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농농할멈과 나
Mizuki Shigeru 지음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이야기 있는 만화, 이야기 깃든 삶
[만화책 즐겨읽기 18] 미즈키 시게루, 《농농 할멈과 나》
국민학교 5학년이던 1986년 8월과 10월과 12월, 중앙일보사에서 내던 〈소년중앙〉이라는 잡지에서 낱책부록을 하나씩 딸려 베풀었습니다. 8월에는 《세계 귀신 100가지 이야기》를 베풀고, 10월에는 《세계 요정 100가지 이야기》를 베풀며, 12월에는 《요정의 세계는 어떨까?》를 베풉니다.
귀신과 요정 이야기를 그림과 글로 담은 세 가지 낱책부록은 그때부터 오늘까지 고이 건사해 놓습니다. 언제나 책꽂이 아주 좋은 자리에 꽂아 놓았으며, 수없이 되풀이하면서 읽었고, 이 책을 펼친 날은 꿈자리가 무섭기는 하지만 온갖 부푼 꿈으로 생각날개를 펼쳤습니다.
국민학교 5학년이던 1986년부터 얼마 앞서까지 이 ‘귀신 그림’과 ‘요정 그림’을 그린 사람이 누구인지 알지 못했을 뿐더러, 누구인가 하고 생각조차 하지 않았으며, 알려주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지난 2009년 여름, 《만화 공화국 일본여행기》를 읽으며 비로소 이 ‘귀신 그림’과 ‘요정 그림’을 누가 그렸는지 알아챕니다. 일본 돗토리에서 나고 자라며 만화를 그린 ‘미즈키 시게루’ 님 작품이었습니다. 돗토리라는 곳은 미즈키 시게루 님 ‘귀신 그림’이랑 ‘요정 그림’으로 커다랗게 ‘만화마을’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읽으며 고개를 끄덕입니다. 일본에서는 만화를 문화로뿐 아니라 삶으로 여기면서 고운 이야기 뿌리를 내리고, 아직 우리 나라에서는 만화를 문화로나 삶으로나 여기지 못하면서 만화 하나로 고운 이야기 뿌리를 못 내린다고 느낍니다.
- “게게, 어디 갔었어?” “엄청 찾았잖아.” “요나고까지 도너츠 먹으러 간다.” “도너츠? 그게 뭔데?” “무지 맛있는 거래.” “맛있는 거?” “친구 말로는, 외국사람들이 먹는 꼭 튜브처럼 생긴 과잔데 그게 혀가 녹을 정도로 맛있다는 거야.” “한 개 3전.” “10전 있으니까 세 개 살 수 있어.” “그럼 기차는 어떡하구. 요나고까지 5리(약 2킬로)나 되는데.” “걸어가자!” “좋아!” (141∼142쪽)
만화책 《농농 할멈과 나》를 읽습니다. 《농농 할멈과 나》는 귀신과 요정 이야기를 만화로 담은 미즈키 시게루 님이 어떠한 어린 나날을 보냈는가를 담습니다. 당신이 좋아하는 귀신과 요정 이야기를 누구한테서 들으며 컸고, 당신한테 귀신과 요정 이야기를 들려주던 ‘농농 할멈’은 귀신과 요정 이야기를 어떠한 넋과 마음으로 알려주었는가 찬찬히 되새깁니다.
농농 할멈은 어린 미즈키 시게루 님한테 차분한 얼굴과 목소리로 노상 이야기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없는 줄 알면 큰일나는 거야(20쪽).” 하고. 눈에 보이기에 더욱 잘 살피면서 사랑하거나 마음쓸 줄 알아야 하고, 눈에 보이지 않을 때에도 한결 잘 살피면서 사랑하거나 마음쓸 줄 알아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 “특히 고양이는 요사스러워서, 살아 있을 때부터 미물이거든. 십 년 이상 묵은 고양이는 꼬랑지가 갈라지면서 불여우가 된단다.” “불여우!” “어떤 뼈건, 모두 흙으로 돌려줘야 하는 거야. 그러지 않으면 혼백이 영영 이승을 떠돌게 돼.” (20, 43쪽)
- “계속 도망칠 건가? 그런 상처를 입고 어두운 곳만 찾아다닐 게 가엾어서 그래. 아직 젊으니 인생 다시 시작해 봐. 어머니 눈물짓게 하지 말고.” (126쪽)
- “그럼 치구사를 데려가지 말라고 말해 주면 안 돼?” “그건 안 된다.” “맨날 나쁜 짓만 하지 말고 가끔은 착한 일도 좀 해 봐.” “인간이란 참 자기 멋대로야. 모든 것이 자기들을 위해 돌아가는 줄 안다니까.” (158쪽)
미즈키 시게루 님이 어린 나날을 보내던 무렵은 “쇼와 6년(1931년)” 즈음이고, “지금으로부터 약 60년 전”인 그때에 “소년들은 매일같이 싸움에 빠져 살았다(3쪽).”고 합니다. 하기는, 1931년 그무렵 일본은 일찌감치 한국땅을 식민지로 삼았고, 중국이며 동남아시아며 식민지로 잡아먹으려고 온힘을 기울였습니다. 군대를 크게 북돋았고, 아이들한테 착하고 바른 넋보다는 치고받는 다툼을 즐기도록 이끌었어요.
