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책 읽는 즐거움
 ― 이 땅 국어교사가 읽었으면 하는 책



 저는 지난 2007년에 인천에서 ‘사진책 도서관’을 열었습니다. 제 도서관은 제가 읽은 책을 그러모아 자그맣게 꾸몄습니다. 지난 2010년에 인천 골목동네를 떠나 충주 멧골자락에 깃든 ‘이오덕학교’ 밑으로 도서관을 옮겼습니다. 새로 옮긴 도서관에 책꽂이가 모자라 아직 바깥사람한테 문을 열지 않고, 이오덕학교 어린이와 푸름이만 드나들며 책을 읽도록 합니다. 사진책 도서관이라면서 멧골학교 어린이와 푸름이가 책을 읽도록 한다니 고개를 갸우뚱할 분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제 도서관에는 ‘사진책’을 비롯해 만화책과 그림책과 어린이책과 인문책과 국어사전과 교육책과 문학책과 종교책과 다른 갖가지 책이 골고루 있거든요.

 사진길을 걷는 사람으로서 사진책을 마땅히 읽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사진길을 걷는대서 사진책만 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사진길을 걷는 착하며 곧은 사람이 되자면, 먼저 ‘좋은 사진쟁이’가 되기에 앞서 ‘좋은 사람’이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2008년에 첫째를 낳았고, 2011년에 둘째를 낳습니다. 두 아이를 함께 보살피는 아버지로서도 어린이책과 그림책을 즐기지만, 아이를 낳기 앞서도 어린이책과 그림책을 몹시 좋아해서 꾸준히 장만하며 읽었습니다. 여느 사람 앞에서는 사진책 도서관을 꾸리는 한 사람이면서, 헌책방 사진을 찍는 사람으로 보일 테지만, 다른 한쪽 모습으로는 어린이책과 그림책을 꽤 즐기는 사람이기도 합니다.

 국어교사로 일하는 분도 마찬가지일 텐데, 국어교사로 훌륭히 일하자면 ‘국어 교과목 교재’만 읽을 수 없습니다. 국어교사로서 우리 말글을 다룬 책을 함께 읽으며 배워야 하고, 국어사전도 자주 뒤적여야 합니다. 또한 우리 문학과 나라밖 문학도 꾸준히 읽으며 삭여야 해요. 우리 문학이나 나라밖 문학은 어린이문학부터 푸름이문학을 걸쳐 어른문학까지 골고루 있습니다. 추리문학도 있을 테고 공상과학문학도 있겠지요. 역사소설이나 시조나 하이쿠 또한 있을 테고요.

 소설을 살피면 법이나 의학을 다루는 소설이 있고, 정치나 사회를 다루는 소설이 있습니다. 소설을 쓰는 사람은 ‘글을 잘 쓰는 법’이나 ‘말을 다루는 법’뿐 아니라, 이 나라 역사와 사회와 정치와 교육 모두를 잘 살피며 올바로 꿰뚫어볼 줄 알아야 합니다. 곧, 수많은 갈래 수많은 책을 고루고루 마주하며 곰삭일 줄 알아야 합니다. 소설을 읽는 국어교사라 할 때에도 수많은 갈래 수많은 책을 읽을밖에 없습니다.

 이리하여, 사진을 좋아하고 사진찍기를 즐기려 하는 사람이라 할 때에도 ‘사진책’만 읽을 수 없습니다. 사회를 읽는 눈을 기르는 책을 함께 읽어야 하고, 사람을 헤아리는 마음을 다루는 책도 나란히 읽어야 해요. 학교나 집에서 어린이를 사진으로 찍는다 할 때에는 어린이 마음으로 다가서야 할 테니, 어린이책이나 그림책도 가까이하며 지내야겠지요.

 아직, 한국에서는 좋은 ‘어린이 사진책’이 없습니다만, 이웃 일본에는 훌륭한 ‘어린이 사진책’이 대단히 많습니다. 자연과 생태 이야기를 담은 ‘어린이 사진책’이나 ‘어린이 자연백과’를 가만히 살펴보면, 일본에서 나온 책을 옮긴 판이 꽤 많구나 하고 느끼리라 생각합니다. 1990년대에 한국말로 나온 《세계의 어린이》 서른네 권은 일본 사진쟁이들이 온누리 서른세 나라 어린이 한삶을 두루 살피며 담아낸 놀라운 사진책이에요. 《세계의 어린이》는 이제 판이 끊어져서 헌책방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데, 이 서른네 권이라든지 《웅진 과학 앨범》 84권을 헌책방에서 찾아보면서 찬찬히 사진을 살피고 책 엮음새를 돌아보면, 내가 어느 한 가지 사진감을 골라 사진으로 담는다 할 때에 어떻게 하면 좋은가를 슬기롭게 배울 수 있어요. 《웅진 과학 앨범》 여든네 권 또한 일본 사진쟁이가 여든네 가지 자연 생태계 모습을 골고루 담은 책이고, 일본에서는 1983년에 처음 나왔어요.

 널리 이름나지 않은 사진쟁이였지만, 당신 딸아이가 태어나서 시집을 가는 날까지 꾸준하게 사진으로 담아 책으로 엮은 《윤미네 집》(전몽각 사진,포토넷 펴냄)은 우리 국어교사들한테 적잖이 도움이 되거나 살가운 사랑으로 스며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더 예쁘게 찍는대서 더 좋은 사진이 아니고, 더 멋지게 찍어야 더 돋보이는 사진이 아니에요. 우리는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을 ‘사랑하는 결 그대로 받아들여’ 수수하게 찍으면 돼요. 사진이 꼭 작품이 되어야 하거나, 사진이 반드시 예술이 되어야 하지 않거든요. 지갑이나 주머니에 늘 넣어 다니면서 틈틈이 꺼내어 보는 애틋한 사진을 한 장 찍어서 우리 집식구나 좋은 동무하고 나눌 수 있으면 흐뭇한 사진삶입니다.

