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없는 사람
커트 보니것 지음, 김한영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에서 여든두 해를 살았기에
 [책읽기 삶읽기 90] 커트 보네커트, 《나라 없는 사람》(문학동네,2007)

 


 커트 보네커트라는 분이 쓴 《나라 없는 사람》(문학동네,2007)을 읽었습니다. 서울 경복궁 옆에 있는 ‘사진위주 류가헌갤러리’에서 열리는 사진책잔치(포토북페어)에 사진책 이야기를 들려주러 마실을 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디긴 길에 읽었습니다.

 

 전라남도 고흥 시골마을에서 서울까지는 참 멉니다. 그런데, 서울 한복판 경복궁 곁 사진전시관에서 시골마을 두 아이 아버지를 불러 줍니다. 서울이나 수도권에 날고 기는 사진쟁이와 사진비평꾼이 꽤 있을 텐데, 애써 머나먼 곳에 있는 저를 불러 줍니다.

 

 내가 사진책잔치 강사로 이야기꽃을 피울 만한가는 나부터 스스로 헤아리지 않습니다. 나는 나한테서 사진책 이야기를 듣고 싶은 사람이 있으면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나는 나한테서 집안일을 꾸리는 이야기를 듣고 싶은 사람이 있으면 이야기를 펼칩니다. 잘나서 이야기를 하지 않습니다. 못나서 이야기를 못하지 않습니다. 누구나 저마다 살아가는 결에 따라 이야기를 할 뿐입니다.

 

 곧, 착하게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착한 결이 살아숨쉬는 이야기꽃을 피웁니다. 그러니까, 얄궂게 겉치레에 얽매이는 사람이라면 얄궂게 겉치레에 얽매이는 결이 넘치는 이야기를 흩뿌립니다.

 

 하룻밤 서울에서 자고 시골집으로 돌아오느라 고속버스와 고속기차에서 열 시간 남짓 시달렸는데, 시골집으로 돌아와 며칠이 지나도록 몸이 풀리지 않습니다. 내가 내 몸을 한결 따사로이 돌보지 못하니까 이렇게 몸을 추스르지 못하는구나 싶어요. 그래, 나부터 내 삶을 더 사랑해야 하고, 나 스스로 내 삶을 알뜰히 아껴야 합니다. 산문책 《나라 없는 사람》은 바로 이러한 얘기, 이른바 커트 보네커트라는 사람이 미국땅에서 여든두 해를 살아오며 스스로 부딪히거나 부대끼거나 복닥인 이야기를 고스란히 들려줘요.


.. 내가 보기에 진화는 엉터리다. 인간은 정말로 한심한 실패작이다. 우리는 은하계 전체에서 유일하게 생명이 살 수 있는 이 친절한 행성을 교통수단이라는 야단법석으로 한 세기 만에 완전히 망가뜨렸다 … 당신의 차에 기름을 조금만 넣으면 시속 백 마일로 달리면서 이웃집 개를 깔아뭉갠 다음, 대기권을 찢어발길 수 있다 … 한때 나는 코카인보다 더 강력한 물질에 중독된 적이 있다. 처음으로 운전면허증을 땄을 때였다. 다들 비켜라, 보네거트가 간다! … 내가 생각하는 진실은 다음과 같다. 우리는 중독 사실을 부인하는 중증의 화석연료 중독자다 ..  (19, 49, 50쪽)


 1922년에 태어나 2007년에 숨을 거두었다는 커트 보네커트 님입니다. 《나라 없는 사람》에서는 당신이 태어나 자란 나라가 미국이라 하지만, 이 미국이라는 나라가 얼마나 넋없고 얼없으며 사랑없는가를 차츰 깨달았다고 밝힙니다. 커트 보네커트 님으로서는 스물여덟 나이에 이러한 글을 써서 이만 한 책을 내지는 못하겠지요. 서른여덟 나이에도, 마흔여덟 나이에도, 예순여덟이나 일흔여덟 나이에도 《나라 없는 사람》이라는 책을 쓸 수 없었으리라 생각합니다. 꼭 여든둘이라는 나이에 이르러 이 책 하나 빚을 수 있었구나 싶어요.