생각해 보면, 이런 끔찍한 나날이어야 하던 일본 제국주의 회오리바람에서 조금은 비껴난 시골마을에서 농농 할멈하고 함께 크며 ‘자연이랑 사람하고 벗삼는 귀신과 요정’ 이야기에 눈길을 둔 셈입니다. ‘그림이야기(만화)’를 신나게 그리며 어머니와 동무들한테 읽히던 미즈키 시게루 님은 대단하다 할 만합니다. 어쩌면 농농 할멈은 귀여운 ‘게게(미즈키 시게루 님을 부르는 귀여운 이름)’가 전쟁놀이에 휘둘리지 말고, ‘그림이야기꾼’으로 크기를 바라면서 조용히 뒷배를 한 멋쟁이인지 모릅니다.
그러고 보니, 데즈카 오사무 님 또한 일본이 군국주의와 제국주의 깃발을 드날리던 때부터 만화를 신나게 그려서 어머니하고 동무들한테 읽혔어요. 데즈카 오사무 님 어머님 또한 데즈카 오사무 님이 전쟁 소용돌이에 휩쓸리지 말고 ‘네(데즈카 오사무)가 좋아하는 만화를 그리렴’ 하며 기운을 복돋았습니다. 일본 만화밭에서 큰 기둥이라 할 두 분은 ‘평화로운 나날이던 때’에도 평화를 사랑하는 한편, ‘평화롭지 못한 전쟁통이던 때’에도 평화를 사랑하면서 만화를 그린 셈입니다. 일본 만화밭 큰 기둥 두 분 곁에는 훌륭한 할머니와 아름다운 어머니가 있은 셈입니다.
“인간이란 참 자기 멋대로야. 모든 것이 자기들을 위해 돌아가는 줄 안다니까(158쪽).” 같은 이야기는 도깨비가 미즈키 시게루 님한테 들려준 말일 뿐 아니라, 미즈키 시게루 님 가슴에 깊이 아로새겨지면서 한 사람이 이 땅에서 어떠한 매무새로 살아가야 아름다운가 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멋대로 군대를 만들고 마음대로 전쟁을 일으키며 함부로 ‘여린 이웃과 나라’를 들볶는 짓이란 얼마나 몹쓸 일이며 나쁜 짓인가를 되새기는 말이라고 느낍니다.
- (그로부터 일 년.) “마쓰는 왜 안 와?” “홍역으로 죽었다.” “홍역으로?” “2∼3일 됐어.” (이렇게 첫사랑을 잃었다.) (24쪽)
- “너, 아까 내가 귀신인 줄 알았지?” “아, 아니.” “거짓말 안 해도 돼. 어차피 곧 귀신이 될 텐데, 뭐.” “아가씨, 무슨 그런.” “난 버림받았어. 도쿄에도 가까운 병원이 있는데, 이런 먼 시골까지 보내 버렸잖아. 다들 내 곁에 있기 싫은 거야. 할머니도 돈 준대서 붙어 있는 거잖아.” “그게 뭐 어쨌단 거야?” (93쪽)
- “맞죠, 할머니?” “저, 그건 말이다.” “그래서 나 죽는 건 슬프지만 이제 무섭지 않아요.” “시게루의 그림이야기처럼 신비한 섬을 모험하러 가는 것 같아서 하나도 무섭지 않은걸. 나, 시게루한테 ‘십만억토’ 그림을 그려 달라고 부탁했어요.” (162쪽)
1986년에 〈소년중앙〉 낱책부록으로 귀신 이야기 요정 이야기 만화책을 곁달아 주기 앞서부터 미즈키 시게루 님 작품은 한국땅에 퍽 자주 ‘무단도용(몰래 훔쳐 그리기)’되었습니다. 어느 누구도 미즈키 시게루 님 작품임을 밝히지 않았고, 일본 만화쟁이한테 저작권삯을 치르지 않았습니다. 이뿐 아니라 미즈키 시게루 님 작품을 한국 아이들한테 보여주면서 돈을 벌었어요.
