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1.26.


《이별의 반대말은 저별》

 신디리 글, 좋은땅, 2023.2.14.



모처럼 집에서 쉰다. 몇 가지 꾸러미(보고서)를 써야 할 텐데, 주섬주섬 집일을 추스르고 밥을 먹고 등허리를 펴는 동안, 살짝 느긋이 꾸리자고 마음을 돌린다. 이레쯤 앞서 장만한 주먹감 한 자루가 있는데, 작은아이가 조각조각 썰어서 햇볕에 말리네. 햇볕을 바짝 먹여서 말린 뒤에는 한결 달단다. ‘감돌이’인 작은아이는 나흘 앞서 썰어서 말린 감조각을 서넛 남기고 먹어치운다. 우리는 서로 즐겁게 이 하루를 누린다. 멧노랑(산국)은 보름 남짓 샛노랗게 빛나면서 향긋하다. 엊저녁에 풀개구리 한 마리가 길고 높게 가락을 뽑던데, 날이 더 얼어야 비로소 겨울잠에 들 테지. 《이별의 반대말은 저별》을 읽었다. 조금 아쉬운 대목도 있되 꽤 잘 쓰고 잘 나온 책이지 싶은데 아주 일찍 판이 끊겼다. 펴냄터를 잘못 만난 탓일 수 있다. 온누리 모든 책은 처음부터 잘 풀려서 잘 읽히지는 않는다. 우리가 오래도록 못 알아볼 수 있다. 엄청나게 팔리는 듯싶어도 고약한 속셈이 도사릴 수 있다. 다만, 모든 책에는 저마다 마음씨앗이 흐르기에, 이 마음씨앗은 사랑씨로도 미움씨로도 생각씨로도 시샘씨로도 퍼질 수 있다. 어떤 씨앗이 퍼질 책을 오늘 우리 손에 쥘는지 헤아려 본다면, 천천히 책나라로 나아가면서 책밭이 짙푸를 테지.


ㅍㄹㄴ


순대 9조각 7천원?…광장시장 바가지 논란 여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621247?sid=102


광장시장 이야기를

언제 글로 쓰고 싶다.

나는 그곳을 안 간 지

어느새 스무 해쯤 된다.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