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0.18.


《야성의 부름》

 잭 런던 글/햇살과나무꾼 옮김, 시공주니어, 2015.8.30.



구름이 짙게 끼는 아침이다. 〈책과 아이들〉 지기님하고 책집살림을 놓고서 한참 이야기하고서 보수동책골목으로 간다. 가랑비가 듣기도 하고 그치기도 한다. 〈대영서점〉과 〈동화서점〉을 들러서 책을 살핀 다음에 〈파도책방〉으로 간다. ‘부산인문연대’에서 함께하기를 바란다면서 ‘책집나들이’를 하는 날이다. 그런데 ‘책집나들이’에 오는 분들이 하나같이 ‘책을 살펴서 읽을 마음이나 매무새’가 아니다. ‘대학교수를 그만둔 어르신’이 많은데, ‘늙눈’이라 책을 읽기가 힘들다는 말을 자꾸 한다. 책을 안 읽으려면, 부산 곳곳에 아름답게 있는 책집을 사귀지 않으려면, 왜 책집나들이에 나오는가. 책집나들이는 책집에서 떠들거나 커피를 바라거나 걸상을 찾는 딴청이 아니다. 골마루와 책시렁을 가만히 짚고 돌아보면서 ‘언제나 새롭게 나를 가꿀 이야기를 찾는’ 길이다. 《야성의 부름》을 되읽었다. 처음 나온 1903년 무렵부터 오래 읽힐 만했구나 싶으면서도, 개를 끝없이 때리고 괴롭히는 사람들 이야기는 이제 접어도 될 만하다. ‘들소리(The Call of the Wild)’란, ‘돌노래’란, 이곳과 저곳 사이를 드나들고 넘나들면서 바람을 가르는 빛이리라. 온몸으로 들을 품은 숨결은 들빛이 되고, 몽둥이를 쥔 바보는 굴레에 갇힌다.


#TheCalloftheWild (1903년) #JackLondon

필립 R.굿윈·찰스 리빙스턴 불 그림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