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어머니 이야기 1부 내 어머니 이야기 1
김은성 글.그림 / 새만화책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엄마한테 선물하고 나란히 누워 읽을 만화책
 [살가운 만화 42] 김은성, 《내 어머니 이야기 (1부)》



- 책이름 : 내 어머니 이야기 (1부)
- 글ㆍ그림 : 김은성
- 펴낸곳 : 새만화책 (2008.12.1.)
- 책값 : 13000원


 (1) 재미있게 나눌 우리 삶자락 이야기는


 처음에는 아기 얼굴 오른쪽 눈가에 살짝 생채기가 났습니다. 아기가 자면서 혼자 간지럽다고 긁으면서. 그런데 이 생채기에 딱지가 앉아 떨어질 무렵 또 긁어서 다시 덧나고 거듭 덧나다가는 차츰 볼과 귀로 오돌도돌한 녀석이 번지더니 온 얼굴 가득 벌겋게 되어 버립니다. 이웃에서는 이 모습을 보며 태열이니 아토피이니 하고, 일산 식구들은 얼른 병원에 가자고 채근입니다.

 그렇지만 우리 식구는 병원에 가지 않습니다. 아기가 제 얼굴을 긁지 않도록 하면서 엽록소물을 만들어 바르고, 생협에서 파는 아기 화장품을 살짝살짝 발라 줍니다. 나무숯물을 탄 물로 자주 얼굴을 닦아 주면서 하루하루 기다리는 동안, 아기한테 젖을 물리는 엄마 밥차림을 바꾸기로 합니다. 우리 세 식구는 아빠(저) 일 때문에 여러모로 돌아다닐 일이 많고, 일산 옆지기 식구들 사는 집에 가서 여러 날 머물면서 옆지기가 폭식을 하는 때가 잦아서, 이 모든 흐름이 아기한테 이어지지 않았느냐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제부터 옆지기는 오롯이 생채식만 하기로 하고 줄기푸성귀와 뿌리푸성귀에 김하고 미역만 먹으려 합니다.

 애 아빠도 함께한다면 좋을 테지만, 이렇게 생채식만 하자면 도시에서는 푸성귀 값이 장난이 아니라 애 엄마만 하기로 합니다. 우리가 시골 살림이라면 조그마한 텃밭 하나로 모든 푸성귀를 거두어 먹을 텐데, 다른 집에서도 비슷비슷한 걱정을 하겠지 하고 생각합니다. 옆지기 식구들 사는 일산으로 전철을 타고 가는 길에 우리 아기를 들여다본 어느 할배가 그러더군요. “저런, 애기 저럴 때는 물 좋고 공기 좋은 데 가면 금방 낫는데.”
 





.. 지금으로부터 백 년 전(1907), 함경도 어느 마을에 한 여인네가 살고 있었다. 열여섯 살에 시집와서 3년 만에 막 첫딸을 낳은 상태였다. 그로부터 3년 뒤 둘째 딸을 낳았고, 둘째 딸을 낳은 4년 뒤 4대 독자 아들을 보았다. 홀시아버지와 어린 시누이 둘, 남편과 자꾸 불어나는 아이들을 거두며 살았다. 그래도 농토는 넉넉한 편이어서, 다른 집들이 하는 양식 걱정은 하지 않고 살았지만, 장정 하나 없는 집에서 넓은 농토를 남편과 함께 직접 경작도 하고 일꾼을 쓸 때는 일꾼들 밥도 해 주느라 쉴 새가 없었고, 조상님 모시기도 소홀할 수 없는 노릇이라 여인네는 제삿날이면 죽을 지경이었다. 그런 북새통 속에서 여인네는 애를 계속 낳았는데 아들 낳은 지 6년 만에 넷째 딸을 낳았고, 넷째 딸을 낳은 지 4년 만에 다섯째 딸을 낳았다. 그러자 애들 다섯에 시아버지, 시누이 둘, 남편, 여인네까지 열 식구가 되었다. 여인네는 열 식구 뒷바라지에 죽은 조상들까지 수발하며 살았다. 그 힘든 삶에도 여인네는 지치지 않았고, 착실한 남편과는 금슬 좋게 살았다. 그런데 그 여인네도 당해 내기 힘든 일이 있었는데, 그것은 시아버지 모시기였다 ..  (7∼9쪽)


