찐빵과 글쓰기


 글이 엉망인 책이 많다. 창작이든 번역이든. 글은 엉망이지만 줄거리는 괜찮은 책 또한 많다. 창작이든 번역이든.

 글이 엉망인 번역책을 읽으면서 생각한다. 처음에는 나라밖 말로 되어 있었을 이 책이 얼마나 아름다웠을는지, 또는 어느 만큼 어설펐을는지를 도무지 종잡을 수 없다. 나 스스로 바깥말을 그때그때 새롭게 따로 익혀서 모든 책을 ‘이 책을 내놓은 나라에서 적바림한 말’로 읽지 않고서야 번역책 속내와 말투와 줄거리와 이야기를 옳게 새기기 힘들다고 느낀다. 이 나라에는 번역책이 어마어마하게 쏟아지지만 번역책이 다루어야 할 말이며 글을 옳게 가르치거나 배울 만한 곳이 없을 뿐더러, 번역하는 이들 스스로 말이랑 글을 참다이 가누거나 다스리도록 마음을 찬찬히 기울이지 못하기 일쑤라고 느낀다. 책을 보면 느낀다. 책을 읽으면 깨닫는다.

 한국사람이 한국문학이라는 이름을 내걸어 내놓는 창작책을 읽을 때마다 가슴이 시리다. 줄거리라든지 이야기라든지 글감이라든지 펼침새라든지 아기자기하거나 놀랍거나 훌륭하거나 대단하다 할 만하지만, 정작 이 모두를 이루는 말이나 글은 엉망이기 때문이다. 줄거리는 살피지만 말은 살피지 못하는 한국문학이 몹시 많다. 글감은 찾아나서지만 글은 찾아나서지 못하는 한국문학이 너무 많다.

 아이를 자전거수레에 태우고 읍내 장마당에 나온다. 언제나 들르는 찐빵장수한테 찾아가 찐빵 이천 원어치를 산다. 장마당 찐빵장수는 찐빵 여섯에 이천 원을 받는데, 장마당하고 맞닿은 하나로마트에서는 찐빵 여섯에 삼천 원을 받는다.

 찐빵집에서 찐빵을 살 때면 늘 뜨거웠기에 오늘처럼 쌀쌀한 날에는 차가운 아이 손을 녹일 수 있겠거니 생각했는데, 오늘은 웬걸, 찐빵이 미적지근하다. 아니, 좀 차갑다 할 만하다. 익힌 지 얼마 안 되었나. 불을 제대로 안 넣었나. 여느 때에는 늘 맛나게 먹던 아이가 오늘만큼은 맛없다면서 “아빠, 먹어!” 하면서 나한테 내민다. “벼리가 먹어.” 하면 아이가 한 입을 깨문다. 그러나 한 입만 깨물고는 다시 “아빠, 먹어!” 하고 내민다. 하는 수 없이 아빠가 받아서 먹는다.

 장마당 마실을 마치고 아이를 자전거수레에 태워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문득 이런 생각이 난다. ‘아이야, 넌 네가 읽던 책이 재미없으면 아빠한테 내밀며 아빠가 읽으라고 할 셈이니?’ (4343.11.20.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