 

 유럽나라끼리 벌인 싸움판에서 포로로 붙들려 드레스덴이라는 데에 있었다 하지만, 베트남전쟁이 일어나기 앞서 숨을 거둔 커트 보네커트 님이라면 《나라 없는 사람》을 쓸 수 없습니다. 베트남전쟁을 겪었을지라도 미국이 이라크로 쳐들어가는 일을 바라볼 수 없었다면 《나라 없는 사람》을 내놓을 수 없습니다.

 

 좋은 일 궂은 일 기쁜 일 슬픈 일 아름다운 일 고단한 일 두루 차근차근 맛보며 여든두 해를 꿋꿋하게 걸었기에 《나라 없는 사람》을 쓸 수 있어요. 아름답게 살아가는 한 사람 발자국을 곰곰이 돌아볼 줄 안다면 《나라 없는 사람》을 내놓을 수 있어요.


.. 아우슈비츠의 참상도 알지만, 대학살이란 아주 짧은 시간에 수많은 사람이 죽어나가는 갑작스러운 사건이다. 1945년 2월 13일 드레스덴에서는 약 십삼만오천 명의 사람이 영국군의 폭격으로 단 하룻밤 사이에 사라졌다 … 소이탄을 퍼부어 도시 하나를 잿더미로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려는 군사적 실험이었다 … 베트남전쟁이 나를 비롯한 많은 작가들에게 자유를 주었다고 생각한다. 베트남전쟁을 통해 우리의 지도력과 동기가 아주 추잡하고 본질적으로 멍청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제야 우리는 역사상 최악의 인종인 나치에게 저질렀던 우리 자신의 추악한 행동을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 베트남전쟁은 백만장자들을 억만장자로 만들었다. 오늘날의 전쟁은 억만장자들을 조만장자로 만들고 있다 ..  (26, 28, 70쪽)


 글은 누구나 씁니다. 사진은 누구나 찍습니다. 그림은 누구나 그립니다. 손전화로 전화를 걸듯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자가용 운전대를 붙잡듯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셈틀을 켜서 인터넷을 누비듯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손전화를 다루지 않을 때에 글을 씁니다. 자가용을 버릴 때에 사진을 찍습니다. 셈틀하고 등질 때에 그림을 그립니다.

 

 사랑을 하면 돈을 잊습니다. 살림을 꾸리면 정치를 잊습니다. 삶을 일구면 예술을 잊습니다.

 

 사람들은 사랑을 하지 않기 때문에 자꾸 돈벌이에 얽매입니다. 내 아이들을 사랑하지 못하니까 내 아이들을 자꾸자꾸 학원으로 몰아세우면서 학원삯을 벌려고 아둥바둥합니다.

 

 사람들은 살림을 꾸리지 않기 때문에 자꾸 정치에 눈을 둡니다. 내 살림살이를 사랑하지 못하니까 자꾸자꾸 정치 이야기를 읽고 술을 마시며 덧없는 말다툼을 벌입니다.

 

 사람들은 삶을 일구지 않기 때문에 예술을 좇습니다. 내 삶을 내 손으로 일구며 내 밥·옷·집을 마련하는 사람은 구태여 예술을 살피지 않아요. 내 밥·옷·집을 돈으로 장만하기 때문에 자꾸자꾸 예술이니 문화이니 문학이니 하고 떠벌입니다.


.. 예술은 생계수단이 아니다. 예술은 삶을 보다 견딜 만하게 만드는 아주 인간적인 방법이다. 잘하건 못하건 예술을 한다는 것은 진짜로 영혼을 성장하게 만드는 길이다 …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노예 생활을 하는 동안 전세계에 나눠 준 선물(블루스 음악)은 너무나 소중하여, 오늘날 많은 외국인들이 미국을 그나마 조금이라도 좋아하는 거의 유일한 이유가 되었다 … 그러나 이제는 안다. 우리의 한심한 미국이 인간적이고 이성적인 나라로 변할 가능성이 조금도 없다는 것을. 권력은 우리를 타락시키고, 절대 권력은 우리를 절대적으로 타락시키기 때문이다 ..  (32, 71, 74쪽)


 커트 보네커트 님은 ‘나라 없는 사람’이 맞습니다. 미국은 미국이라는 나라에 깃든 사람들한테는 조금도 ‘나라답지 않은 나라’이기 때문입니다.

