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꽃 책읽기
감자를 어떻게 싹을 틔운 다음 어떻게 골을 마련하고 어찌저찌 심는가부터, 감자가 줄기를 올리고 잎을 틔우다가는 꽃을 하얗거나 보랗게 피우는가를 거쳐, 감자알이 굵도록 하려면 어떻게 손을 보고 마지막으로 어떻게 호미질을 하며 캐는가를 보여주어야 잘 빚은 ‘감자 그림책’이라 할 만합니다. 그러나 여기까지만 보여주면 어딘가 아쉽습니다. 잘 캔 감자를 잘 씻어서 밥을 안칠 때에 굵으스름한 녀석을 골라서 함께 쪄서 먹는 맛이라든지, 물로 삶아서 먹는 맛이라든지, 스탠냄비에 물 없이 작은 불로 오랫동안 구워서 먹는 맛이라든지, 삭정이를 모아서 불을 지펴 구워 먹는 맛이라든지, 감자를 저마다 맛나게 먹는 이야기를 함께 담을 때에 비로소 아름다이 빚은 ‘감자 그림책’이라고 느낍니다.
이렇게 생각한다면, 아이한테 보여줄 만한 잘 빚은 ‘감자 그림책’은 퍽 드뭅니다. 이 가운데 가장 나은 책이라면 이오덕 님 시를 그림을 곁들여 엮은 《감자를 먹으며》(낮은산,2004)가 하나 있을 텐데, 이 그림책은 사람 몸짓이나 몸뚱이를 옳게 못 그렸고, 글쓴이 이오덕 님 얼굴빛이라든지 삶을 제대로 삭이지 못했어요. 이오덕 님은 그림책 겉장에 나오듯 텃밭에서 호미질을 하며 땀흘리기를 좋아하셨다지만, ‘안경을 끼고 텃밭에서 호미질을 하지’는 않았어요. 안경을 낀 때는 퍽 나이든 뒤요, 몸이 나빠진 뒤라, 이때에는 텃밭에 쪼그려앉아 일할 만한 몸이 아니었습니다. 글쓴이 삶을 곰곰이 더 살핀다면 이러한 그림을 그릴 수 없어요.
그렇지만, 《감자를 먹으며》라는 그림책에 글을 쓴 분이 어떠한 삶인지를 모르더라도 감자 한 알을 아끼면서 좋아하는 이야기를 따사로이 즐길 만하다고 여깁니다. 우리 아이가 이 그림책을 펼칠 때에는 글쓴이 몸이나 삶이 어떠했다는 대목을 알 턱이 없고 헤아릴 까닭이 없어요. 오직, 감자를 즐겁게 먹으며 아끼는 손길을 느낄 수 있으면 됩니다. 다만, 아이가 나중에 나이가 들어 이오덕 님 다른 책을 찬찬히 찾아서 읽는다면, 이 그림책 그림에서 무엇이 잘못되거나 모자란가를 쉬 깨달으리라 봅니다. 나중에 알아채거나 느낄 이야기를 일찍부터 가르치거나 알려주지는 않아도 돼요.
그나저나, 아이하고 무슨 감자꽃 이야기를 나누어야 좋을까 생각해 봅니다. 그림책으로 아이한테 감자꽃 이야기를 들려주어야 할는지 곱씹어 봅니다. 마땅한 ‘감자꽃 그림책’이 없는 터전을 탓해야 할는지 궁금합니다. 텃밭에 감자를 심어 잎이 돋고 꽃이 피며 알이 흙속에서 굵는 한살이를 몸으로 느끼도록 하면 될까 하고 어림해 봅니다.
집 앞 마당에서 노는 아이를 불러 텃밭에 핀 감자꽃을 보여줍니다. 아이는 제 어버이가 말하지 않아도 꽃을 함부로 따지 않습니다. 살며시 쓰다듬으며 예쁘다고 이야기합니다. 아이가 두 살이던 때였나, 아이 어머니가 아이를 안고 꽃 앞에서 “아이, 예쁘다.” 하고 말하며 쓰다듬는 손길을 보여주었습니다. 아이도 이러한 손길을 따라하며 배웠습니다. 아이는 두 살 적 배운 손길을 네 살에 잊지 않습니다. 앞으로 스무 살이나 마흔 살에는 어떠할는지 헤아립니다. 그무렵에는 한결 따사로우면서 넉넉한 젊은이로 이 땅에 두 다리 튼튼하게 디딜 수 있을까 하고 꿈을 꿉니다. (4344.6.10.쇠.ㅎㄲ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