 인천에 있는 생협 매장에는 날푸성귀가 몇 가지 들어와 있지 않아, 이곳에서 고를 수 있는 만큼 골라 장만한 다음, 하는 수 없이 ㅇ마트로 나들이를 갑니다. 날푸성귀야 가까운 저잣거리에서도 장만할 수 있으나, 저잣거리 날푸성귀는 유기농이 아니라서 발길을 끊었습니다. 요즘 같은 세상에서 유기농이든 유기농이 아니든 똑같은 먹을거리가 아니냐 생각하는 분이 많고, 곡식이 먹고 마시는 물과 바람과 흙이 일찌감치 더럽혀져 있는데 풀약과 항생제와 비료를 안 친 곡식이라고 더 나을 구석이 있겠느냐 생각하는 분이 많습니다. 더욱이, 세상이 더러우니 어른도 아이도 ‘좀 더러워진 먹을거리를 먹으면서 몸에서 견디어내야 하지 않느냐’고 생각하는 분이 많습니다.

 어느 한편으로 보면 이와 같은 말씀은 틀리지 않습니다. 아무리 제도권 학교에서 따돌림과 괴롭힘과 입시지옥이 가득하여 아이들이 아이답게 자라기 어려운 형편이라지만, 동무를 사귀며 사회살이를 익히자면 학교에 다녀야 한다고 하니까요. 그런데, 우리는 꼭 입시지옥에다가 교과서 외우기로 치닫는 제도권 학교를 다녀야만 사회살이를 익힐 수 있을까요. 또래 동무는 제도권 학교 울타리가 아니면 만나거나 사귈 수 없을까요. 제도권 바깥 또래 동무라고 하여 모두 좋지 않겠습니다만, 제도권 안쪽 또래 동무라고 하여 꼭 반갑고 살가운 동무를 만나리라는 법이 있겠습니까. 어느 자리에 서든 사람과 사람으로 만날 수 있으면 되고, 또래 동무라고 하여도 나이나 밥그릇만으로 따지기보다는 마음자리와 생각자리로 서로를 살피고 헤아릴 때 한결 사이좋게 지내면서 다 함께 북돋울 수 있지 않느냐 싶습니다.

 저한테 또래 동무들은 얼마나 있고 얼마나 살가우며 얼마나 오붓한지를 돌아봅니다. 이 동무들은 꼭 그 학교를 다녔기 때문에 만나게 되는 동무들이었는가 헤아려 봅니다. 동무들과 만나고 어울리는 동안 ‘우리가 어느 학교를 나왔었고 어느 대학교까지 다니거나 그냥 고등학교까지만 마쳤는가’는 하나도 큰일이 아닐 뿐더러 생각하지도 않음을 떠올립니다.

 우리한테는 어떤 이름이 그리 큰일이 아님을 곱씹습니다. 우리한테는 얼마쯤 돈이 있어야 할 터이나 돈만 있다고 되는 일이 아님을 되씹습니다. 우리한테는 어느 만큼 힘이 있어야 할 테지만 힘만 있다고 밀어붙일 수 있는 일이 아님을 돌아봅니다.

 삶을 가꾸고 싶어 더 나은 밥을 찾고, 삶을 아름답게 여미고 싶어 한결 나은 일자리를 찾으며, 삶을 즐거이 나누고 싶어 좀더 반가운 벗을 찾습니다. 밥이든 옷이든 집이든, 동무든 사랑이이든 이웃이든, 나를 나답게 꾸리고 우리를 우리답게 이끌어 주니 반갑고 고맙습니다.
 



