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와 글쓰기


 시골 사는 사람은 시골 삶에 맞추어 살림을 하거나 책을 읽거나 글을 씁니다. 도시 사는 사람은 도시 삶에 걸맞게 일자리를 찾거나 영화를 보거나 인터넷을 누빕니다. 도시를 알고 느끼며 껴안는 대로 책방마실을 하거나 텔레비전을 봅니다. 시골집에서 아침에 잠에서 깨어 일어나면 날마다 늘 다른 하늘과 멧자락과 바람과 새소리를 마주하는 가운데, 우리 집 벽에 기어든 멧쥐가 끽끽대는 소리를 듣습니다. 어느 하루도 같은 하루가 아니며, 같은 하루일 수 없는 가운데, 하루하루 흘러가는 소리를 노상 다르게 듣습니다. 언제나 다른 하루이지만 언제나처럼 새벽같이 쌀을 씻어 불려 놓고 아이가 언제쯤 일어날까 헤아립니다. 아이가 일어나서 배고플 때에 맞추어 밥을 안치고 찌개나 국을 끓입니다. 아이는 하루하루 무럭무럭 자라납니다. 날마다 새로운 말을 새삼스레 쏟아내는 한편, 엄마나 아빠 말을 깍쟁이처럼 안 듣습니다. 나날이 한숨을 깊이깊이 쉬지만, 처음에는 엄마젖을 빨다가 죽을 먹다가 이제 밥과 김치를 꼭꼭 씹어먹는 모습을 바라보며 크게 놀랍니다. 머잖아 아빠 밥그릇만큼 밥을 눌러 담아 배 띵띵 불도록 먹는 날을 맞이하겠지요. 볼일 때문에 아이 엄마하고 아이를 시골집에 두고 홀로 시골버스를 타고 시외버스 타는 데로 나와서 서울로 가는 버스를 탑니다. 버스를 타고 책을 읽지만, 서울로 가까워질수록 머리가 더 어질어질하며 속에 메스꺼워 그만 책을 덮습니다. 서울 강변역에서 버스를 내리며 겨우 숨을 돌리려 하지만, 길거리 사람들(거의 모두 남자)은 담배를 꼬나뭅니다. 담배 내음에서 겨우 비껴나 전철을 타니, 전철에서는 코를 찌르는 냄새가 가득합니다. 전철을 갈아타고 그예 내릴 곳에 이르러 비로소 눈을 비비고 배를 쓰다듬습니다. 서울에는 사람이 참 많고, 젊은 아가씨 또한 많다고 느낍니다. 시골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사람이 서울에는 몹시 많습니다. 예쁘장하게 차려입은 아가씨하고 멋들어지게 꾸민 사내들을 바라봅니다. 저 차림새는 어떤 일을 하는 차림새일까 곰곰이 생각합니다. 시골에서 일하며 살아간다면 으레 수수한 차림새로 바뀔 수 있으려나 궁금합니다. 낮 동안 낮이로구나 하고 느끼지 못합니다. 시계를 보며 몇 시인가를 살핍니다. 어둑살이 내릴 무렵이 되어도 저녁이라고 느끼지 못합니다. 길거리에 등불이 환히 켜지니 시간을 잊습니다. 손전화를 꺼내어 몇 시쯤인가 어림합니다. 시골에서라면 시골버스는 저녁 일곱 시만 지나면 하나둘 끊기며 시골마을 작은 가게 또한 여덟 시가 채 되지 않아 거의 다 문을 닫습니다. 도시에서는 저녁 예닐곱 시쯤이라면 한창 장사를 할 때이고 사람이 더 북적거립니다. 한낮에는 해를 등에 지지 않던 사람들이 저녁에는 등불을 등에 지며 넘실거립니다. 낮이라 해서 햇살을 받아들이지 않고, 저녁이라 해서 달빛이나 별빛을 맞아들이지 않습니다. 새로 맞이하는 아침에 새로운 빛살을 얼싸안지 않아요. 하루치 새 일과 일삯을 곱씹는 도시입니다. 아름다운 이야기보다 재미난 이야기를 찾을밖에 없는 도시 삶터요, 살가운 이야기보다 신나는 이야기를 바랄밖에 없는 도시 물결이며, 사랑스런 이야기보다 살섞는 이야기를 좇을밖에 없는 도시 흐름입니다. (4343.11.10.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