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한 장 보면서 눈물 흘리기
 [잘 읽히기 기다리는 사진책 41] 《the children of this world》(stern,1977)



 사진책만큼 안 팔리거나 사랑 못 받는 책이 드뭅니다. 사람들이 사진기를 장만하려고 여러모로 알아본다든지 돈을 모은다든지 하는 일을 돌아본다면, 사진기를 장만해서 ‘사진찍기 즐기려’는 사람들이 ‘사진을 사랑하는 길’에서 자꾸 엇나가는 셈 아닌가 싶어 슬픕니다.

 어느 사진쟁이는 ‘다른 사람 사진은 안 본다’고 말합니다. 다른 사람 사진을 보면 ‘내 사진을 찍는 길이 흔들리거나 다른 사람이 사진 찍는 길이 스며들’기 때문이랍니다. 사진쟁이 아닌 여느 사진즐김이 가운데 ‘훌륭하다는 사진을 본들 따라갈 수 없고, 내가 작가로 살아갈 마음이 없으니 구태여 사진책까지 사서 볼 까닭이 없다’고 말하는 분이 제법 많습니다.

 이런 말 저런 까닭을 들며 사진책을 읽지 않는 사람이 많습니다. 참말, 사진책 하나 장만하지 않으면서 사진을 찍는다거나 사진잔치에 마실을 가는 사람이 많아요.

 사진책이 하나 태어나기까지 돈이 적잖이 듭니다. 사진책치고 값싼 사진책은 얼마 안 됩니다. 사진기 하나 장만하는 데에도 살림돈이 휘청거리는데 사진책을 어떻게 사느냐 한숨을 쉴 만합니다. 그런데, 이 나라 도서관 가운데 사진책 알차게 갖춘 데는 없습니다. 만화책과 문학책 갖추어 빌려주는 대여점은 있고, 어린이가 즐길 그림책을 갖추는 어린이책 도서관이 새로 태어납니다. 그러나, 어린이나 푸름이나 어른 누구나 ‘사진을 즐기거나 누릴 도서관’은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온갖 사진책 골고루 갖추어 사진을 곱게 즐기도록 돕는 책쉼터는 찾아보기 어려워요.

 사진책 도서관을 여러 해 꾸리는 사람으로서 곰곰이 생각합니다. 나라고 돈이 많지 않은데다가, 마땅한 돈벌이가 없습니다. 나는 사진을 좋아하는 사람이요 사진을 찍는 사람이기에 사진책을 꾸준히 살피고 틈틈이 장만합니다. 여느 사진책 한 권 장만하자면 여느 글책 열 권 장만하는 돈이 들기 일쑤입니다. 어느 사진책 한 권은 여느 글책 스무 권이나 서른 권 값을 하곤 합니다.

 시골에서 살아가니, 으레 도시에서 벌어지는 사진잔치에 찾아갈 수 없습니다. 사진잔치에 어쩌다 한두 번 찾아간들, 이 사진잔치가 끝나고 나면 어떤 사진이 걸렸는지를 되새길 수 없습니다. 마치, 연극을 보고 나서 연극이 어떠했는가를 나눌 ‘그림’이 없는 일하고 같습니다.

 사진책은 사진으로 들려주는 이야기를 갈무리하는 책입니다. 글책은 글로 들려주는 이야기를 갈무리하는 책입니다. 사람들이 저마다 예쁘게 살아가며 일구는 예쁜 이야기를 ‘입으로 주고받다’ 보면 ‘듣는 사람은 어느새 잊’거나 ‘듣는 사람이 되새기더라도 엉뚱하게 되새기’는 일이 잦습니다. 말하는 사람 스스로 잊을 때가 있어요. 이리하여, 입과 입으로 주고받던 이야기를, 가슴과 가슴으로 물림하던 이야기를, 사랑과 사랑으로 나누던 이야기를, 사람들이 글에 알뜰히 담고 종이로 묶어 책 하나로 태어나도록 합니다. 사진책은 사진잔치를 벌이고 나면 잊힐 이야기이기도 하면서, 서로서로 더 따사롭고 더 오래도록 건사하면서 나누고픈 이야기를 담는 책인데, ‘그릇만 사진’입니다.

