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과 글쓰기 3


 살림을 하는 사람이 글을 얼마나 쓰고 책을 얼마나 읽을 수 있을까. 글을 쓰거나 책을 읽는 사람이 살림을 얼마나 할 수 있을까. 아이를 무릎에 앉히어 그림책을 읽히면서 ‘밥벌이를 하는 글’을 쓰거나 ‘내 마음밥 채운다는 책’을 읽을 수 있나? 다만, 골목마실이나 헌책방마실을 할 적에는 아이를 안고 한손으로 덜덜 떨며 사진을 찍곤 했다. 숨을 이십 초쯤 멈추고 손이 떨리지 않게끔 다스리면서 살며시 단추를 누른다. 사진 한 장 찍고 나면 히유 한숨이 쏟아지면서, 아이가 포근히 안겨 있는가 살핀다. 시골집에서는 아이랑 놀다가 지쳐 떨어져 방바닥에 드러누운 채 아이가 춤추거나 노래하는 모습을 사진으로 담는다. 이마저도 삼십 분이 넘어가면 그냥 곯아떨어진다. 아이는 아이대로 더 신나게 뛰어논다. 이제 아이를 재우고픈 마음에 등불 하나 없이 깜깜한 시골길을 손 잡고 거닐며 조곤조곤 이야기를 나눈다. 머잖아 동생이 태어날 텐데 언니 된 아이가 밥 잘 먹고 잠 잘 자며 마음껏 뛰어놀면 참으로 좋겠다고. 이렇게 등불 하나 없이 깜깜한 때를 ‘밤’이라 하는데, 이러한 밤에는 다들 코 자니 아이도 코 자야 한다고. 아이가 다리 아프다며 안아 달라 할 때쯤 그만 걷고 집으로 돌아간다. 집에 닿으니 아이는 다시금 뛰어논다. 어른은 아이를 이기지 못한다. (4343.11.6.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