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값과 살림돈
 [‘사진책 도서관’ 함께살기] 도서관일기 2011.3.1.



 좋다고 여기는 책이라면 망설이지 않는다. 살림돈을 덜어 책을 산다. 요사이는 썩 좋다고 여기지는 않으나 내가 하는 일 때문에 사야 한다고 느끼는 책을 산다며 살림돈을 덜곤 한다. 지난 2007년부터 ‘사진책 도서관’이라는 이름으로 개인 도서관을 열었기 때문이다.

 사진책을 한 자리에서 돌아볼 수 있는 자리가 마땅히 없는 우리 나라인 만큼, 다른 개인 도서관보다 ‘사진책 도서관’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내 삶은 내가 읽을 책을 사서 즐기는 삶이기도 하지만, 내가 꼭 읽지 않더라도 앞으로 사라지고 말 듯하다고 느끼는 책까지 살림돈을 털어 장만하는 삶이다. 개인 도서관을 꾸리기 앞서부터 이렇게 책을 장만했다.

 도서관을 시골로 옮기면서 책을 사기 퍽 힘들다. 인천에서 살아가며 도서관을 꾸릴 때에는 인터넷으로 책을 사는 일이 없었다. 늘 다리품을 팔아 책방 이곳저곳을 다니며 책을 샀고, 가방이 미어터지도록 책을 사들여 집까지 낑낑거리며 날랐다. 시골집 가운데에서도 멧자락에 깃든 두메에서 지내다 보니, 책방마실이 몹시 힘들 뿐 아니라, 한 달에 한 번 마실하기도 벅차다. 새로 책을 갖추자면 인터넷을 하는 수밖에 없다.

 시골집에서는 인천 골목집에서 살 때처럼 달삯 짐 때문에 버겁지 않다. 그러나 시골집에서 살아갈 때에는 인천에서 살아갈 때와 달리 ‘돈을 벌 일감’이 거의 없다. 도시에서 살아가면 ‘글 써 달라’는 일감이든 ‘몸을 써서 도와 달라’는 일감이든 흔히 있다. 시골에서는 이런 일감이 싹 끊어진다.

 마땅한 노릇이다. 몸을 써서 돈을 벌 일자리야 마땅히 도시에 몰리며, 서울에 가장 많다. 글을 써서 돈을 버는 자리 또한 도시에 있으며, 거의 모두 서울에 몰린다. 서울사람들은 서울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쓰는 글을 좋아하지, 서울 바깥 도시라든지 시골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쓰는 글을 좋아하지 않는다. 아니, 서울사람은 시골사람 글을 좋아할 수 없다. 삶과 삶터가 다르기 때문에 ‘시골사람 글이 무엇을 말하거나 밝히는지 알아채지 못한’다. 이는 시골사람이 ‘서울사람이 쓰는 글을 못 알아채는’ 흐름하고 똑같다. 시골사람은 쓰레기를 만들지 않을 뿐 아니라, 깨끗한 바람과 물을 마시면서 살아간다. 나무하고 멧짐승하고 벗을 삼는다. 시끄러운 노래가 아니라 멧새가 지저귀거나 멧쥐가 집구석에 기어들어 찍찍거리는 소리로 하루를 열고 닫는다. 풀어서 풀이든 벌레이든 스스로 잡아먹는 닭이 새벽마다 홰 치는 소리를 듣는다. 자동차 소리라든지 장사꾼 짐차가 내는 소리를 듣지 않는다.

 비가 오니 빗소리를 듣는다. 눈이 오면 온누리가 고요해지는 소리를 듣는다.

 인천 골목집에서 살아가는 동안 빗소리와 눈소리를 느끼기는 했다. 골목 안쪽에 깃든 집에는 자동차가 거의 안 다니거나 못 다닌 만큼 참으로 호젓하다. 그러나 이런 골목동네를 어쩌다 한 번 지나가는 차가 있으면 되게 시끄럽다. 전철길하고 맞붙은 옥탑집에서는 새벽부터 밤까지 전철소리에 시달렸다.

 억지로 사람이 만든 소리에서 풀려 빗소리는 빗소리대로 듣고 눈소리는 눈소리대로 받아들이는 사람이 쓰는 글은, 어수선한 마음을 다스리려고 골목마실을 날마다 몇 시간씩 하던 사람이 쓰는 글하고도 다르다.

 우리 집은 아이를 어린이집에 넣지 않는다. 내 이웃이나 동무 가운데 아이를 어린이집에 안 보낸 사람은 아무도 없다. 내가 잘 모르는 사람 가운데에도 아이를 어린이집에 안 맡기고 집에서 키운다는 사람은 요사이 본 적이 없다.

 모두들 ‘아이를 어린이집에 넣으며 드는 돈’을 걱정한다. 정치하는 이들이 ‘어린이집 배움삯’을 도와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일터에 어린이집을 마련해야 한다’고 바라거나 여러 가지 ‘아이돌봄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외친다.

 이러한 바람은 옳다. 나라살림을 꾸린다는 분들은 이러한 문화와 복지를 하려고 세금을 거두지, 전쟁무기를 만들거나 군대를 크게 부풀리려고 세금을 거두어서는 안 된다. 그런데, 아이를 왜 어린이집에 넣어야 할까. 우리는 우리 아이들을 왜 우리 손으로 돌보거나 사랑하지 못할까. 우리는 돈을 얼마나 많이 벌어야 하기에 아이를 어린이집에 넣고 돈을 버는 일터로 나가야 할까. 우리가 돈을 번다는 일터는 우리 땅과 삶터와 자연을 얼마나 아끼는 일터인가. 내가 버는 돈이란 어떤 돈인가. 내가 번 돈을 나는 어떻게 쓰면서 살아가는가.

 ‘사진책 도서관’을 시골로 옮긴 뒤 겨우겨우 버티는 살림돈으로 먹을거리를 마련한다거나 몇 가지 세금을 내거나 기름값을 대다 보면 금세 바닥이 난다. 그래도 새로운 책을 사야 한다. 도서관 이름에 걸맞게 새로운 사진책을 사야 한다. 사람들이 함부로 보는 바람에 다치고 만 책을 다시 사기도 해야 한다.

 인터넷으로 책을 사는 데에서 ‘이 책을 사야겠다’고 생각하며 장바구니에 담지만, 이 책들을 사다 보면, 우리 살붙이 이달치 살림돈은 거덜나겠다고 느끼며 선뜻 마지막 단추를 누르지 못한다. 며칠 더 기다리자고 생각한다. 하루만 지나도 이 책을 누군가 사 가리라 느끼지만, 며칠 더 기다리자고 생각한다. 며칠이 지나지만 아무도 이 책을 사지 않을 때에 내가 사자고 생각한다.

 하루가 지난 뒤, 내 장바구니에 담은 책은 깔끔히 팔린다. 나는 또 장바구니에 걸쳐진 책들 이름을 지운다. 마음으로 사고 눈으로 살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