 《4th world exhibition of photography : the children of this world》(stern,1977)라는 이름이 붙은 사진책을 들여다봅니다. 내 사진책 도서관에는 이 사진책이 하나 있습니다. 2000년 첫무렵이었나, 김기찬 님 사진책 《골목안 풍경》을 어느 분한테 선물로 드리고 나서 이 사진책을 선물로 받은 적 있습니다. 독일 ‘stern’이라는 출판사와 유니세프가 뜻을 모아 마련하는 ‘온누리 사진잔치’ 열매를 그러모은 사진책입니다. 1977년에 넷째 사진잔치를 열었고, 이때 사진감은 ‘어린이’였으며, 모두 아흔네 나라 이백서른여덟 사진쟁이가 일군 오백열다섯 사진을 담습니다.

 《the children of this world》를 들추면 최민식 님이 담은 ‘부산 가난한 어린이’ 사진도 보입니다. ‘Abisag Tulllmann’이라는 사람이 담은 한국땅 구두닦이 사진도 있어요. 일본사람이 담은 일본 어린이 사진이 있고, 서양사람이 담은 중국과 일본 어린이 사진이 있습니다. 웃는 어린이, 우는 어린이, 즐거운 어린이, 슬픈 어린이, 전쟁에 시달리는 어린이, 가난한 어린이, 노는 어린이, 동생을 돌보는 어린이, 일하는 어린이, 배우는 어린이, 태어나는 아기 들이 나옵니다.

 1970년대에 꽃피운 《the children of this world》를 일구던 사진쟁이는 어떤 마음과 매무새로 어린이들 앞에서 사진기를 들었을까 궁금합니다. 2010년대를 살아가는 오늘날 사진쟁이는 어떤 사랑과 몸짓으로 아이들 앞에 서면서 사진기를 들는지 궁금합니다. 2010년대 오늘날 한국땅 사진쟁이는 한국이나 일본이나 중국에서, 베트남이나 라오스나 필리핀에서, 독일이나 덴마크나 영국에서, 스리랑카나 아르헨티나나 볼리비아에서 …… 저마다 어떤 어린이를 만나고 어떤 이야기를 들으면서 어떤 사진을 빚을 만할까 궁금합니다.

 지난달에 헌책방에서 《the children of this world》라는 사진책 한 권을 새로 장만합니다. 한 권 갖추었으나 여러 사람한테 보여주느라 책이 퍽 닳고 찢어지는 바람에 새로 장만합니다. 새로 장만한 헌 사진책 《the children of this world》도 머잖아 닳거나 찢어지리라 생각합니다. 그래도 이 사진책을 우리 아이들한테 물려주어 1970년대 어린이 삶과 꿈과 넋을 헤아리는 길동무로 삼고 싶습니다. 나한테 사진책은 눈물 흘리며 즐겁게 누리는 한삶을 담는 이야기입니다. 나한테 사진책은 웃음꽃 피우며 신나게 즐기는 한삶을 싣는 이야기입니다.

 톨스토이나 윤동주처럼 되고 싶어 톨스토이나 윤동주 문학을 글책으로 읽지 않습니다. 다만, 톨스토이나 윤동주가 일군 글빛을 느끼면서 내 삶빛을 보듬고 싶으니, 이분들 남긴 책을 읽습니다.

 나는 스티글리츠나 앗제나 임응식이나 배병우가 될 까닭이 없습니다. 그저 이분들이 이룬 사진빛을 느끼면서 내 삶빛을 돌볼 수 있으면 즐겁습니다. 사진책 《the children of this world》를 되읽으며 생각합니다. 나는 이 사진책에 나온 어린이 사진처럼 우리 집 아이들을 사진에 담을 생각이 없습니다. 그예 내가 사랑할 우리 집 아이들을 헤아리고 싶으며, 내가 사랑하며 살아가는 결을 고스란히 싣는 사진을 날마다 기쁘게 찍고 싶어요.

 나부터 내 어버이한테서 사랑을 받아 태어났습니다. 우리 아이들은 나와 옆지기 사랑을 받으면서 태어났습니다. 나는 내 어버이를 비롯해 수많은 사람들 사랑을 받아먹으면서 하루하루 새롭게 일굽니다. 우리 아이는 나와 옆지기를 비롯해 수많은 사람들 사랑을 받아먹으면서 날마다 새롭게 뛰어놉니다.

 좋은 넋이라면 좋은 눈길로 바라보며 좋은 손길로 사진기를 쥘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좋은 얼이라면 좋은 사랑을 담아 좋은 꿈을 북돋우는 사진읽기를 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눈물을 흘리는 삶이기에 사진책을 마련합니다. 웃음을 짓는 나날이기에 글책을 장만합니다. (4344.12.3.흙.ㅎㄲㅅㄱ)
 

 

(사진책 읽는 즐거움 - 최종규 . 20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