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향원


 개구진 계집아이는 언제나 있다. 그렇지만 개구진 계집아이는 늘 사람 대접을 못 받았다. 오늘날은 여자 권리가 많이 나아졌다고 하니까, 개구진 계집아이도 사람 대접을 받을까. 개구지기는 사내아이나 계집아이나 짓궂기 마찬가지일 테니까, 요놈들 철 좀 들으라 말해야 옳을까.

 나는 이향원 님 만화를 즐기던 옛날이나 오늘날이나 ‘세모’라는 토박이말 이름이 붙는 착하며 몸이 조금 느린 아이를 먼저 떠올린다. 이와 함께 세모 곁에서 늘 힘이 되는 말괄량이이자 개구쟁이요 힘세고 살림도 잘하며 씩씩한 계집아이를 떠올린다. 세모랑 개구진 계집아이는 떼어놓을 수 없는 한동아리이다. 두 아이가 있기에 이향원 님 만화가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

 개구진 계집아이를 만화로 그리는 사람은 늘 있다. 그러나 개구진 계집아이가 얼마나 사랑스러우면서 믿음직한가를 알뜰히 보여주는 사람은 드물다. 앞장서서 공을 차고 앞장서서 야구방망이를 휘두르며 앞장서서 짐을 나른다. 노상 모든 일에서 스스럼없이 나선다.

 그런데, 개구진 계집아이는 제 이름을 날리려고 앞장서지 않는다. 나는 우리 집 책시렁에 얌전히 꽂힌 이향원 님 만화책을 들추어 넘겨야 비로소 개구진 계집아이 이름이 무엇인지 생각난다. 조용하며 얌전한 사내아이 이름은 만화책을 넘기지 않아도 ‘세모’라고 떠오른다. 왜 그럴까. 덜렁대며 억세며 나대는 아이 이름은 왜 떠오르지 않을까. 어쩌면 개구진 계집아이는 늘 저가 아닌 제 둘레 다른 아이를 돋보이도록 이끌며 슬그머니 뒤로 제 모습과 이름을 숨기면서 기뻐하기 때문은 아닐까. 저 스스로 잘나려고 나대는 개구진 계집아이가 아니라, 저 스스로 힘여리고 착하기만 한 얌전둥이를 도와주려고 힘쓰기 때문에, 나중에는 살며시 발을 빼지 않을까.

 말괄량이 삐삐 영화를 보면, 삐삐는 ‘책읽기 좋아하는 토미’한테 조그맣고 예쁜 책을 슬쩍 선물해 준다. 삐삐한테서 하모니카를 선물받은 아니카는 언제나 하모니카를 갖고 다니면서 틈틈이 하모니카 노래를 부른다. 풀줄기를 나팔처럼 불던 삐삐를 본 토미와 아니카는 성탄절을 맞이하여 삐삐한테 ‘나팔(트럼펫)’을 선물해 준다. 토미와 아니카는 고작 여덟아홉 살 나이인데에도 저희 어머니와 아버지한테 ‘손뜨개’한 옷가지를 선물하고, 아홉 살 삐삐 또한 제 사랑스러운 말한테 손뜨개 목도리를 선물한다. 여느 때 보면, 삐삐와 함께 살아가는 원숭이 닐슨 씨는 삐삐가 손뜨개로 짠 옷을 입는다.

 한국 만화쟁이 이향원 님이 숨을 거두었다는 이야기를 뒤늦게 들었다. 문득 생각하자니, 이제 내 나이는 내가 코흘리개였을 때 이향원 님 만화를 좋아하던 ‘그무렵 이향원 님이 우리한테 만화를 그려 주던 그 나이’라 할 만하다. 그러니까, 이향원 할아버지가 되었으며, 조금 일찍 숨을 거두었다 할 만하지만, 흙으로 돌아갈 나이가 되었기에 고요히 흙사람이 된 셈이다.

 숨을 거둔 만화쟁이 한 사람이 한창 여러 가지 만화를 그려서 내놓던 무렵은 당신 나이가 가장 펄떡펄떡 살아숨쉬던 나이였고, 나는 이제 내가 코흘리개 때 보던 만화를 그린 분이 펄떡펄떡 살아숨쉬던 나이를 살아간다.

 나는 언제쯤 숨을 거두어 흙으로 돌아갈까. 내가 쓰는 글은 코흘리개 어린이가 읽도록 하는 글은 아니니까, 내가 흙으로 돌아간대서 내 글을 읽던 사람들이 한창 젊거나 바지런히 일할 나이가 되지는 않으리라.

 흔히들, 이향원 님을 두고 야구 만화라든지 강아지 만화를 즐겨 그렸다고들 말한다. 이런 이야기는 틀리지 않으리라. 이향원 님 만화감은 야구나 강아지가 많았으니까. 그렇지만 나한테 이향원 님 만화는 가난한 살림집에서도 개구지며 씩씩하게 살아가며 바지만 입는 계집아이 하나와 착하디착하고 조용한 ‘세모’라는 사내아이가 이루며 빛내는 수수하며 해맑은 고운 삶이야기이다. (4344.2.25.쇠.ㅎㄲㅅㄱ)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2011-02-26 08:37   좋아요 0 | URL
말괄량이 이름은 '꼭지'였다. 어느 분 블로그를 보다가 알았다. 마음이 좀 그래서 책꽂이에서 책을 뒤적이지 않았는데, '세모'와 '꼭지'라, 참 잘 어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