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금요일에 촌수가 있는 친척 동생을 데리고 서울에 있는 한 대학교의 수시 시험에 간 적이 있습니다.
재작년인가 육촌 동생이 성균관대 공대에 합격해서 오촌아저씨와 숙모님이 무척 자랑스럽게 여기면서 기뻐하는 모습을 본 기억이 있지요.그래선지 요즘 그 모습에 필을 받았는지 지방에 있는 많은 친척들이 서울로 시험을 보러 올라옵니다.
뭐 요즘 지역 거점 국립대학보다 인 서울 4년제 대학을 더 높이 두는 추세다 보니 지역 대학을 일단 패쑤하고 서울로 시험을 보러 상경하는 모양입니다.물론 지역의 국립 대학에 입학하는 것이 등록금도 싸고 하숙비도 안들기에 부모님들의 경제적 부담을 훨씬 줄여 줄 수 있지만 아무래도 문화 시설이 많은 서울이 훨씬 좋은지 너도나도 서울로만 올라옵니다.
사실 지방 국립대학보다 인 서울 상위권 대학이 훨씬 높다는 인식이 있지만 서울에 있는 모든 대학이 지방 국립대학보다 좋은 것은 아닙니다.
친척 동생이 수시 시험을 치룬 대학 역시 서울에 있지만 뭐 그다지 인지도가 높은 대학은 아닙니다.9시 반까지 입실이라 7시에 출발해서 버스를 타고 광화문 앞에서 또 버스를 환승하기 위해서 기다리고 있는데 명색히 대학인데 대학까지 가는 버스가 달랑 1대입니다.그것도 출근시간인데 배차간격이 20분이 넘네요.
아무튼 기다린던 버스가 와서 버스를 탈려고 하니 와 주변에 있던 모든 사람들(아마 대부분 수험생과 부모인듯)이 어디서 나왔는지 갑자기 우루루 모여서 버스에 올라탈려고 난리가 아닙니다.

마치 70년대의 만원 버스를 타는 시민들의 모습을 보는 착각에 빠지는 듯 했습니다.
사람이 워낙 많다보니 버스에 올랐다가 그만 튕겨나오게 되고 버스는 그대로 출발했네요.할 수 업시 또 한 20분을 기다려 수험생과 함께 죽기살기로 사람들을 헤치고 버스에 탔는데 정말 콩나물 시루가 따로 없었고 거의 대부분 수험생인지 대학까지 사람들이 거의 내리지 않아서 정말 죽다 살아난 기분입니다.
아무튼 콩나물 버스에서 내려 시간을 보니 9시 15분인데 얼마나 수험생이 많은지 긴 줄이 늘어서 있더군요.친척 동생을 시험장에 올려 보내고 겨우 한숨을 돌리는데 일전에 적었듯이 1~2분차로 늦은 수험생들이 보여 안타깝더군요.
사실 웬만하 서울에 있는 대학의 경우 버스 노선이 서너개는 되어서 이용에 큰 지장이 없는데 이 대학도 버스가 한대 더 있지만 문제는 대학 정문에 내려주는데 경사길은 한 15분쯤 걸어 올라가야 되서 수험생들의 진을 빼놓을 수 있어 대부분 앞서 말한 콩나물 시루 버스(이건 경사길을 올라서 대학안까지 들어와서 회차함)을 다들 탔던 모양입니다.
벤치에 앉아서 느낀 점은 왜 수시 시험을 굳이 평일인 금요일 오전에 치루어서 수험생들을 생 고생 시킬까 하는 것이었죠.수능아야 전국적으로 행해지고 늦으면 경찰차라도 이용 가능하지마 대학별 수시 시험은 그럴수 없는데다가 지방의 경우 수험생 혼자서 올라 오는 경우(아마 서울이 처음인 학생도 있을 거임)도 있어 고생을 많이 한 다는 것이죠.
대학 관계자들이 좀 힘들더라도 주말에 수시 시험을 치루었다면 훨씬 교통도 번잡하지 않았을 것이고 지방에 있는 수험생들의 경우 부모님과 함께 상경해서 좀더 편안하게 시험을 치루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게다가 시험이 끝나고 대학 밖을 나가려고 하자 좁은 언덕길에 자녀를 태우려는 자가용들이 정말 줄을 길게 늘어서고 있어서 버스가 당최 올라오지 않습니다.그럴것 같아서 미리 줄을 섰지만 한 40분을 서서 버스를 기다려 겨우 대학을 나와 터미날에 가서 고생한 친척 따스한 국밥 한 그릇 사 먹여 보냈습니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아니 대학은 그렇게 입시비를 받아 처 먹으면서 아니 교통 통제 하나 안하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게다가 버스회사와 협의해서 수시 시험 하루만 노선을 대학 안으로 살짝 변경했으며 수험생들이 한 노선의 버스에 몰릴 필요도 없고 좀더 편하게 왔을텐데 참 융통성이 없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이건 제 생각만이 아니라 버스를 가다리며 서있던 학 부모님들이 공통적으로 화를 내며 말 하시더군요.
대학들은 수시 시험 입시비(대략 7만원선으로 기억함)을 그 많은 수험생들 한테 받으면서 그들은 위하 자그마한 편의 조차 배려하지 못하는 것을 보면서 정말 말이 교육기관이지 장사치와 다름 없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들었던 하루였습니다.
by cas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