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에게 닿기를 2
시이나 카루호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하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나날
 [만화책 즐겨읽기 85] 시이나 카루호, 《너에게 닿기를 (2)》



 두 아이가 좀처럼 잠들지 못하면서 밤이 깊으면, 두 아이와 살아가는 어버이도 참 힘듭니다. 아이는 아이대로 잠이 들지 못해 힘들고, 어버이는 어버이대로 고단한 몸 쉬지 못해 힘듭니다.

 나를 두고 하는 말이 되는데, 바보스러운 어버이는 잠들지 못하는 아이한테 그만 골을 부립니다. 그러나 아이가 왜 잠들지 못하겠어요. 어딘가 아프고 어딘가 힘들며 어딘가 괴로우니 쉬 잠들지 못할 테지요. 따사로운 손길로 살뜰히 어루만지면서 사랑해야 할 아이입니다. 너그러운 품으로 곱게 얼싸안아야 할 아이예요.

 아이가 아닌 아픈 벗이라고 생각해 봅니다. 아이가 아닌 늙고 아픈 어버이라고 헤아려 봅니다. 내 벗이 아파서 잠을 이루지 못할 때에 나는 내 아픈 벗한테 골을 부릴 수 있을까요. 내 어버이가 늙고 아파서 잠을 이루지 못하는 자리에서 나는 내 늙고 아픈 어버이한테 골을 낼 수 있겠습니까.

 지난밤, 첫째 아이를 업고 집 앞 논배미를 한 바퀴 돕니다. 안아 달라 놀아 달라 업어 달라 하며 보채는 아이를 안고 놀며 업다가는, 문득 무언가 스치는 생각이 있어 아이를 업고는 밖으로 나옵니다. 서늘한 밤바람이 살랑이는 논둑길을 걷습니다. 이웃집 할머니 할아버지 모두 주무시는 깜깜한 밤이라고 이야기합니다. 하늘에 달도 별도 조용히 자고, 논도 자고, 억새도 자고, 까치랑 까마귀랑 참새도 자고, 유채싹도 자고, 석류나무도 자고, 전봇대도 자고, 구름도 자고, 멧등성이도 자고, 모두모두 자는데 어쩜 우리 예쁜 아이만 안 자니, 하고 이야기합니다.

 아이를 업고 밤길을 살짝 걷고 집으로 돌아오며 곰곰이 생각합니다. 내 아버지나 어머니도 깊은 밤 잠들지 못하는 어린 나를 업고는 이렇게 밤마실을 한 적이 있었을까 헤아립니다. 내가 떠올리지 못할 뿐, 나도 내 아이처럼 어린 겨울날, 내 어버이랑 차가운 바람을 쐬면서 내 어버이 등판이 얼마나 따스하고 우리 집이 얼마나 따뜻한가를 느낀 적이 있겠지요.


- ‘행복을 느끼는 매일 속에서 나날이 고동이 높아간다. 다른 애들은 모두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나랑 있는 게 즐거울까? 그랬으면 좋겠다. 좋겠다. 그랬으면.’ (22∼23쪽)
- ‘말하는 편이 좋았을까? 내가 주변에 있으면 나쁜 소리를 듣는다고. 하지만, 그걸 내 입으로 말하는 건 괴로워.’ (61쪽)
- “제대로 얘길 해야 알아듣지. 주가니 소문이니, 거기에 내 의지는 어디에도 없잖아! 그건 네가 결정할 일이 아냐. 내가 결정할 일이지. 난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해. 너랑 말하고 싶으면 말하고, 말하고 싶지 않으면 이런 식으로 얘기 나누지 않아!” (90∼91쪽)



 집으로 들어온 아이한테 쉬를 누입니다. 다시 안고 자리에 눕힙니다. 아이는 사르르 눈을 감습니다. 천천히 천천히 꿈나라로 접어듭니다. 그러나 첫째 곁 둘째는 좀처럼 잠들지 않습니다. 자는 방에서 누여 어르다가는 아이 어머니가 옆방으로 가서 더 놀립니다. 더 놀고 더 달랜 다음 젖을 물리고 품에 안아 토닥이며 재웁니다.