.. “그래! 고생 오래 했네!” “그래도 내 한 열 살 정도 될 때부터는 고생을 아이 했어! 우리 오빠가 취직하면서 집이 확 피기 시작했지.” “근판이는 어떻게 됐어?” “일본이 망하이까 남선으로 도망 나왔지. 근판이한테 당한 사램들이 근판이 집이 몰려들어 기둥을 도끼로 찍고 집이 불을 놓았대.” 그랬더이 어디 숨었다가 확 나오더래. 그 질로 도망 나와서 삼팔선을 넘어 남선까지 온 거야. 남선 나와서도 한 고을을 해먹다가 산이 내란이 일어나서 막는다고 하다 죽었대.” “토벌대를 하다가 죽은 모양이구먼!” “근판이 얘기는 그리지 마라. 그 자손들이 보면 뭐이라 그러겠니야? 자손들이 보면 자기 아버지 얘긴 줄 그답 아지. 아버지가 나쁜 일을 해서 그런지 자손들도 잘못됐어. 정식이는 큰 병 만나서 죽고, 문식이는 죽지는 아이 했지만 병이 많아서 고생하고 살아. 문식이 아들도 마흔도 안 됐는데, 풍이 지나가고.” “그러니까 어떤 집이 잘 되려면 조상 때부터 덕을 쌓아야 해.” ..  (73∼74쪽)


 지지난주쯤, 국민학교 적 동무한테서 밤 늦게 전화가 오며 “야, 한번 보자.”고 해서 부랴부랴 옷 갈아입고 나가 두 시간쯤 밤술을 함께 나누었습니다. 우리 집이야 아기가 아직 많이 어리지만, 동무녀석은 벌써 여섯 살 되는 아이가 있는데, 녀석은 자기 가게 일 때문에 일요일에도 늦은때까지 선배들하고 술잔을 부딪혔다고 합니다. 동무녀석한테 선배 되는 분들은 거의 모두 집안이 있을 테고 집식구가 늦게까지 잠 못 이루고 기다릴 텐데, 동무녀석은 가까스로 그 술자리에서 빠져나와 저를 찾았다지만, 그분들 남은 식구는 어떤 마음이었을까 궁금합니다. 아니, 좀 서글픕니다. 술자리라 하여도 식구들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술자리를 마련할 수 없는가 싶고, 늦게까지 웃고 떠들고 놀아야 한다면 온식구가 다 함께 어울릴 수 있게끔 놀 수 없을까 싶습니다.

 그런데 지금 우리 삶을 돌아보면, 도시에서 회사일이니 무슨 일이니 하면서, 늦도록 밖에서 ‘다른 사람 만나는 데에 시간을 쓰’고, 집으로 돌아와서는 파김치가 되어 ‘안에서 기다리는 사람한테는 시간을 거의 못 쓰’게 되고 말지 않느냐 싶습니다. 집안살림과 집밖살림이 다르거나 나뉘어야 할 까닭이 없을 텐데, 우리 스스로 똑 금을 그어서 아예 다르게 꾸리고 아예 다르게 살아 버리지 않느냐 싶습니다.

 집안일을 집 바깥에서 이야기하기 꺼리고, 집밖일을 집 안쪽에서 이야기하기 꺼리지는 않는가요. 아니, 이렇게 주고받을 까닭이 없다고 느끼지 않는가요. 있는 그대로 만나고 꾸밈없이 사귀는 삶보다는, 겉을 치레하거나 꾸미는 삶으로 나아가지는 않는가요. 우리가 집에서 아이 키우는 이야기만 하여도 밤새 수다를 떨어도 그치지 않을 터이고, 아버지 어머니 모시고 사는 이야기만 하여도 밤늦도록 이야기를 이어도 끝나지 않을 터이며, 이웃집과 어울리는 이야기만 하여도 이틀 사흘 이어도 이야기는 넘치리라 봅니다. 그렇지만, 오늘날 우리 도시 삶터에서는 우리 스스로 우리 이야기를 잊게 됩니다. 잃고 맙니다. 내놓고 되고 뒤로 젖히고 맙니다. 우리 얼굴이 없고 우리 모습이 없으며 우리 삶이 없습니다.
 



