니다. 그런데, ‘심야’는 남달리 쓸 만한 낱말은 아니에요. 그저 “깊은 밤”을 뜻할 뿐입니다. “깊은 밤”을 가리키는 한국말은 ‘한밤’이에요. 그러니까, 만화책 《심야식당》을 옳게 한국말로 옮기자면, 먼저 “심야식당” 아닌 “한밤식당”이어야 합니다.

 

 ‘식당(食堂)’ 같은 한자말 또한 널리 쓰는 한국말로 삼아야 할는지 모릅니다. 그런데, ‘식당’이란 딱히 새롭거나 뜻깊은 낱말이 아니에요. 그저 “밥집”이나 “밥가게”를 가리킬 뿐입니다. 곧, 만화책 《심야식당》을 찬찬히 한국말로 헤아리자면, 바야흐로 “한밤 밥집”이나 “한밤 밥가게”인 셈이에요.

 

 어제 미리 만들어 냉장고에서 살짝 굳힌 카레
 어제 미리 해 놓고 냉장고에서 하루쯤 굳힌 카레
 어제 해서 냉장고에서 하루 굳힌 카레
 …

 

 오늘날 사람들은 ‘나이트’나 ‘미드나이트’ 같은 영어를 아무렇지 않게 씁니다. 온갖 영어를 온갖 자리에 버젓이 씁니다.

 

 오늘날 사람들 말버릇은 먼 옛날부터 고이 이어졌다고 느낍니다. 먼 옛날부터 한국말 아닌 중국말을 이웃 한국사람이랑 생각을 주고받는 자리에서 버젓이 쓰던 흐름이 고스란히 이어졌으니, 지난날에는 중국말을 한국말인 듯 거들먹거리며 썼다면, 오늘날에는 영어를 한국말인 양 거들먹거리며 씁니다. 지난날에는 중국말을 마치 한국말을 하듯 아무렇지 않게 썼다면, 오늘날에는 영어를 꼭 한국말이라도 되는 듯 아무렇지 않게 써요.

 

 어떻게 살아가야 아름다운 내 나날인가를 생각할 때에, 내 삶과 넋과 말이 아름다이 꽃피울 수 있습니다. 어떻게 살아가며 사랑할 때에 기쁜 내 하루인가를 돌아보아야, 내 삶과 넋과 말에 사랑이 깃드는 꿈을 어떻게 건사할 수 있는가를 깨닫습니다.

 

 생각을 잃으니 말을 잃습니다. 사랑을 잊으니 말을 잊습니다. 생각을 찾으며 말을 찾습니다. 사랑을 빛낼 때에 말을 빛냅니다. (4345.1.28.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