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끈과 책읽기


 아이가 일어난다. 어제도 늦게까지 안 자고 버티며 놀겠다 하던 아이였지만, 오늘도 아침에 일찌감치 일어난다. 어쩔 수 없지, 아이로서도 따스한 봄날 일찍 일어날밖에 없지, 늦게까지 잠들라 할 수 없지 않겠나.

 아이한테 쉬해야지 하고 말하며, 아빠는 응가하러 나갔다 온다. 아이는 쉬를 한 번 했고, 이내 응가까지 한다. 응가가 마려워 오늘은 더 일찍 일어났나?

 아이는 틀림없이 아침부터 뭔가를 먹고프다 할 테니까, 당근을 갈아서 주기로 한다. 아이한테 물을 한 모금 마시라며 물병을 건넨다. 아이는 물을 조금 마신다. 당근을 갈아 작은 밥그릇에 담아 내민다. 자, 바지 입고 앉아서 먹어야지.

 아이는 금세 한 그릇을 비운다. 오늘은 벌써부터 아침을 마련해서 차려야 하나. 아이는 방울 둘 달린 머리끈을 가져와서 내밀며 “아버지, 미끈.” 하고 말한다. 히유, 가늘게 한숨을 쉬며 “빗, 빗 가져와야지.” 하고 대꾸한다. 아이를 뒤로 앉힌다. 머리를 빗질한다. 뒤에서 한 갈래로 묶으려 하는데, 아이가 그러지 말라며 머리를 왼쪽으로 숙인다. 오른손으로 오른머리를 짚는다. 오른쪽에만 묶어 달란다. 아직 머리숱이 안 많아 힘들 텐데? 게다가 네 아버지는 두 갈래로 따로 묶기를 아주 못하거든?

 어머니는 꽤 잘할 텐데 하고 생각하다가, 아버지로서 두 갈래 묶기를 영 못한다 하더라도 언제까지나 못할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생각하며 해 보기로 한다. 못한다지만 날마다 자꾸자꾸 해 버릇하면서 해 줄 수 있어야 할 테니까.

 그렇지만 영 삐뚤빼뚤이다. 머리카락이 요리조리 삐죽삐죽이다. 내 머리도 잘 못 묶는데 아이 머리라고 잘 묶기란 힘든지 모른다. 아이는 마냥 좋다며 웃지만, 이 엉터리 머리끈을 어쩌나. 아버지는 아침에 일을 해야 하니까 건드리지 말라 말하지만, 아이는 아버지 무릎에 올라타고 등에 업힌다. 곁에서 책 하나 꺼내어 아이한테 내민다. 무릎에 앉은 아이를 들어서 옆에 앉힌 다음 이불을 덮는다. 아이는 몇 번 스윽 넘기더니 “책 다 봤어.” 한다. 그래, 그게 다 읽은 꼴이니. 에이그, 너 참 잘났다.

 아버지는 이제 아침일을 그쳐야 할까 보다. 아침을 마련해서 차려야지. 너는 또 반찬 나르기와 상차리기를 거든다며 “내가 할게요!” 하고 옆에서 종알종알 부산을 떨겠지. 행주로 밥상을 닦을 때에도 “내가 닦을게요!” 하면서 끝없이 행주질을 해대겠지. (4344.4.5.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