.. 그 무렵에 오징어 꾸들꾸들하게 말린 걸 처음 봤는데, 그걸 가지고 댕기면서 먹지도 않고, 가지고 댕기다 버렸어. 먹을 줄도 모르고, 먹어 봤더이 이상하고. 그래도 엄마가 우리를 혼내지도 않고. 우리가 어떤 때 입이 출출하다 하면 독아지서 배랑 과질이랑 꺼내서 가지다 주더라고. 그기 도화선이 언니 시집갈 때 큰상으로 가지온 음식들인 거야! 그때는 속상해서 안 먹고 놔뒀던 거지! 그거 먹으면서 우리 엄마가 얼매나 눈물을 흘리는지 몰라. 우리 오빠도 도화선이 언니는 못사는 집이 시집 보냈다고, 나중이 돈 벌어서 옷감이랑 끊어 보낼 때 꼭 도화선이 언니 것도 챙겨서 보내! 아무튼 도화선이 언니 시집 보낼 때 우리 집이 재난이야. 그러더이 귀동녀 언니 시집 보낼 때는 집 분위기가 얼매나 좋은지! 꽃이야..  (105∼106쪽)


 지난주에, 서울 나들이를 하면서 ‘소설쓰는 공선옥 님을 좋아하는 사람들 모임’에 함께했습니다. 옆지기와 아기는 집에 있고 혼자만 다녀오는데, 아이 둘 키우는 아주머니가 아이는 애 아빠가 보기로 하고 당신은 즐겁게 나들이를 나오는데 얼마나 홀가분하고 훨훨 날아다닐 듯했는지 가슴이 두근두근 뛰고 즐거웠다고 합니다. 애 아빠는 애 엄마가 하루 쉬게 하려고 회사일을 하루 쉬었다고 하더군요. 애 아빠 되는 그분은 얼마나 자주 이렇게 ‘애 엄마 쉬게 하기’를 해 주셨는지 모릅니다만, 하루 내내 아이 둘을 붙잡고 놀고 돌보고 밥해 먹이고 빨래하고 씻기고 집 치우고 하노라면 …… ‘아이 키우는 사람’을 바라보는 눈이 조금은 달라지지 않으랴 싶어요.

 사람은 모든 일을 몸소 겪어내야만 알지는 않으나, 겪어서 받아들이는 앎과 책이나 이야기로 받아들이는 앎이란 사뭇 달라요. 굴막에서 굴 까는 일을 하루 내내 해 보고 가게에서 사먹는 굴맛과, 굴막조차 모르고 굴 까는 사람이 있는 줄 모르며 그저 마트에서 값싸게 사먹는 굴맛은 같을 수 없습니다. 시골에서 농사짓는 어버이를 둔 사람이 밥집에서 밥 한 그릇 받아먹을 때하고, 농사일은 하나도 모르는 사람이 밥집에서 밥 한 그릇 받아먹을 때는 똑같을 수 없습니다. 여남평등이든 양성평등이든 지식과 책으로 받아들이며 살아가는 매무새하고, 집안일과 아이 키우기를 몸소 겪어 보고 나서 ‘평등’을 헤아리고 받아들이며 살아가는 매무새는 한동아리일 수 없어요.

 이러는 동안 우리한테는 늘 새로운 이야기가 샘솟습니다. 날마다 새 이야기가 나오는 텔레비전을 들여다보면서 ‘새 수다꺼리’가 샘솟기도 할 터이나, 이러한 새 수다꺼리는 채 하루가 가지 못하고 사그라들고 잊혀집니다. 그러나 우리가 복닥이며 꾸리는 삶에서 얻고 느끼는 ‘새 수다꺼리’는 하루 한 주 한 달 한 해뿐 아니라 당신 아이한테까지 물려주며 두고두고 잊히지 않는 가운데 새로운 재미를 선사하면서 늘 새삼스러워집니다.


