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터와 글쓰기


 네 식구가 살아갈 새 삶터를 찾는다. 네 식구가 오붓하게 지내면서 느긋하게 숨을 쉴 만한 터전을 찾는다. 옆지기한테뿐 아니라 두 아이와 나한테 포근할 시골자락을 찾는다. 오늘 살아가는 이곳 또한 시골자락이면서 다른 시골자락을 찾는다. 시골사람이래서 자가용을 타지 말아야 한다거나 기계를 안 써야 하지는 않다만, 자가용을 지나치게 자주 타지 않는 사람들로 이루어진 조그마한 마을에서 차소리보다 새소리와 바람소리를 듣고, 기계를 돌리는 소리보다 손으로 연장을 놀리는 소리가 울리는 시골자락을 찾는다.

 새 삶터를 찾기로 하면서 두 달 즈음 책짐을 꾸렸다. 이제 며칠 더 책짐을 꾸리면 도서관 살림은 다 꾸리는 셈이고, 집살림을 꾸리면 된다. 둘째가 태어나고 나서 집일이 부쩍 늘었는데, 부쩍 늘어난 집일을 옳게 건사하기 벅차 하면서 책짐을 꾸리자니 아주 죽을맛이다. 도무지 몸을 쉴 겨를이 없다.

 그런데, 누구를 탓할 일이 아니다. 책짐을 두 달 즈음에 걸쳐 죽을맛을 실컷 치르면서 꾸리는 나 스스로를 탓해야 한다. 삶터를 얼마나 옳게 못 찾았으면 이렇게 애먹어야 하겠나. 나부터 애먹고, 내 살붙이들 모두 애먹는다. 쉽게 얻어 쉽게 옮기는 삶터일 수 없다. 한두 해를 살거나 열 해나 스무 해를 살면 될 터전일 수 없다. 나로서는 뼈를 묻을 만한 보금자리를 찾아야 하고, 내가 뼈를 묻고 나서 내 아이들이 ‘이제 어머니 아버지 다 없으니 우리가 구태여 여기에 있어서 뭐 하나?’ 하고 생각하지 않을 만한 둥지를 찾아야 한다. 아이들이 스스로 ‘여기는 내 어머니와 아버지가 깃들던 곳일 뿐 아니라, 내가 예쁘게 깃들며 즐거울 곳이야.’ 하고 생각할 만한 삶자리를 찾아야 한다.

 우리 집 살림으로 치자면 몇 만 권에 이르는 책과 일흔 개가 넘는 책꽂이에다가, 새터에서 더 들일 책과 책꽂이를 품을 만큼 넉넉한 터를 찾아야 한다. 도시를 떠나 시골자락을 찾을 때에 이만 한 데를 좀처럼 찾지 못해 너무 쉽게 너무 쉬운 삶터를 얻었으니까, 이렇게 꼭 한 해를 살다가 다른 삶터를 찾아야 하는구나 하고 깨닫는다.

 쉽게 얻기에 쉽게 잃는다고는 느끼지 않는다. 다만, 우리 식구가 넷이기 앞서 셋일 때부터 셋이 앞으로 쉰 해이고 백 해이고 이백 해이고, 두고두고 사랑을 나누면서 살아갈 만한가까지는 살피지 못한 채 이곳으로 왔다. 도시에서는 코앞에 닥치는 달삯이 눈덩이와 같아 너무 무섭고 힘들었기 때문에, 허둥지둥 시골로 몸을 옮겼다.

 곰곰이 생각한다. 허둥지둥 시골로 몸을 옮겼으니까, 이제는 좀 숨을 쉴 만하고, 숨을 쉴 만한 이때에, 더욱이 아직 어깨와 등허리에 힘이 남아 두 달에 걸쳐 책짐을 꾸릴 수 있는 이때에, 바야흐로 우리 살붙이가 서로를 제대로 아끼면서 옳게 사랑할 아름다운 삶터를 찾아나서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 삶터가 내 삶터다울 때라야 비로소 나부터 책을 따사롭게 사랑한다. 내 삶터를 내 삶터답게 따사로이 사랑할 때라야 비로소 내 따순 사랑을 담아 글 한 꼭지 길어올린다. 책짐 싸느라 바쁘고 힘겨워 책을 펼치지 못하는 삶은 너무 슬프다. (4344.7.27.물.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녀고양이 2011-07-27 15:58   좋아요 0 | URL
몇만권의 책... 여기에만 딱 눈이 꽂히는군요.
부러워라, 저 책들과 저 책을 놓을 수 있는 장소와, 가장 부러운 것은
저는 아직도 내려놓지 못 하는 자유에 대하여........ 그 책들을 놓을 수 있는 장소와 자연과 함께 가족이 살 수 있는 장소를 찾아서 살고 계시는, 모든 것을 내려놓은 자유에 대하여.

하지만 어쩌겠습니까, 아마 저는 부러워만 할거 같습니다.
꼬옥 좋은 집 찾으셔야 할텐데, 비가 이리 오니 걱정입니다.

숲노래 2011-07-27 18:01   좋아요 0 | URL
다음주에 청주와 전주와 남원을 거쳐 고흥으로 찾아가요.
아마 즐겁게 찾아낼 수 있으리라 믿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