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낭소리, 그 후 - 사진작가 지영빈의
지영빈 지음 / 책이있는마을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 동안 찍지 못하는 사진이라면
 [찾아 읽는 사진책 60] 지영빈, 《워낭소리, 그후…》(책이있는마을,2010)



 하루 동안 찍지 못하는 사진이라면, 한 달이나 한 해뿐 아니라 열 해나 스무 해가 걸려도 못 찍는 사진이라고 느낍니다. 무엇을 찍건 누구를 찍건, 나한테 주어진 겨를만큼 사진을 찍어야, 나 스스로 더 넉넉히 말미를 마련해서 사진을 찍을 때에 제 목소리가 살아숨쉬는 제 이야기가 태어난다고 느낍니다.

 집에서 두 아이를 사진을 담을 때에도 똑같습니다. 내가 집에 머무는 겨를이 고작 1분이나 10분이라 하더라도 이동안 사진 열 장이나 서른 장을 찍을 수 있습니다. 찍기 나름입니다. 그냥 마구 눌러대는 사진이 아니라, 내 아이를 내가 사랑하는 마음그릇만큼 사진으로 찍어요.

 내가 참말 내 아이를 아끼며 사랑하는 넋이라 할 때에는, 고작 하루 몇 분 사이에 열여섯 장 사진을 찍어, 이 열여섯 장으로 사진책 하나 묶을 수 있습니다. 꼭 백육십 장에 이르는 사진을 열 달이나 열 해에 걸쳐 찍어야 사진책으로 묶을 만하지 않습니다. 하루 스물네 시간을 아이하고 함께 지내는 이야기를 가만히 사진으로 담아 사진책 하나로 묶을 수 있어요. 내 아이가 갓 태어나 학교에 들어가고 어른이 되어 혼인을 할 때까지 사진으로 담아야 사진책 하나 빚을 수 있지 않습니다. 사진기를 쥔 우리들은 ‘사진으로 이야기를 일구는 일’을 하지 ‘더 많이 찍은 사진’이나 ‘더 오래 찍은 사진’으로 겨루기나 숫자놀이나 등수매기기를 하지 않습니다.

 지영빈 님이 일군 사진책 《워낭소리, 그후…》(책이있는마을,2010)를 읽으면서 생각합니다. 지영빈 님은 영화 〈워낭소리〉가 나온 뒤, 이 영화에 나온 할아버지네 막내아들한테서 ‘아버지 사진 찍어 달라’는 이야기를 듣고는 “설레는 마음으로 서울과 봉화를 수 차례 오가며 카메라에 이르신의 모습을 담았다(머리말).”고 합니다. 사진책 《워낭소리, 그후…》를 읽다 보면, 참말 “수 차례 오가며” 찍은 사진이로구나 하고 느낄 수 있습니다. 꼭 이만큼 찍은 사진입니다.

 이를테면, 봉화에서 ‘어르신하고 함께 살면서’ 찍은 사진이 아닙니다. 봉화에서 ‘어르신하고 한 달이고 석 달이고 함께 먹고자면서’ 찍은 사진이 아니에요.

 그렇다고, 어르신하고 몇 달이건 몇 해이건 함께 어울리면서 사진을 찍을 때에 가장 빛나거나 가장 훌륭하거나 가장 돋보이거나 가장 사랑스러울 만한 사진이 나오지 않습니다. 《워낭소리, 그후…》 같은 사진책이 《굴피집》(안승일 사진책)만 한 깊이가 담긴 사진책이 되기를 바랄 수 없습니다. 다만, “수 차례 오가며” 찍은 사진이라면, 이렇게 “수 차례 오가며” 만날 수 있는 깊이와 너비가 어떠한가를 사진쟁이 삶으로 녹이면서 사진기 단추를 누르면 돼요. 어르신하고 마흔 해를 살아온 이웃처럼 사진기 단추를 누르면 안 됩니다. 어르신 이야기를 영화로 담은 감독처럼 사진기 단추를 누르면 안 돼요. 오직 몇 차례 만날 수 있는 틈에서 살릴 수 있고 살아낼 만한 사진을 헤아리면서 사진기 단추를 누르면 됩니다.