.. 우리 집이 내 일고여덟 살 때 제일 못살았다고 했잖아. 그래서 서당 갔다와서 숙자랑 나랑 보릿져 먹고 막 웃었다고 했지 않아. 그래도 우리 오빠 재혼하고는 집이 밥이 없은 적이 없어. 새 며늘 들였다고 음식을 갖춰서 먹는 거지. 부잣집이서 귀하게 자란 일산 시이는 굉자이 사랑을 받았어. 추운데 짐치를 뜨러 가도 우리가 가야 하는 줄 알았어. 일산 시이가 아깝아서. 새 며늘 들어오고 오빠가 좋아하이까 우리도 얼매나 좋으 줄 모르고, 우리 엄마, 아버지도 얼매나 좋아하는지! … 우리 엄마도 그렇기 며느리를 애껴. 한 번은 동네 어느 집냥이란 그 남편이 손님질을 왔어. 그래서 일산 시이가 떡을 반죽했는데, 반죽이 질게 돼서 떡을 찔 수가 없어. 그래서 귀동네 언니가 동네 방앗간이 가서 방아를 다시 찧어 와서, 떡을 해서 밥을 해서 내오이, 손님 밥상 내온다는 기 오밤중이야. 그 일을 잘하는 우리 엄마가 얼매나 갑갑했겠어. 그래도 며늘에게 뭐이라고 안 해. 일산 사이가 일을 해 본 적이 없어도 맘은 참 착해. 그 시이 들어오고부터 우리 집이 잘 됐으이, 얼매나 좋은 시이야 ..  (109∼111쪽)


 잠깐 숨을 돌리며 지난 몇 해를 돌아봅니다. 혼자서 동네 도서관을 꾸리다가 옆지기를 만나 함께 살면서 꾸리던 삶은 아주 크게 달라지면서, 더 많이 더 널리 돌아다니지 못하게 되기도 했지만, 이 사람을 만났기 때문에 새롭게 디딜 수 있던 동네가 있었고 어울릴 수 있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지난 8월에 아기가 태어나며 움직임은 더 줄어들었으나, 아기와 함께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도 오히려 세상을 더 넓게 보는 눈을 키울 수 있는 한편, 딱히 더 많은 사람을 못 만나고 있으면서도 ‘더 많은 이야기’를 이웃하고 나눌 수 있게 되었고, 저 스스로도 ‘더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아기를 한손으로 가슴에 안고 걸어다닐 때에는 사진찍기가 힘들고 번거로워서 혼자 맨몸으로 다닐 때하고 견주면 더 멀리 마실을 못 갈 뿐더러 몇 장 못 찍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한 장을 찍더라도 더 속깊이 찍도록 매무새를 고치게 되고, 아기와 함께 있기 때문에 한결 홀가분하게 찍을 수 있는 사진이 많습니다. 그러면서 ‘아기 사진’ 찍기를 몸으로 배우게 되고, 아기 사진을 가까이에서 날마다 수없이 찍는 하루하루가 쌓이는 동안 ‘오늘 사진이 어제와 다르도록’ 하는 손길과 눈길을 익힙니다. 책 읽을 겨를을 내기 어렵지만, 책 하나를 손에 쥐어도 ‘허튼 책은 금세 알아채게 되는 눈썰미’를 익히기도 합니다.

 하나를 잃고 하나를 얻는 삶이라고 볼 수도 있을 테지만, 하나를 잃었다기보다 하나를 새로 만나며 그 하나를 좀더 곰곰이 들여다보고 껴안는 몸짓을 녹여낸다고 해야 알맞지 싶습니다.

 문득, 집안살림이 퍽 쪼들리고 고달프고 괴로운 이들이 당신 삶 또한 쪼들리거나 고달프거나 괴롭게 생각하지 않는 일이 떠오릅니다. 제 살림살이 또한 꽤 쪼들리고 고달프고 괴롭다고 할 만한데, 제 삶은 우리네 골목 이웃과 마찬가지로 그리 쪼들리지 않고 고달프지 않고 괴롭지 않습니다. 일이 버겁고 벅차 눈물이 핑 돌 때가 잦으나, 이렇게 눈물이 핑 돌기 때문에 삶이 재미있습니다. 일이 쏟아지고 넘쳐 어깨와 팔다리가 빠질 노릇이지만, 이렇게 온몸이 쑤시기 때문에 삶이 보람있습니다. 잠깐이나마 다리 쭉 뻗고 드러누울 겨를이 없어 살이 쪽 빠지는데, 이렇게 살이 쪽 빠지기 때문에 삶이 튼튼하고 싱그럽구나 싶습니다. 이리하여 제 옷주머니에는 돈이 거의 없습니다만, 제 생각주머니에는 이야기가 꽉꽉 들어차 있어, 푸고 또 퍼내어도 마르지 않습니다.
 





