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쓴다는 생각으로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으러 첫째 아이랑 길을 떠나기로 했다. 이레쯤 돌아다니고 집으로 돌아올 텐데, 이동안 옆지기가 둘째 아이랑 잘 견디어 주기를 빌어 마지 않는다. 집일을 도맡는 아버지가 집을 비우는 동안 제발 비가 그쳐서 갓난쟁이 기저귀 빨래가 잘 말라야 그나마 수월할 텐데, 이 비는 7월을 지나고 8월이 접어들지만 조금도 수그러들지 않는다. 이런 날씨에 어떻게 살아남나. 이 짓궂은 빗줄기는 언젠가 그치기는 그칠 텐데, 참으로 사람을 잡는구나 싶도록 모질다. 도무지 어떻게 할 수 없다.

 새벽부터 밤까지, 또 새벽부터 밤까지, 다시 새벽부터 밤까지, 날마다 빨래를 예닐곱 차례 하면서 밥을 차리고 아이를 씻기며 집안을 쓸고 닦는다. 그나마 이렇게 하려고 용을 쓸 뿐, 아이하고 가붓하게 그림책을 읽으며 이야기꽃을 피우거나 노래를 부르거나 하지 못한다. 등허리가 몹시 아프다. 손목 저림이 가시는가 했더니, 이제 등허리가 몹시 아파 자리에 앉거나 설 때면 아주 괴롭다.

 모두 잠든 깊은 새벽녘 조용히 일어나서 생각한다. 아무리 아프고 힘들더라도 웃는 낯으로 예쁘게 노래 부를 수 있어야 어버이 노릇을 하는 셈 아닌가 생각한다. 참으로 아프고 더없이 힘든 나날이라지만 밝게 웃고 맑게 노래하는 삶일 때라야 사람 구실을 하는 셈 아니겠느냐 생각한다.

 아직 어버이 노릇은 멀었고 사람 구실마저 까마득하다. 옆지기가 아버지한테 내어준 이레쯤 될 말미를 전라남도 고흥과 강원도 춘천시를 돌며 보내는 동안, 아무쪼록 몸과 마음을 제대로 다스리면서, 이 힘겨운 여름날, 곰팡이가 끝없이 피는 살림집과 도서관을 잘 마무리짓고 우리를 기다릴 좋은 보금자리를 기쁘게 찾아야겠다고 다짐한다. 그저, 내 하루하루를 어떻게든 버티며 글 한 조각 쓴다는 생각으로 겨우 일어나고 두 주먹 불끈 쥔다. 이제 기저귀 빨래부터 하면서 하루를 열어야겠다. (4344.8.1.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