한국 어른들은 몰래 훔쳐 내놓는 책으로 돈은 벌지만, 정작 이러한 만화 작품에 무슨 얼과 넋이 스몄는가를 이 나라 아이들한테 심거나 나누는 데에는 젬병이었습니다. 아이들한테는 ‘더 재미있는 만화’나 ‘더 뜻있는 작품’이나 ‘더 알찬 이야기’나 ‘더 잘 그린 그림’보다 ‘더 사랑스러우’면서 ‘더 믿음직’한 삶을 보여주어야 하는 줄을 살피지 않았습니다.
지난날에는 워낙 무시무시한 군사독재였기에 이렇게 할밖에 없었다고 핑계를 댄다면, 오늘날에는 어떠한 나날이라 아이들한테 ‘꿈과 사랑 이야기를 살포시 담는’ 만화나 문학이나 그림이나 이야기를 베풀지 못한다 할까요.
이 나라 아이들한테는 박찬호·박세리·박지성·김연아·박태환으로 이어지는 운동선수 이야기들만이 꿈이어야 하고 사랑이어야 하는가 궁금합니다. 이 나라 아이들한테는 더 돈을 벌거나 더 이름을 얻거나 더 힘이 세지는 일이 아름다운 삶이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이 나라 아이들은 모조리 대학생이 되어야 하는데, 더군다나 손꼽히는 ‘서울에 있는’ 몇몇 대학교 학생이 되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다 다른 아이들이 다 다른 삶을 사랑하면서 다 다른 이야기꽃을 피우는 꿈을 보듬도록 이끌지 못해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 “염불이나 해 주는 걸론 이젠 먹고살기가 힘들어졌어. 그래서 오늘부터 시게네 집에 간다.” “우리 집에서 살 거야?” “그래.” “신난다. 그럼 매일 밤마다 요괴 얘기 들을 수 있겠네.” (30쪽)
- “어허, 잠깐 나를 없애도 되겠어?” “신동이 다시 5점짜리 꼴찌로 돌아가면 창피할 텐데. 전보다 훨씬 더 바보 취급 당할걸.” “정말 그렇겠네.” “지금 이대로 신동 대접받는 게 좋잖아. 이 나라는 시험만 잘 보면 팔자가 피니까 말야.” “하긴 그래. 시험 한 번 잘 봤다고 대접이 확 달라졌으니. 인생은 실력이 아냐.” (59쪽)
우리 어른들은 아이들 앞에서 ‘4대강 반대’나 ‘국가보안법 없애기’나 ‘한미자유무역협정 막기’ 같은 일을 큰힘 모아 하자고 외치곤 합니다. 다른 한켠에서는 ‘미국은 우리 나라를 먹여살린 고마운 나라’라 외치거나 ‘연봉 얼마 아파트 얼마 자가용 얼마’ 같은 이야기를 외칩니다.
우리 어른들은 여느 자리에서 수수하게 살아가는 아름다움을 아이들 앞에서 이야기하지 못합니다. 농사짓는 즐거움부터 빨래하고 밥하는 기쁨을 이야기하지 못합니다. 아버지나 어머니가 붙잡은 일거리를 당신 딸아들한테 스스럼없이 물려줄 만한지 아닌지를 헤아리지 않습니다. 온 집안 사람들이 다 함께 사랑할 뿐 아니라 이웃사람한테도 보람과 웃음꽃 나누는 놀이감을 톺아보지 않아요.
미즈키 시게루 님은 《농농 할멈과 나》에서 1930년대 첫무렵 일본에서도 “시험만 잘 보면 팔자가 피니까 말야(59쪽).” 하는 이야기를 곁들이는데, 한국 또한 2011년이 되어도 이런 흐름은 매한가지이거나 더 슬프게 뒤틀린 채 뿌리내렸습니다. 아이들이 참답고 착하며 고운 슬기를 빛내도록 하는 배움터가 아니라, 아직까지 자율학습과 0교시와 보충수업과 두발단속 따위를 놓고 이러쿵저러쿵 떠들어야 하는 슬픈 배움터입니다. 핀란드 배움터가 어떠하고 스웨덴 배움터가 어떠하며 영국 배움터가 어떠하다고 떠들기 앞서, 이 나라 아이들이 학교라는 데가 참다운 배움터 노릇을 하도록 애쓰지 않아요. 시험성적 잘 나오도록 하는 학원에 아이들을 보낼 뿐입니다. 교과서 달달 외우는 틀에서 벗어나지 못해요.
