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역 영풍문고
시외버스를 내린 광주역 한켠에 커다란 영풍문고가 있다. 아니, 영풍문고가 아니라고 해야 하나. 책방 문간에는 한글로 ‘영풍문고’라 적히지 않는다. ‘YPBOOKS’라고만 적힌다.
어마어마하게 많다 싶은 사람들이 북적거리는 시외버스역 둘레 커다란 저잣거리에서 아이 손을 잡으며 이맛살을 찡그린다. 아이는 버스에서 풀려났다는 생각에 이리 뛰고 저리 뛴다. 시끄러우면서 어수선한가를 생각하지 않는다. 그저 마음대로 뛸 수 있어 좋다며 웃는다.
어쩐지, 이렇게 어수선한 저잣거리 한켠에 책방이 있다는 모습이 믿기지 않는다. 아무래도 안 어울린다고 느낀다. 그렇지만, 서울 연신내 먹자골목으로 바뀐 골목 한켠에 예부터 오래도록 자리를 지킨 헌책방 〈문화당서점〉이 있다. 이런 모습을 돌아본다면 광주역이라 해서 얄궂거나 낯설다 할 수 없으리라.
그러나 아무리 헤아려도 낯설다. 아니, 낯설밖에 없다. 아니, 어수선하고 시끄러운 곳에서 무슨 책을 누가 어떻게 읽을 수 있을까. 시끄러이 떠드는 데에서 책을 읽을 만한가. 책을 팔 수야 있겠지. 시끌벅적한 서울국제도서전 같은 데에서도 책팔이는 잘만 하니까. 어쩌면, 이 나라에서는 책팔이만 있고 책읽기는 없는지 모른다. 사람들 스스로 차분해지면서 맑아지자 해서 읽는 책인데, 사람들 스스로 차분해지거나 맑아지고 싶지는 않으니까, 찻길을 더 넓히고 더 크면서 빠른 자가용을 장만하는데다가, 아파트와 쇼핑센터만 잔뜩 올려세우잖은가.
한손에 책을 쥐며 걸어다니는 사람을 볼 수 없다. 책을 넣었다 싶은 가방을 들고 다니는 사람을 만날 수 없다. 광주역에서뿐 아니라 서울역에서도 인천역에서도 부산역에서도 대구역에서도 대전역에서도 똑같다. 한손에 책을 곱다시 쥐며 맑은 눈빛과 낯빛으로 따사로운 몸짓을 선보이는 사람을 마주치지 못한다. (4344.8.4.나무.ㅎㄲ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