 

 나한테 한국은 나라답지 않습니다. 곧, 나 또한 ‘나라 없는 사람’입니다. 나로서는 ‘나라답지 않은 나라’에 깃들며 이 나라 사람이라는 이름을 내세우고 싶지 않습니다. 나는 옆지기하고 시골에서 살아가는 사람이요, 나는 두 아이하고 시골살이를 하는 사람이며, 나는 내 삶길을 시골길에서 찾는 사람입니다.


.. 인생에서 끊임없이 빌리고 빌려주는 것, 다시 말해 상호 호혜를 빼면 무엇이 남을까? … 우리 아이들은 과학기술을 물려받았지만 그 부산물들은 전시에나 평화시에나 모든 종류의 생물이 먹고 마시고 숨쉬며 살아갈 우리의 지구를 빠르게 파괴하고 있다 ..  (43, 73쪽)


 미국은 참 바보 멍텅구리입니다. 한국 또한 그지없이 얼간이 똥싸개입니다. 커트 보네커트 님은 여든둘 나이에 남김없이 까발리며 당신 삶길을 밝힙니다. 그러면, 이 나라 한국에서는 누가 이렇게 ‘나라 없는 사람’이요 하고 외칠 만할까요. 오늘날 한국땅에서 글쟁이라 내세우는 이 가운데 누가 스스로 ‘나라 없는 사람’이라고 밝히는가요. 이 나라 한국에서 누가 자가용이 얼마나 쓰잘데기없는 핵폭탄과 같은가 하고 깨닫는가요.

 

 아주 무시무시하고 못된 자가용인 줄 깨달아 아쉬움없이 헤어지는 이는 얼마나 되는가요. 어린이문학을 하던 권정생 할아버지 말고, 자가용 때문에 이라크파병을 멈출 수 없을 뿐 아니라, 사람들이 자가용을 몰기 때문에 끔찍한 전쟁과 입시지옥과 못난 정치가 판을 칠 뿐 아니라, 아파트이니 경제개발이니 4대강사업이니 한미자유무역협정이니 잇따를밖에 없다고 느끼는 사람은 몇이나 되는가요.

 

 자가용을 훌훌 버려야 한미자유무역협정이 사라집니다. 자가용을 기쁘게 떠나 보내야 4대강사업이 없어집니다. 자가용을 홀가분히 잊어야 아파트 투기 따위가 스러집니다.

 

 내 아이한테 무엇을 물려주고 싶은지 생각해야 합니다. 나 스스로 내 삶을 어떻게 사랑하고 싶은지 돌아봐야 합니다. 커트 보네커트 님은 여든둘이라는 나이에 깊이 깨달아 이야기꽃을 피웠습니다만, 이 나라 사람들은 여든둘이라는 나이까지 살아도 못 깨달을 듯해 참 슬픕니다. (4344.12.10.흙.ㅎㄲㅅㄱ)


― 나라 없는 사람 (커트 보네커트 글,김한영 옮김,문학동네 펴냄,2007.8.20./9500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11-12-11 14: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하, 얼간이 똥싸개!^^

`예술은 생계수단이 아니다. 예술은 삶을 보다 견딜 만하게 만드는 아주 인간적인 방법이다.` 저도 그렇게 생각하거든요. 하지만 다른 의견들도 많을거라 생각해요. 생계수단이 되어야 더 치열하게 매진할 수 있다던가 하는.
저는 이 책을 아직 안 읽었지만 인용해주신 부분들에 대해서는 다 끄덕거리게 되네요.

숲노래 2011-12-11 19:19   좋아요 0 | URL
아무래도 생계수단일 때에는 더 치열하게 문학이나 예술에 매진할 테지만,
가난한 삶이더라도 생계수단이나 돈벌이를 잊고
아름다운 길을 찾으려 할 때에는
그야말로 아름다운 문학이나 예술이 꽃피운다고 느껴요.

죽은 다음에 어마어마하게 팔리면서 사랑받는
적잖은 문학이나 예술이
이러한 좋은 보기가 되는구나 싶어요... 에고... ㅠ.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