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결에 물든 미국말
 (663) 네코무라이스 에그


.. “아, 그럼, 오늘은 ‘네코무라이스 에그’를 해 볼까? 여자니까 깜찍하게 에그로 장식하면 좋아하실지도 몰라.” ..  《호시 요리코/박보영 옮김-오늘의 네코무라 씨 (하나)》(조은세상,2008) 107쪽

 ‘장식(裝飾)하면’은 그대로 두어도 나쁘지 않으나 ‘꾸미면’으로 손볼 수 있습니다. 글흐름을 살피면, 집살림 맡은 네코무라 씨가 ‘오무라이스’를 하는데, 밥을 볶아서 밥그릇에 담은 다음 접시에 뒤집어 놓고, 달걀을 노른자 터지지 않게 부쳐서 밥 위쪽에 예쁘게 얹습니다. 달걀을 얇게 부쳐서 볶음밥에 얹지 않아요. 그래서 여느 ‘오무라이스’가 아닌 ‘네코무라이스 에그’라는 새 이름을 붙여서 이야기합니다. 이런 자리에서 쓰는 ‘장식하면’이니, “여자니까 깜짝하게 달걀(부침)을 얹으면”처럼 손질해도 잘 어울립니다.

 ‘오무라이스(オムライス)’는 일본사람이 가리키는 이름입니다. ‘오믈렛(omelet)’ + ‘라이스(rice)’가 ‘오무라이스’가 되었어요. 그러나 이 일본말(일본 영어)을 거리끼지 않고 쓰는 한국사람이에요. 한국에 있는 밥집 어디에서나 ‘오무라이스’나 ‘오므라이스’라 적을 뿐, 이 밥을 우리 말글에 걸맞게 풀어내어 적지 않습니다.

 오믈렛 → 달걀 얇게 부침
 라이스 → 밥
 오믈렛 + 라이스 → 밥을 볶은 다음 달걀 얇게 부쳐 얹음


 달걀을 부친다 할 때에 두껍게 부치기도 할 테고 얇게 부치기도 하겠지요. 그래서 일본말 ‘오무라이스’는 ‘얇은달걀부침볶음밥’으로 적어야 가장 올바릅니다.

 이렇게 적자니 너무 길다면 ‘달걀부침볶음밥’이나 ‘달걀부침밥’처럼 적을 수 있어요. 어떻게 마련해서 먹는 밥인가를 살핀다면 가장 알맞으면서 올바르고 쉬운 이름 하나 얻습니다.

 아이들한테 물어도 됩니다. 아이한테 ‘오무라이스’를 마련해 준 다음, “자, 오늘은 무슨 밥일까?” 하고 물어 보셔요. 아이들이 아직 ‘오무라이스’라는 일본말을 모를 때 물어야 하는데, 오무라이스를 모르는 아이들은 달걀을 얇게 부쳐서 볶음밥에 얹을 때에 무어라 이야기를 할까요. 아이들한테 묻듯 나 스스로한테 차분하게 물어도 돼요. 나는 이 밥을 바라보면서 어떤 밥이라고 생각하겠습니까.

 네코무라이스 에그 : 네코무라 씨가 만든 달걀부침 얹는 볶음밥
→ 네코무라 달걀밥
→ 네코무라 달걀부침밥
→ 네코무라 달걀부침볶음밥
 …


 여느 달걀부침밥(오무라이스)하고는 좀 다르게 마련하는 밥인 만큼 ‘부침’이라는 낱말을 덜어 ‘달걀밥’이라고만 할 때에 더 알맞을 수 있습니다. 또는 “네코무라볶음밥 달걀얹기”처럼 조금 길더라도 새 이름을 붙일 만해요.

 스스로 예쁘게 꾸미려 하는 맛난 밥인 만큼, 스스로 예쁘게 돌보려 하는 살가운 말이요 이름이라면 한결 반갑습니다. 스스로 아름다이 살아가려는 나날이라면, 스스로 아름다이 보살피는 말이며 글이 되도록 마음을 기울인다면 몹시 즐겁습니다. (4344.11.19.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