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보는 눈 111 : 책 하나를 이야기하려면

 십이 킬로그램 안팎을 오락가락 하는 열아홉 달 아기를 한 팔로 안고 걸어다니면 팔뚝이 끊어질 듯합니다. 처음 십 분이나 이십 분은 그럭저럭 걷습니다. 삼십 분이나 한 시간이 넘어서면 고달픕니다. 아직 혼자서는 어른처럼 오래 걸을 수 없기 때문에 팔에 안든 등에 업든 합니다. 아기수레 없이 오로지 안거나 업으며 들일 산일 집일을 맡아 하던 지난날 어머님들 몸뚱이는 무쇠로 만들어졌을까 궁금합니다. 아니, 하루를 접고 잠자리에 들 무렵이면 온몸이 쑤시고 저리고 결렸겠지요. 그러나 옛 어머님들 삶을 알알이 담은 이야기나 문학이나 영화나 방송을 만나기란 더없이 어렵습니다. 흙냄새뿐 아니라 땀냄새 묻어나는 작품이란 드물고, 살냄새를 비롯해 비누냄새 배어나는 작품 또한 드물며, 밥냄새를 아우르며 똥냄새 녹아 있는 작품은 퍽 드뭅니다. 이른아침부터 열아홉 달 아기 똥과 오줌을 치우면서, 지난 열아홉 달 동안 제 손과 몸에 아기 똥오줌 내음이 짙게 배었구나 하고 느낍니다.

 번역이 너무 엉망이라 읽다가 접어두었던 《체르노빌의 아이들》을 지난달에 겨우 끝마쳤습니다. 제아무리 훌륭한 나라밖 문학이라 할지라도 번역이 뒤틀려 있으면, 이 나라에서는 이냥저냥 읽을거리조차 되기 힘들겠구나 싶습니다. 〈알베르 카뮈 전집〉을 읽으면서도 이다지 이름높은 분 번역조차 왜 이렇게 얄딱구리한가 싶어 고개를 갸우뚱했고, 한문이 함께 달린 《골목길 나의 집》을 읽으면서는 ‘바로 밑에 한문이 달려 있는데 이렇게 우리 말 번역을 엉망진창으로 해도 되는가? 안 부끄럽나?’ 하는 생각을 지울 길 없었습니다. 먹고살기 바빠 ‘창작한 사람이 수십 해에 걸쳐 이룬 알맹이’를 ‘고작 몇 달이나 한두 해만에 끝마치고 책으로 내야 하는’ 우리 터전이라 할지라도, 이렇게 나라 안팎 좋은 작품을 흐리멍텅하게 깎아내려도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책을 읽고 난 다음 어줍잖은 글솜씨로 느낌글을 적바림할 때마다 ‘나로서는 반갑고 고마운 책이라 느끼든, 나한테는 아쉽고 모자란 책이라 느끼든, 이 책 하나를 다루는 글을 쓰려 할 때에는 창작하는 사람이 이 책 하나에 들인 땀 못지않게, 때로는 이분들이 흘린 땀보다 더 땀을 흘리면서 느낌글을 적바림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 스스로 더 땀을 흘렸다 할지라도 제대로 못 읽거나 엉터리로 잘못 읽는 대목은 틀림없이 있으리라 봅니다.

 그제 서울마실을 하는 전철길에서 《환경가계부》와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을 다 읽었습니다. 두 가지 책 모두 술술 읽혔습니다. 그런데 《환경가계부》에는 곳곳에 밑줄을 그으며 별을 그리기까지 했으나,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에는 별을 하나도 그리지 못했고 밑줄은 몇 군데 긋지 못했습니다. 술술 잘 읽힌다고 해서 그리 좋은 책이 되지는 못한다고 느낍니다. 이는 저한테 똑같이 해야 하는 말입니다. 제가 하는 일이 아무리 옳고 바르다 할지라도 가장 좋거나 아름다운 일이 못 될 수 있는 만큼, 더 바지런히 갈고닦아야 하며 더 고개숙여 귀와 마음을 열어야 합니다. 《환경가계부》에는 “아버지들은 환경가계부는 부인이나 아이들의 몫이라고 생각하지 말아 주길 바랍니다(194쪽).” 하는 대목이 나오는데, 우리 어른들, 더욱이 남자 어른들은 참사랑이 무엇인지 참말로 너무 모르며 살고 있습니다. (4343.1.22.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