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보는 눈 97 : 회사원이 읽는 책 - 저녁부터 밤까지

 서울에서 여느 회사원과 마찬가지로 하루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전철길에 책을 한 권이나 두 권쯤 마저 읽습니다. 인천에서 서울로 오는 전철길에서는 얇은 책은 한 권 반쯤 읽고, 조금 두툼하면, 아침에 2/3쯤 읽고 집으로 가는 길에 마저 다 읽습니다. 그런데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마저 다 읽고 나서 새로운 책을 가방에서 꺼내지 못합니다. 처음 집에서 길을 나설 때에는 맨 첫 역에서 타지만, 집으로 돌아가는 길은 맨 첫 역이 아니기도 하나, 집으로 돌아가는 사람이 훨씬 많습니다. 집으로 가는 길에 전철을 탈 때에는 책을 펼치기 어려울 만큼 오징어떡이 되기 일쑤입니다. 이런 전철에서 책을 읽자고 하는 사람이 미쳤거나 바보이거나 하지 않느냐 싶습니다. 그렇지만 여섯 시나 여섯 시 반에 칼퇴근을 하며 집으로 돌아가는 사람들 가운데 퍽 드물지만, 오징어떡이 되는 가운데에도 끝끝내 책을 펼쳐 읽는 책사랑꾼을 한두 사람씩 꼭 보곤 합니다. 거의 모두 지치고 고단해서 곯아떨어져 있는데, 또는 집으로 돌아가서 만날 사람하고 수다를 떠느라 바쁜데.

 칼퇴근을 했어도 서울에서 좀더 머물며 사람을 만나고 느즈막하게 전철을 타면, 퇴근 물결에서 벗어난 까닭에 조금 널널합니다(그래도 미어터지기는 비슷비슷). 술 몇 잔을 걸쳤으면 해롱거리는 가운데 책을 펼칩니다. 둘레에 저처럼 해롱거리면서 손잡이를 붙잡고 기우뚱거리거나 용케 자리를 얻어 앉아 고개를 푹 숙이거나 창문에 머리를 기대고 잠든 사람들이 많습니다. 일찍 돌아가나 늦게 돌아가나 책 한 번 손에 쥘 만한 틈을 내기란 더없이 빠듯합니다. 아침저녁으로 읽으며 금세 다 읽어치운 《그녀들에 대한 오래된 농담 혹은 거짓말》(호미,2009)이라는 책 끄트머리 빈자리에 몇 마디 끄적입니다. ‘책을 읽으려고 하는 사람은 틈을 내고 힘을 내고 돈을 내어 책을 읽는다. 책을 읽으려고 하지 않는 사람은 말미를 주고 집을 주고 돈을 주어도 책을 안 읽는다. 그 말미와 집과 돈으로 다른 놀음놀이에 젖어든다.’

 다 읽은 책은 집어넣고 새로 읽을 책을 꺼내고 싶으나, 급행전철이 부천과 송내와 부평과 동암과 주안까지 지나지 않고서는 꽉 끼고 밀리고 눌린 틈에서 꼼짝을 할 수 없습니다. 하는 수 없이 다 읽은 책을 다시 펼치며 밑줄 그은 대목을 곱씹습니다. “십오 년 동안 한결같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수요시위는 매주 수요일 12시 일본 대사관 앞에 가면 만날 수 있는 상설 퍼포먼스로 인식되는 측면도 있다 … 해결된 건 아무것도 없지만 이슈로서의 가치를 갖지 못한다고 생각한 언론도 더는 이 문제를 돌아보지 않는다(236쪽).”

 책을 덮고 생각에 잠겨 봅니다. ‘사람들은 꼭 책을 읽어야 하나? 이렇게 고단하고 지치도록 살아가는 사람들한테 책을 꼭 쥐어 주어야 하나? 책을 쥐어 준다면 무슨 책을 왜 쥐어 주나? 우리는 왜 우리 스스로 책하고 멀어지도록 살아가나? 우리한테 책이 있어 무엇이 좋고, 우리한테 책이 없어 무엇이 나쁠까? 오늘날 우리들은 한결같이 더 돈을 많이 주는 일터를 바랄 뿐, 돈을 덜 주더라도 책 한 권 읽을 겨를을 넉넉히 내어주는 일터를 안 바라고 있지 않나? 내 몸과 마음을 사랑스레 돌보고 아끼는 길은 어느 누구도 안 가르칠 뿐더러, 우리 스스로 찾아 배울 뜻이 없지 않는가?’ (4342.8.20.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