 내가 여자로 태어나 아이를 낳은 어머니라 한다면, 내 옆지기처럼 이렇게 아이를 어르고 달래며 토닥이면서 천천히 잠이 들도록 이끌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아주 마땅한 일이고, 아주 부드러운 삶입니다. 이제 막 이가 처음으로 돋으려 하는 갓난쟁이를 돌보는 어머니라는 자리는 그저 젖만 물리는 어머니 자리가 아닙니다. 온 사랑과 믿음과 꿈과 따스함을 고스란히 내어주는 자리입니다.

 아버지는 어머니처럼 젖을 물리지 못합니다. 아버지는 아이한테 젖을 물리지 못하지만, 어머니보다 힘을 더 많이 씁니다. 집밖일이든 집안일이든, 아버지 자리는 어머니와 달리 아이가 넉넉하고 느긋하게 자라면서 씩씩하게 우뚝 서기까지 건사할 일이 많습니다. 어머니와 아버지는 서로 맡은 몫을 서로 즐거이 나누어 짊어지면서 아이하고 예쁜 새 나날을 누립니다.


- “그 두 사람을 보고 있으면, 서로 정말 좋아하는구나 느끼게 돼. 그러니까 난 아직 그렇게까지 가까운 사이는 아니랄까. 하지만, 나도 두 사람을 엄청 좋아하니까, 그렇게 될 수 있다면 정말 좋겠다 생각해.” (30∼31쪽)
- ‘나 때문에 이상한 소문이 돌게 됐는데, 야노랑 요시다랑 카제하야는, 날 싫어하거나 무서워한 적이 한 번도 없었어. 언제나.’ (75쪽)



 십이월 한 달이 지나 새해가 찾아오면, 첫째 아이는 다섯 살로 접어듭니다. 첫째가 두 살일 무렵부터 둘레에서는 보육원에 넣어야 하느니 하고 이야기합니다. 세 살과 네 살을 오직 집에서 저희 어머니 아버지하고 지낸 첫째를 바라보는 둘레에서는 다섯 살이 되면 참말 마땅히 어린이집에 가야 하는 듯 여깁니다.

 때때로 생각에 젖곤 합니다. 살붙이 모두 깊이 잠든 새벽녘 홀로 조용히 일어나서 아버지 일인 글쓰기를 하며 곧잘 생각에 잠기곤 합니다. 내가 이 작은 시골마을 보금자리에서 이 옆지기하고 살아가지 않는다면, 나는 내 아이들하고 어떤 나날을 누렸을까 하고 생각에 빠지곤 합니다.

 나는 이 옆지기가 아니었어도 아이들하고 집에서 복닥이면서 살아갔을까요. 나는 누구하고 짝을 맺어 살림을 꾸렸어도 아이들하고 집에서 부대끼면서 지냈을까요.

 첫째 아이와 네 해를 꾹꾹 눌러 채우면서 한집에서 보낸 지난날을 되짚습니다. 이 아이가 보육원이든 어린이집이든 다녔으면, 어버이인 나는 아주 홀가분하게 이 일 저 일 많이 하거나 이 글 저 글 훨씬 많이 쓰거나 이곳저곳 마음대로 돌아다녔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면, 이렇게 누리는 내 삶은 얼마나 즐거웁고, 얼마나 뜻있으며, 얼마나 사랑스러운가요. 아니, 이렇게 누리는 어버이 삶은 아이한테 무엇을 보여주거나 남기거나 물려줄 만한가요.


- ‘너 때문에 늘 행복했어. 내내 갈구하던 것들을, 내내 동경하던 것들을, 맛볼 수 있었으니까.’ (82쪽)
- ‘전부 손으로 쓴 글씨. 하긴 당연한가? 나한테 만들어 준 노트니까.’ (120쪽)



 아이하고 네 해를 살아가며 생각합니다. 아이하고 집에서 늘 붙어 지낸다 하지만, 이렇게 붙어 지내더라도 아이하고 보내는 삶은 짧아요. 날마다 아이를 바라보며 살아도, 아이하고 어버이가 마주앉아 살을 부비는 겨를은 짧습니다. 아이를 업고, 아이를 안고, 아이 손을 잡고, 아이 눈망울을 바라보고, 아이를 씻기고, 아이 옷가지를 빨고, 아이한테 밥을 먹이고, 이것저것 하는 품과 겨를과 나날은 더없이 짧습니다.