 “어르신을 카메라에 담는 것은 기다림과의 싸움이었다. 며칠을 찍었는데도 거의 같은 사진뿐이었다(머리말).”는 말을 되새깁니다. 짧지 않은 나날을 사진을 찍은 지영빈 님이요, 조용필·이광조·장동건·이승연처럼 이름난 연예인을 사진으로 찍는다는 지영빈 님입니다. 마땅한 노릇인데, 조용필·이광조·장동건·이승연처럼 이름난 연예인은 당신들 스스로 ‘아주 바쁜 틈을 내어 사진으로 찍혀야’ 합니다. 봉화마을 어르신이라 해서 안 바쁜 나날이 아니에요. 그러나, 봉화마을 어르신은 ‘당신한테 바쁜 나날에 지영빈 님한테 굳이 틈을 쪼개어 사진으로 찍혀 줄 까닭이 없’습니다. 어르신네 막내아들이 당신 사진을 찍어 주기를 바라건 말건, 어르신으로서는 누가 당신을 찍거나 말거나 아랑곳할 일이 없기도 하며, 퍽 귀찮거나 싫을밖에 없습니다. 나하고 사랑스레 만나면서 따스히 어우러질 이웃이나 벗으로 다가오는 사람이 아니라 ‘그림으로 보기 좋은 썩 괜찮다 싶은 사진 몇 장 후다닥 얻어’ 돌아가려는 사람으로 다가온다면, 봉화마을 어르신뿐 아니라 대통령이나 서울시장도 사진 찍히기를 달가이 여길 수 없을 뿐 아니라, 애써 사진 몇 장 찍더라도 ‘사진을 찍은 사람부터 스스로’ 마음에 차지 않습니다.

 마음을 열고 사귀어야 합니다. 마음을 열어 사랑해야 합니다. 남녀 사이에 살을 섞는 사랑놀이가 아니라, 사진기를 손에 쥔 사람과 사진기를 바라보는 사람이 마음으로 이어지는 사랑을 이루어야 합니다.

 지영빈 님은 “똑같은 일상, 똑같은 동선에서 어르신의 변화를 담는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머리말).”고 말하지만, 정작 《워낭소리, 그후…》에는 어르신 하루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새벽에 일어나 밤에 잠자리에 드는 ‘하루 삶’을 사진으로 담지 못했어요. 아니, 처음부터 이러한 ‘하루 삶’을 담을 마음이 없었다고 해야 옳습니다. 이 ‘하루 삶’을 바라보거나 살피지 않았으니까, 이 ‘하루 삶’을 ‘똑같은 동선’이라고 여길 뿐, 이 움직임과 모습과 삶에서 어떠한 이야기가 샘솟는가를 가슴으로 깨닫지 못해요. 사진으로 꽃피우지 못합니다.

 “옷 좀 바꿔 입고 찍자고 해도 한사코 당신이 좋아하는 옷만 고집하시던 이 시대 최고의 멋쟁이(머리말).”라는 말은 아주 덧없습니다. 시골마을 할아버지를 찍는 사진은 연예인을 찍는 사진하고 다른데, 할아버지한테 옷을 갈아입으라고 말하다니요. 이것 참 버르장머리없는 노릇입니다. 아니, 사진을 찍는다는 사람으로서 밑바탕을 제대로 다스리지 못했습니다. 전쟁터에서 군인을 사진으로 찍을 때에 “이봐, 전투화 코가 벗겨졌잖아. 다른 전투화 신고 와.” 하면서 사진을 찍을 수 있나요. 다쳐서 어깨를 붕대로 감싼 군인을 사진으로 찍을 때에 “이봐, 붕대가 제대로 안 감겼잖아. 다시 감아.” 하면서 사진을 찍어도 될까요. 능금밭에서 능금을 따는 일꾼한테 “여보시오. 좀 고운 옷을 입고 능금을 따시오. 그래야 사진이 잘 나오지.” 하고 말해도 될는지요. 새마을운동 사진을 찍는 일이 아니라면, 관청에서 겉만 번지르르하게 내세우는 홍보사진을 찍는 일이 아니라면, 할아버지 삶을 사진으로 담을 때에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똑똑히 헤아려야 합니다.

 어쩔 수 없을 텐데, 지영빈 님은 ‘워낭소리 할아버지 삶’을 사진으로 어떻게 보여주도록 그려야 아름다운가를 깨닫지 못했기 때문에, 가벼운 손재주를 부려 포토샵 사진을 몇 끼워넣기까지 합니다. 사진책 《워낭소리, 그후…》는, 영화 〈워낭소리〉가 극장에 걸린 뒤부터 봉화마을 어르신이 얼마나 시달리거나 고달프거나 힘겹거나 짜증스럽게 살아야 하는가를 낱낱이 보여주는 슬픈 얼굴입니다. (4344.9.21.물.ㅎㄲㅅㄱ)


― 워낭소리, 그후… (지영빈 사진,책이있는마을 펴냄,2010.2.23./23000원)
 

 

(최종규 . 20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