 (2) 만화책 《내 어머니 이야기》


 지난 설 명절을 앞두고 만화책 《내 어머니 이야기》를 장만했습니다. 이번에 1부가 첫 권으로 나와 2부를 기다리는데, 1부 이야기는 만화잡지 《새만화책》에 꾸준히 실렸습니다. 만화잡지에 실리는 동안 다 보았지만, 이렇게 낱권책으로 나온 판은 또 남다르기에 즐겁게 따로 사들입니다.


.. “오오, 좋은 말들도 많다.” “엄마, 내 만화가 들어 있는 잡지책이 왔어.” “어디 좀 보자!” “어때?” “알았다. 이렇기 시시콜콜한 걸 다 적는 기 만화로구나! 그래도 속에 있는 소리는 다 했네! 그런데 방이 어쩌구저쩌구해서 니 오빠가 보면 뭐이라고 아이 할라나! 하기사 뭐 작가 맘이다. 지 맘대로 하는 기 작가지.” “맞았어. 작가 마음이야. 이 사람 비위에도 맞고 저 사람 비위에도 맞고, 그렇게 다 맞게 할 수는 없어.” “그래도 내가 남편이 아인 남자를 좋아하는 것 같아서 챙피스러워! 니 오빠가 보면 뭐이라고 그러겠어.” “엄마, 그건 실제 얘기가 아니고 꿈 얘기잖아. 엄마보고 그렇게 생각할 사람 하나도 없으니까 신경쓰지 마.” “난 남자를 아이 좋아하는데…….” ..  (141∼142쪽)


 옆지기한테 만화책을 건넵니다. 옆지기는 방바닥에 아기와 나란히 드러누워 책을 받들고 읽습니다. 아기도 만화책에 눈길을 보냅니다. 그러나 아기한테는 그리 재미가 없는 듯합니다. 빛깔이 없어서 그런가? 그림이 너무 작고 글이 많아서 그런가? 이 만화책은 그림도 그림이지만, 빽빽하게 들어찬 ‘글맛’이 제맛이니, 엄마가 읽어 주어도 아기한테는 아직 재미가 있기는 어려울 수 있겠지?

 마땅한 소리이지만, 대여섯 달밖에 안 된 아기가 책읽는 재미를 알 수 없겠지요(그러나 아기로서는 지 엄마 아빠가 맨 보는 책이니 저도 재미를 붙였다고 할 수 있겠지만). 그저 뭔가 그림이 있으니 까르르 웃기도 하면서 들여다볼 뿐 아니랴 싶기도 합니다.

 그러나, 아무래도 옆지기는 이 만화책은 아기와 나란히 누워서 읽기보다, 옆지기 어머님하고 나란히 누워서 읽었어야 하지 않느냐 싶습니다. 왜냐하면 책이름이 “내 어머니 이야기”이듯, ‘어머니 삶을 돌아보는 만화’는 아이가 지 엄마 삶을 돌아볼 만한 나이가 되어야 함께 읽을 수 있을 테니까요.
 





.. 보정집 할머이는 결혼하구 얼매 안 돼 남편이 죽었는데, 둘이 결혼해서 한 번 자 보지도 못한 거야! 옛날이는 그런 일이 많았어! 다 어릴 때 결혼하이까 결혼하구 1,2년 있다 자는 부부도 많았지! 그러구선 다시 시집을 안 갔으니 평생 남자하고 한 번 자 보지도 못한 거야! 그래 가지고는 여자들끼리 모였을 때면 보지다 솔바울 차고 이런 거야! ‘내 보지를 봐라. 처여 보지를 봐라.’ 어렸을 때 그기 얼매나 웃깁던지 ..  (54쪽)


 나중에 우리 어머니한테 이 만화책을 보여 드리면 어떨까 하고 생각합니다. 우리 집에는 우리 아기가 커서 이 만화책을 볼 수 있도록 남겨 두고, 돌아오는 어머니 태어난날에 선물로 이 만화책 하나 새로 장만해서 슬며시 건네 드리려 합니다. (4342.2.25.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