 길고 짧고를 따질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만, 이 아이가 얼마나 사랑스러운 아이인가를 온몸 가득 느끼는 나날은 아주 짧아요. “품 안에 아이들”이라기보다, 아이 스스로 아이 나름대로 무럭무럭 자라는 동안 어버이로서 사랑을 물려주거나 나누는 나날은 아주 짧구나 싶어요. 어버이 되는 사람은 고작 몇 해 아이하고 함께 지내지 못하면서 집밖일로 나다닐 때에는 아이가 물려받아야 할 사랑을 제대로 물려주지 못할 뿐 아니라, 아이가 마땅히 누려야 할 사랑조차 누리도록 이끌지 못하는구나 싶어요.


- ‘내 마음 역시 똑바로 말하지 않으면 전해지지 않아. 모르니까 서로 알아 가고 싶어.’ (130쪽)
- “너희들은 아무것도 몰라! 모르니까 그런 소릴 하는 거야.” (152∼153쪽)



 시이나 카루호 님 만화책 《너에게 닿기를》(대원씨아이) 2권(2007)을 읽으면서 생각합니다. 이 만화책에 나오는 아이들이 보낸 초등학생 나날이나 중학생 나날은 참 짧습니다. 고등학생 나날을 보내는 이 만화책 아이들은 하루하루 금세 지나갑니다. 좋은 날이든 궂은 날이든, 이 아이들 하루는 참으로 짧아요. 초등학교 여섯 해이든, 중학교와 고등학교 세 해씩이든, 아주 짧습니다.

 푸르게 빛나는 세 해는 하루하루 빛나는 나날이 모여 이루어지지만, 세 해이든 하루이든 참 금세 지나갑니다. 어느 하루이고 애틋하게 여길밖에 없고, 어느 하루이든 온마음을 들여 사랑할 수밖에 없습니다.

 내 마음이 너한테 닿기를 바랍니다. 네 마음이 나한테 닿기를 꿈꿉니다. 고등학생이 서로를 좋아하거나 사랑하는 넋에 앞서, 아니, 고등학생이 서로를 아끼거나 보듬는 얼에 앞서, 만화책 《너에게 닿기를》은 하루하루 사랑하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나날이 아이들한테 얼마나 놀랍고 대단하며 뜻깊고 아름다운가를 보여줍니다.

 참말 아이들한테 하루하루 뜻깊지 않은 날이 없어요. 참말 아이들은 하루하루 아무렇게나 보내도 되지 않습니다.

 날마다 새롭습니다. 언제나 즐겁습니다. 늘 기쁩니다. 노상 웃음꽃이에요.


- “그런 일로 상처받은 건 너잖아.” (172쪽)
 

 아이와 함께 살아가는 어버이들이 돈을 더 벌어야 한다는 까닭 때문에 집밖일로 너무 얽매이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돈을 덜 벌거나 돈을 못 벌더라도 아이하고 나눌 사랑을 깨달으면 반갑겠습니다.

 아이들은 밥을 함께 먹을 수 있는 살붙이가 반갑지, 비싼밥 마음대로 사먹을 수 있는 살붙이가 반갑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사랑을 먹지, 돈을 먹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아이들이 아주 사랑할 만한 좋은 보금자리를 기쁘게 여기지, 비싼값에 사고팔 만한 부동산인 아파트를 기쁘게 여기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내 어버이 등판과 무릎과 가슴이 따스하면서 좋지, 까맣고 커다란 비싼 자가용 히터가 따스하거나 좋지 않아요. (4344.12.5.달.ㅎㄲㅅㄱ)


― 너에게 닿기를 2 (시이나 카루호 글·그림,서수진 옮김,대원씨아이 펴냄,2007.10.15./4200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