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건네줄 수 있을 뿐


 책은 건네줄 수 있을 뿐입니다. 알맹이까지 알려줄 수 없습니다.

 맛있는 밥을 손수 차려서 대접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맛을 제가 느껴 줄 수 없습니다. 밥을 먹는 사람 스스로 느낄 맛입니다.

 자전거를 탈 때에 흐르는 땀이 우리 몸을 얼마나 시원하게 해 주는지 글로 써서 읽힐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전거를 타는 짜릿함과 힘듦을 제가 모두 느껴 줄 수 없습니다. 스스로 자전거를 타면서 느낄 짜릿함이요 힘듦입니다.

 보는 재미나 구경하는 재미가 아무리 크다 하더라도 우리가 몸소 해 보는 재미만큼 클 수 없습니다. 듣는 재미나 읽는 재미가 제아무리 크다 한들 우리가 손수 말하고 쓰는 재미보다 클 수 없습니다.

 논밭에 곡식을 심어서 거두어들이는 보람도 크다고 하지만, 거두기까지 하루하루 땀흘리며 가꾸고 돌본 보람보다 클 수 없습니다. 마지막에 열매를 맺어서 거두는 일이란 그동안 애써 일한 보람 가운데 아주 작은 한 가지입니다.

 처음 이야기로 돌아가 봅니다. 우리가 함께 나누거나 즐겁게 읽으면 좋을 책을 얼마든지 추천할 수 있고 알려줄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나중에 가서는 나한테 좋을 책은 나 스스로 골라야 해요. 책읽기뿐 아니라 ‘책 고르기’가 아직 서툴다고 한다면, 처음에는 저나 다른 누가 알려줄 수 있겠지요. 그런데, 저라고 해서 모든 책을 다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저는 제가 아는 만큼만 이야기합니다. 저한테 도움을 받는 분이건 다른 분한테 도움을 받을 분이건, ‘어느 한 사람이 살아오며 좋아하거나 즐기던 책 테두리’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서로서로 어떠한 삶을 꾸리면서 어떠한 넋으로 어떠한 책을 사랑하는가를 짚으려 한다면, 애써 추천받는 책을 찾아 읽어도 나쁘지 않습니다. 그러나, 사람이란 누구나 내 삶을 꾸려야지 남 삶을 구경할 수 없습니다. 내 삶을 돌보며 내 삶에 마음을 쏟아야지 남 삶에 기대거나 마음 쏟을 수 없어요.

 아이한테 삶을 가르쳐 주지 못합니다. 아이한테 지식 또한 물려주지 못합니다. 어버이는 아이하고 함께 살아갈 수 있을 뿐입니다. 함께 살아가는 어버이는, 어버이 몸가짐 그대로 아이한테 일깨워 주기만 합니다. 아이는 제 어버이를 바라보면서 하나하나 익히되, 아이 몸과 마음에 걸맞게 받아들입니다. 아이 몸과 마음에 걸맞지 않게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어버이가 열 마디를 하더라도 이 가운데 한 마디를 알아듣기까지 몇 달 몇 해가 걸립니다. 글을 가르치든 말을 가르치든 여러 해가 걸립니다. 아이가 손수 밥하기를 하도록 이끌자면, 아이가 손수 빨래를 하고 설거지를 하며 동생을 돌보도록 이끌자면, 얼마나 기나긴 해에 걸쳐 얼마나 숱한 땀을 흘려야 할까요.

 아이는 무럭무럭 자라서 홀로 우뚝 섭니다. 책읽기라는 길에 접어들고 싶은 분이라면, 누구나 ‘책을 건네줄 수 있으나 읽도록 할 수 없’음을 깨달아야 합니다. 홀로서는 책읽기요, 홀로서는 삶입니다. (4344.1.23.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