어린이문학을 한 이원수 님은 1969년에 내놓은 《시가 있는 산책길》(경학사)이라는 책 머리말에서 “현실에 만족하지 못하고 좀더 나은 것, 좀더 바른 것만을 갈망하며, 그러므로 해서 일생을 고독한 나는, 내 소망과 내 기쁨을 시나 소설이나 동화를 통해 발표하고 외치고 그 속에서 사랑과 미움을 노래해 왔다.”고 밝힙니다. 이원수 님은 “아동문학을 내 꽃동산으로 생각해 왔다.”고 합니다. 이와 같은 결로, 미즈키 시게루 님한테는 만화가 꿈과 기쁨을 담은 이야기입니다. 만화로 빚은 ‘꽃동산’입니다.
- “대부분은 그렇지만 인연이 있는 사람의 마음에 조금씩 남는 법이거든. 하지만 조금 있으면 그 무게에 익숙해지게 돼. 걱정할 건 없다.” “흐음.” “몸은 음식을 먹고 커다래지지. 사람의 마음은 여러 영혼이 보태지면서 성장한단다. 시게루도 어렸을 적부터 많은 것을 보고 만지면서 컸지. 돌에는 돌의 혼이 있고, 벌레에는 벌레의 혼이 있거든. 그런 수많은 혼들이 들어와 보태 줘서 시게루가 이렇게까지 큰 거란다.” (202쪽)
- “하지만 농농할머니가 별로 나쁜 짓은 안 한다고 그랬어. 자기 마음이 비치는 거야. 무섭다고 생각하면 무서운 얼굴이 되고, 무섭지 않으면 부드러운 얼굴이 된대.” (239쪽)
누군가는 만화 하나로 이야기 꽃동산이라면, 누군가는 사진 하나로 이야기 꽃동산입니다. 글 하나로 이야기 꽃동산을 이룹니다. 노래 하나로 이야기 꽃동산을 일굽니다. 농사짓기 하나로 이야기 꽃동산을 이루고, 작은 가게 하나로 이야기 꽃동산을 일굽니다. 자전거를 몰거나 청소부 일을 하거나 우유랑 신문을 돌리며 이야기 꽃동산을 가꿉니다. 아이를 가르치거나 살림을 하면서 이야기 꽃동산을 보듬습니다.
내 삶을 찾는 데에 이야기가 있습니다. 내 삶을 아끼는 데에서 이야기가 태어납니다. 내 삶을 살찌우는 데에서 이야기가 자라납니다.
- “앞으론 평화주의로 가려고 해.” “평화주의?” “그게 뭔데?” “계급을 폐지하는 거야?” “대장이 명령하고 부하가 따르고 하는 건 이제 안 한다. 동네 대장도 다 없애고 싶지만, 뭐 어려운 일 있을 때 얘기 상대 정도로나 생각하고, 앞으론 다들 하고 싶은 거 하며 놀아. 뜀박질이든 딱지치기든 개무시도 없어. 갓파랑도 맘대로 놀아도 돼.” “그럼 질서는 어떻게 잡을 건데?” “안 잡으면 어때.” “옆동네에서 전쟁 걸어 오면 어떡하고?” “그땐 그때 생각하자. 맨날 모여 군사훈련이나 하는 건 시간낭비야. 우린 본래 신나게 놀기 위해 모인 거잖아.” (398∼399쪽)
우리는 이 땅에서 서로를 사랑하고 즐거이 어깨동무하려고 태어났습니다. 우리는 이 땅에서 동무랑 이웃을 믿고 좋아하며 함께 일하거나 놀려고 태어났습니다.
돈을 벌려고 태어나는 아이는 없습니다. 이름을 드날리려고 태어날 아이는 없습니다. 기운센 장사나 우두머리가 되려고 태어나야 할 아이는 없어요.
따순 한 사람으로 태어납니다. 넉넉한 한 사람으로 자라납니다. 고운 한 사람으로 살아갑니다. 착한 한 사람으로 지냅니다. 슬기로운 한 사람으로 꿈꿉니다. 살가운 한 사람으로 사랑합니다.
《농농 할멈과 나》는 온삶을 걸쳐 만화쟁이 한길을 걸어온 한 사람 밑바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밝힌 곱고 멋스러운 ‘옛이야기’입니다. 보드라운 삶이야기요, 예쁘장한 꿈이야기입니다. (4344.1.2.해.ㅎㄲ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