 저는 ‘사진삶’이라는 낱말을 제 깜냥껏 지어서 씁니다. 국어사전에는 안 실린 낱말이지만, ‘책삶’이나 ‘사진삶’이나 ‘말삶’ 같은 낱말을 곧잘 써요. 우리가 어디에서 어떤 일을 하든지 언제나 내 삶인 줄을 느끼자는 뜻입니다. 사진을 좋아하거나 사진찍기를 즐기려는 국어교사라 한다면, 노상 사진삶을 헤아려 주셔요. 사진삶으로 내 삶을 돌이키면서 내 가슴으로 어여삐 스며드는 좋은 사진책을 한 달에 한 권이나 두 권씩 장만해 보셔요. 더도 덜도 아닌 다달이 한 권이나 두 권입니다.

 한꺼번에 더 많이 찾아본대서 내 사진 눈길을 한껏 북돋우지는 못해요. 돈이 많대서 한꺼번에 수백 권을 장만한들 이 사진책을 내 삶으로 삭이기는 어려워요. 다달이 한 권이나 두 권씩 날마다 들추며 기쁘게 배우겠다는 매무새로 사진책을 만날 수 있으면 흐뭇합니다. 한국사람 사진책도 좋고, 나라밖 사진책도 좋아요. 사진책은 값이 꽤 비싸다 할 만하지만, 사진책은 한 번 펼쳤다 덮는 책이 아니라, 적어도 1000번은 되읽는 책이기 때문에 오만 원이든 십만 원이든 하나도 비싼 값이 아니라고 느껴야 즐겁습니다.

 저는 하루나 이틀에 한 권 꼴로 사진책을 사서 읽자고 다짐하며 살아가는데, 자가용을 굴리지 않거나 굳이 적금을 붓지 않으면서 하루하루 내 삶을 돌볼 수 있으면, 날마다 사진책 한 권 사는 일은 그리 힘들지 않습니다. 때로는 헌책방에서 오천 원짜리 사진책을 살 수 있고, 만 원이나 이만 원짜리 사진책을 산다면 다달이 삼사십만 원쯤 책값으로 쓰는 셈이거든요. 자가용을 안 몰면 기름값이 고스란히 책값이 됩니다.

 지난달에는 ‘이와고 마츠아키(岩合光昭)’라는 사진쟁이 사진책 《旅ゆけば猫》(日本出版社)를 인터넷책방에서 외국책 주문으로 샀고, 지지난달에는 ‘안젤 아담스(Ansel Adams)’라는 사진쟁이 사진책 《landscapes of the American West》(Quercus)를 서울 홍대 앞 사진책 전문책방에서 장만했어요. 어린이 놀이를 사진으로 어떻게 담으면 좋을까 아리송하다면, ‘토몬 켄(土門 拳)’이라는 일본 사진쟁이 사진책 《腕白小僧がいた》(小學館)를 찾아보셔요. 편해문 님이 내놓은 《소꿉》(고래가그랬어 펴냄)도 참 괜찮은 사진책입니다.

 사진을 처음 찍으려 하는 분들한테는 《필립 퍼키스의 사진강의》(안목 펴냄) 같은 책이 퍽 괜찮다 싶은 길동무 노릇을 하리라 생각하는데, 이 자그마한 책을 즐거이 삭이자면 열 달에 걸쳐 열 번쯤 다시 읽으며 천천히 곱씹어야 한다고 느껴요. 열 해나 스무 해에 걸쳐 ‘좋은 사진열매 하나 맺고 싶다’는 꿈을 꾸는 국어교사라면 《농부》(전민조 사진,평민사 펴냄) 같은 사진책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내 사진 솜씨가 퍽 모자라다고 느끼거나 쑥쓰럽게 여기는 국어교사라면 《내 멋대로 사진찍기》(김윤기 씀,들녘 펴냄) 같은 사진이야기를 알려주고 싶습니다. 저는 《사진책과 함께 살기》(포토넷 펴냄)라는 책을 하나 내놓았고, 올해에는 《사진책 읽는 즐거움》이라는 책을 새로 하나 내놓을 생각입니다. 제가 쓴 책에 붙인 이름 그대로, 국어교사로 아이들하고 하루하루 즐거이 어깨동무하는 분들이라면, “좋은 내 삶 그대로 좋은 내 사진하고 함께 살아가는” 이야기를 사진으로 담을 수 있으면 기쁘겠습니다. “좋은 내 아이들하고 좋은 하루하루 만나는 즐거움 그대로 좋은 내 사진이야기를 일구는” 보람을 누리거나 나눌 수 있으면 기쁘겠어요.

 사진길을 걷는 한 사람으로서 내 매무새를 다스리는 길잡이가 되는 책이라면 《우리들의 하느님》(권정생 씀,녹색평론사 펴냄)하고 《내가 무슨 선생 노릇을 했다고》(이오덕 씀,삼인 펴냄)입니다. 먼저 올곧은 한 사람으로서 착하고 참다이 살아가면서, 내 사진빛은 어여삐 보듬고 싶습니다. 먼저 올곧은 한 사람이 되지 않고서 사진빛만 예쁘장하게 꾸민대서 내 사진이 즐겁거나 반갑지는 않다고 느낍니다. 먼저 내 오늘과 내 하루를 착하고 참다이 살아갈 때에 내 눈길과 손길과 마음길 모두 아름다이 빛난다고 느낍니다. (4344.4.7.나무.ㅎㄲㅅㄱ)
 

(전국국어교사모임 '함께여는 국어교육'에서 써 달라 하는 글을 하나 적어 보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